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4. 한식 문화/뉴스
  • 이동

h2mark K-문학 속 과일 읽기

K-문학 속 과일 읽기

맛있는 음식이 몸을 채우듯 좋은 책은 마음을 채운다. 문학 작품 속에서 과일은 색이나 맛은 물론 그 과일의 분위기까지 글감이 되어 쓰이곤 한다. 시고 달고 떫고, 빨갛고 노랗고 푸릇한 여러 과일이 글 안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을까? 우리 문학 작품 속 과일을 읽어본다.

♣ 초록에서 노랑까지의 시간 <귤의 맛>

나무가 자라고 꽃이 피고 꽃이 진 자리에서 열매를 맺기 시작해 한 알의 과일이 되기까지, 과일의 여정은 참으로 길다. <귤의 맛>은 그 긴 과정을 청소년의 성장기에 비유해 풀어낸 소설이다.

제각각 다른 환경에서 자란 소란, 다윤, 해인, 은지 네 명의 주인공들이 영화 동아리 모임을 통해 만나 친구가 되어가는 이야기다. 저마다 비밀과 상처를 지닌 인물들이 서로에게 의지하며 꿋꿋이 성장해나가는 과정은 초록색에서 노란색으로 익어가는 귤의 시간과도 비슷하다.

소란은 그제야 들고 있던 귤의 껍질을 까서 한 번에 입 안에 넣었다. 소란의 눈이 점점 커졌다.

다윤이 피식 웃으며 소란에게 맛있지? 했다. 소란은 크게 끄덕이다가 되물었다.

“우리가 마트에서 사 먹는 귤하고 품종이 다른가?”

“똑같겠지.”

“근데 왜 이렇게 맛있지?”

해인이 답했다.

“밖에서 먹으니까.”

이번에는 다윤이 진지한 얼굴로 대답했다.

“기대하지 않아서, 예상하지 않아서, 계획하지 않아서.”

여행으로 떠난 제주도에서 귤 농장을 찾은 주인공들은 나무에서 귤을 따서 맛보곤 그 맛에 놀란다. 은지는 세 사람의 대화를 듣고는 마트에서 사 먹는 귤은 초록색일 때 수확해 후숙하는 것이지만, 다 익을 때까지 나무에 매달린 귤은 나무의 영양분이 전달되어 더욱 달콤한 것이라 말한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가족과 친구로부터 일찍이 상처받고 나무에서 떨어져 나간 귤과도 같다. 하지만 그것이 비단 소설 속 인물들에게만 해당되는 얘기일까. 어른이 된 우리 모두 각자의 시간 속에서 초록색에서 노란색으로 익어간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상처투성이 과일은 상품 가치가 낮게 평가되지만, 성장의 시간에서 난 상처들은 반대로 한 인간의 삶을 더욱 성숙하게 만들기도 한다. 인생은 다윤의 말처럼 기대하기 어렵고, 계획대로 되지도 않고, 예상치 못한 일들로 가득하다. 하지만 그렇기에 뜻밖의 순간에 맛있는 귤을 먹게 되는 행운도 찾아오는 것이 아닐까.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청포도 시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언젠가는 올 그날 <청포도>

이육사의 <청포도>는 식민지 상황에서 독립을 기다리는 마음이 청포도를 생각하는 화자의 모습으로 표현된 시다. 7~8월이 제철인 청포도는 시인에게 고향의 여름을 떠올리게 하는 과일이었을 것이다.

나무 가득 열리는 청포도만큼 고향에 대한 그리움도 마음에 함께 맺혔으리라. 청포도를 떠올릴 때 송이 안에 빼곡한 알맹이와 그 풍성함을 생각하는 것과 같이, 이육사 또한 청포도를 통해 소담하지만 풍요로움이 넘치는 고향 마을을 떠올린다.

이육사는 독립운동가로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저항 시인 중 한 명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다가 풀려난 이후 <청포도>라는 시를 썼다. 이육사가 사망한 후 그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는 <청포도>가 적힌 시비(詩碑)가 세워졌다고 한다. 뜨거운 여름 햇살 아래 열매 맺는 청포도처럼 그의 저항 정신도 결실을 맺어 영원히 기억되고 있다.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 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 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시의 표기는 1939년 <문장>지에 발표된 것을 따름)
이육사문학관
▲ 이육사문학관

♣ 신비로운 푸른 길을 따라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푸른색은 쓰임에 따라 여러 이미지로 표현된다. 맑음, 깨끗함, 청렴함 등의 이미지로 쓰일 때도 있고, 차가움이나 신비로움을 표현할 때 쓰기도 한다. 배수아의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속 푸른 사과는 낯선 장소에서 만나는 신비로운 과일이자 주인공의 외로움을 증폭시키는 장치로 쓰인다.

파란색을 가진 사과는 청사과, 풋사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 소설은 그중에서도 ‘푸른 사과’라는 단어를 고름으로써 보다 문학적인 아름다움을 담아냈다.

키 큰 풀들이 바람에 눌려 낮게 누운 차창 밖은 사람이 없고 길과 그리고 또 길뿐이다.

늦가을이란 얼마나 멋진가. 결코 잊을 수 없다.

