•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4. 한식 문화/뉴스
  • 이동

h2mark 태양의 빛과 열을 모으다, 세상에 처음 선보인 온실

보물처럼 귀한 얼음을 지키다, 석빙고

제철 과일·채소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요즘은 대부분 과채를 계절과 상관없이 구할 수 있다. 그것을 가능케 해준 것은 바로 비닐하우스다. 그렇다면 그 옛날 한겨울엔 말린 채소와 과일만 먹었을까. 우리 조상이 어떤 사람들인가. 한겨울 얼음을 여름까지 저장하는 빙고도 만들지 않았나. 세계 최초의 온실이 바로 조선에 있었다니, 그 내력을 확인해보자.

♣ 조선에서 세상에 처음 선보인 온실

세상에 온실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19년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라고 알려졌다. 이 ‘하이델베르크 온실’은 난로를 이용해 난방하는 단순한 구조였다. 그러나 이보다 170년이나 앞선 조선시대 우리 땅에 훨씬 과학적인 온실이 있었다.

당시 온실에 대한 설명은 1450년경 어의 전순의가 쓴 <산가요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서민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 책으로, 양잠, 재상, 과수, 채소, 가축 등에 관한 내용과 230여 종류에 달하는 음식의 조리법이 알차게 담겨 있다.

그런데 그중 겨울에 채소 기르는 법을 소개하는 ‘동절양채’ 편에서 당시 온실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짧은 세 줄 정도의 기록을 요즘 식으로 풀이하자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크기로 온실(집)을 짓고, 삼면은 토담으로 막는다. 온실 안의 벽은 종이를 발라 기름칠을 한다. 남쪽 면은 살창을 달고 여기에도 종이를 발라 기름칠을 한다. 온실 바닥에는 구들을 놓되 연기가 나지 않게 잘 처리하고, 그 구들 위에 한자 반(약 45cm) 높이로 흙을 쌓는다.

저녁에는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하고 날씨가 매우 추울 때는 반드시 날개(거적)를 창에 두껍게 덮어주고 날씨가 풀리면 바로 철거한다. 온실 내에는 날마다 물을 뿌려 항상 이슬이 맺히게 하고, 온화한 기운을 유지해 흙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또 굴뚝을 밖으로 내고 솥을 외벽 안에 걸어서 건조한 저녁에는 불을 때 솥의 수증기가 온실 안을 훈훈하게 만들 수 있게 한다.

간략하지만 상세한 설명으로 누구나 이 내용을 바탕으로 온실을 지을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런데 사실 온실은 전순의가 발명한 것은 아니다. 그보다 먼저 온실이 언급된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세종 20년(1428)에는 세종의 명으로 강화도에서 귤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가를 시험할 때 “수령이 가을에 집(온실)을 짓고 담을 쌓아 온돌을 만들어 보호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와 비슷한 시기 강희안이 지은 <양화소록>에도 토우(움집)라 하여 온실과 비슷한 내용이 기록돼 있다.

또한 성종실록에는 1471년 궁궐에 쓰는 꽃을 키우는 장원서란 기관에서 한겨울 왕에게 영산홍을 올리자 왕이 “겨울 달에 핀 꽃은 인위에서 나온 것이다”, 즉 제철에 핀 꽃이 아닌 인위적으로 피워낸 것이라며 이후 바치지 말라고 했다는 구절이 있다.

이렇듯 단편적인 기록이 있지만 조선 온실에 대해 오늘날처럼 상세하게 알 수 있게 된 것은 무엇보다 <산가요록>의 공이 크다. 놀라운 것은 그 필사본이 2001년 폐지 더미에서 발견됐다니, 이 책이 아니었으면 우리는 조선 온실의 비밀을 결코 풀 수 없었을 것이다.

출처: KBS <한국의 유산>
▲ 출처: KBS <한국의 유산>

♣ 조선 온실의 공신, 한지

온실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난방, 가습, 채광이다. 오늘날과 같은 발전된 기술은 없었지만 조선시대 온실은 이미 충분히 훌륭한 온실로 기능했다. 유럽에서 처음 만든 온실이나 이를 적용한 현대의 온실은 난로로 공기를 데워 실내 온도를 높인다.

이렇게 되면 지상부만 데워져 작물을 키우려면 화분을 이용하거나 땅 위에 또 다른 재배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온실은 바닥에 구들을 놓고 위에 기름진 흙을 덮었기에 여기에 직접 채소나 꽃을 기를 수 있고, 식물의 발아와 뿌리 생장도 잘 이루어질 수 있었다.

조선시대 온실에는 아침저녁 두 시간씩 온돌을 때고 아궁이에 가마솥을 얹고 물을 끓였다. 이때 나오는 수증기는 온실 안을 채워 실내 온도와 습도 모두를 높였다. 덕분에 서양 온실처럼 공기가 건조해 식물이 마르지 않도록 따로 물을 뿌려줄 필요가 없었다. 온실 바닥과 상부가 모두 따뜻하고, 동시에 가습 기능까지 갖췄으니 식물을 키우기에 더없이 좋은 조건이었다.

이렇듯 조선의 온실이 여러모로 유럽보다 뛰어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한지 덕분이다. 판유리가 없었던 조선 온실에선 기름을 먹인 한지가 이를 대신했다. 유리나 비닐 온실은 외부와 온도 차가 생기면 실내에 이슬이 맺히게 마련이다.

온실 내부에 맺힌 이슬은 햇빛을 차단해 광합성을 방해하고 실내 온도도 낮춘다. 또 이슬이 그대로 잎이나 꽃, 열매에 떨어져 식물이 상하기도 한다. 그런데 한지를 바른 온실에는 이슬이 맺히지 않는다. 흔히 한지는 숨 쉬는 종이라고 한다.

여기에 기름을 먹이면 방수성은 높아지지만, 섬유 사이사이 미세한 틈으로 수증기 입자는 배출된다. 또한 한지는 온실의 채광도 담당했다. 한지는 기름을 먹이면 팽팽하게 얇아지면서 반투명해지고 빛 투과율이 높아져 온실 내로 많은 햇빛을 투과할 수 있었다. 온실 안에 붙인 한지는 실내에 들어온 햇빛을 골고루 반사하는 역할을 했다.

♣ 현대인도 감탄한 조선의 기술

이렇게 우수한 시설이었음에도, 아쉬운 것은 15세기 이후 전통 온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별도로 온실을 짓고, 기름 먹인 한지와 온돌을 덥히는 땔감 등을 구하기가 민가에선 쉽지 않아 널리 보급되지 못한 듯하다.

학계에서는 <산가요록>을 토대로 조선시대 온실을 현대에 복원한 바 있다. 조선 온실을 최초로 복원한 것은 김용원 계명문화대학 교수다. 그는 2002년 경기도 남양주시에 조선의 온실을 복원해 무, 상추, 배추, 달래, 시금치, 근대 등을 심고 온실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온돌 위 온도는 20℃ 이상의 지속적인 보온 효과가 있었고 실내 온도는 10℃ 이상이었으며, 온실 내 습도도 수증기를 유입시켰을 때 온실 내부가 온실 밖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온실에 심은 채소도 잘 자랐다. 조선시대 온실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우수했는지가 실제로 입증된 것이다.

서양의 초창기 온실은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해 동물 배설물을 이용했다고 한다. 친환경 연료지만 냄새가 너무 지독해 다른 방법을 연구해야 했고, 대체품으로 석탄을 사용했는데 이로 인해 많은 유독가스가 발생했다고 전한다.

환경오염 걱정 없고, 현대 온실의 최대 단점인 결로 현상도 없는 우리 전통 온실. 온돌과 한지라는 귀한 문화유산과 온실 짓는 기술을 널리 전파했더라면 일찌감치 세계에 조선의 온실이 인기를 얻지 않았을까. 조상의 지혜에 번번이 감탄하게 된다.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간편하게 / 편하게 / 알맞게, 요즘세대 요즘 장 담그기 바로가기
2 간편하게 테이크아웃, 요즘 세대 요즘 보양식 바로가기
3 ‘사 먹는 명절 음식’이 대세 요즘 세대 요즘 명절 바로가기
4 제철 만난 국내산 음식재료, 요즘 세대 요즘 장보기 바로가기
5 빙수야 ! 빙수 !! 요즘 세대 요즘 보양식 바로가기
6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운 친환경 먹거리 질서 로컬푸드 바로가기
7 배달음식·간편식도 이제는 한식 시대! 바로가기
8 세계에서 꽃피는 한식, 한식문화 바로가기
9 한식의 매력을 알리다 한식문화공간 이음 바로가기
10 만화로 만나는 한식 바로가기
11 K-웹툰, 한식을 그리다 바로가기
12 2,000년을 뛰어넘어 우리 곁에서 숨 쉬는 보물, 칠기 바로가기
13 어서 와, 한식은 처음이지? 바로가기
14 농림축산식품부·한식진흥원 ‘한식 원데이 투어’ 성료 바로가기
15 한식진흥원, 제1회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해외 뉴스 등 바로가기
16 세계가 반한 K-Pop 속 한식 맛보기 바로가기
17 솜씨로 빚은 과학, 옹기 바로가기
18 바쁘다 바빠, K-콘텐츠 속 경찰들의 먹방 바로가기
19 단출하지만 정성 가득한 ‘김밥’ 이야기 바로가기
20 선조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곡식’ 관련 속담 바로가기
21 한국 과일, 세계를 사로잡다 바로가기
22 K-문학 속 과일 읽기 바로가기
23 태양의 빛과 열을 모으다, 세상에 처음 선보인 온실 -
24 한식 확산의 중심, ‘한식문화공간’ 개관 바로가기
25 제2차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26 진수성찬 날 유혹해도, 김치 없이는 정말 못 살지 바로가기
27 한국인의 소울푸드 김치, 세계인의 소울푸드가 되려면 바로가기
28 한식 원데이 투어 ‘김치 로드 트립’과 ‘한식문화공간 이음’ 개관 기념 특별전 바로가기
29 삼짇날은 장 담그기 길일,‘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길 바로가기
30 ‘한국의 전통 장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위한 노력 바로가기
31 ‘2022년 장 문화 유네스코 등재 포럼’ 성료 / 헝가리 / ‘코리아 위켄드(KOREA Weekend)’ / 세브테팔 기업연계 한식 행사 개최 바로가기
32 ‘2022년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신규 선정 / 여성가족부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 획득 /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 한식당에 한복 유니폼 지원 바로가기
33 한국의 국민 간식 떡볶이, 이제 세계로! 바로가기
34 K-BBQ와 곁들임 음식 문화 바로가기
35 2023년 신규 해외한식당협의체 모집 / <이달의 한식> 협업 기관 모집 / ‘숭채만두 클래스’ 개최 / 한식진흥원, 한국 관광객들 도운 미국 부부에 ‘한식 선물 꾸러미’ 증정 바로가기
36 아궁이와 부뚜막에 담긴 고단한 삶의 풍경 바로가기
37 채집과 그 도구들, 호미 들고 바구니 메고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