“사과 먹을래?”

내가 말이 없자 그는 조금 전 지나온 소도시의 먼지투성이 길가에서 샀던,

푸른 사과가 든 종이봉투를 가리킨다. 아, 그 사과가 있었지. 푸른 사과가.

소설 전반에 깔린 가을날의 아름답지만 건조한 풍경이 푸른 사과와 만나며 한결 쓸쓸함을 자아낸다. 이 소설 속에서 푸른 사과는 ‘국도’라는 장소와 약간은 어울리지 않는, 낯선 사물이다. 그 때문에 더욱 비현실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청사과

나는 뒷좌석에 뒹구는 남아 있는 푸른 사과를 한입 깨물어 먹었다.

시고 떫은 맛이 안개처럼 나를 가득히 차지해버린다.

너랑 헤어져도 잊히지 않겠다. 나는 그의 옆얼굴을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애인이 생겼어.”

나중에 그는 전화로 이렇게 말했다.

푸른 사과는 조직이 단단하고 새콤한 맛이 특징이다. 빨간 사과에 비해 풋내가 느껴지기도 한다. 소설 속의 주인공은 이별의 순간에 시고 떫었던 푸른 사과를 생각한다. 아마 그 맛은 사과가 아니라 이별을 맞은 주인공의 감정을 대변하는 말일 것이다.

푸른 사과 한 알로 낯선 가을 풍경을 그려내고, 슬픔과 쓸쓸함도 그려낼 수 있다니. 늘 비슷한 이미지로만 단순하게 생각했던 과일을 이렇게 다양한 얘기로 풀어내는 것은 문학 작품이 가진 힘이다. 독서의 계절 가을이다. 문학 속 여러 맛을 가진 과일을 찾아 한 입 맛보는 것은 어떨까.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간편하게 / 편하게 / 알맞게, 요즘세대 요즘 장 담그기 바로가기
2 간편하게 테이크아웃, 요즘 세대 요즘 보양식 바로가기
3 ‘사 먹는 명절 음식’이 대세 요즘 세대 요즘 명절 바로가기
4 제철 만난 국내산 음식재료, 요즘 세대 요즘 장보기 바로가기
5 빙수야 ! 빙수 !! 요즘 세대 요즘 보양식 바로가기
6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운 친환경 먹거리 질서 로컬푸드 바로가기
7 배달음식·간편식도 이제는 한식 시대! 바로가기
8 세계에서 꽃피는 한식, 한식문화 바로가기
9 한식의 매력을 알리다 한식문화공간 이음 바로가기
10 만화로 만나는 한식 바로가기
11 K-웹툰, 한식을 그리다 바로가기
12 2,000년을 뛰어넘어 우리 곁에서 숨 쉬는 보물, 칠기 바로가기
13 어서 와, 한식은 처음이지? 바로가기
14 농림축산식품부·한식진흥원 ‘한식 원데이 투어’ 성료 바로가기
15 한식진흥원, 제1회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해외 뉴스 등 바로가기
16 세계가 반한 K-Pop 속 한식 맛보기 바로가기
17 솜씨로 빚은 과학, 옹기 바로가기
18 바쁘다 바빠, K-콘텐츠 속 경찰들의 먹방 바로가기
19 단출하지만 정성 가득한 ‘김밥’ 이야기 바로가기
20 선조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곡식’ 관련 속담 바로가기
21 한국 과일, 세계를 사로잡다 바로가기
22 K-문학 속 과일 읽기 -
23 태양의 빛과 열을 모으다, 세상에 처음 선보인 온실 바로가기
24 한식 확산의 중심, ‘한식문화공간’ 개관 바로가기
25 제2차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바로가기
26 진수성찬 날 유혹해도, 김치 없이는 정말 못 살지 바로가기
27 한국인의 소울푸드 김치, 세계인의 소울푸드가 되려면 바로가기
28 한식 원데이 투어 ‘김치 로드 트립’과 ‘한식문화공간 이음’ 개관 기념 특별전 바로가기
29 삼짇날은 장 담그기 길일,‘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길 바로가기
30 ‘한국의 전통 장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위한 노력 바로가기
31 ‘2022년 장 문화 유네스코 등재 포럼’ 성료 / 헝가리 / ‘코리아 위켄드(KOREA Weekend)’ / 세브테팔 기업연계 한식 행사 개최 바로가기
32 ‘2022년 한식연구 학술세미나’ 성료 /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신규 선정 / 여성가족부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 획득 /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 한식당에 한복 유니폼 지원 바로가기
33 한국의 국민 간식 떡볶이, 이제 세계로! 바로가기
34 K-BBQ와 곁들임 음식 문화 바로가기
35 2023년 신규 해외한식당협의체 모집 / <이달의 한식> 협업 기관 모집 / ‘숭채만두 클래스’ 개최 / 한식진흥원, 한국 관광객들 도운 미국 부부에 ‘한식 선물 꾸러미’ 증정 바로가기
36 아궁이와 부뚜막에 담긴 고단한 삶의 풍경 바로가기
37 채집과 그 도구들, 호미 들고 바구니 메고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