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 제철음식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한식울 돌려줄께
  • 이동

h2mark 인문학과 고서로 살펴보는 팥

인문학과 고서로 살펴보는 팥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팥이 출토되었을 정도로,

팥은 오랜 시간 우리 민족과 함께해온 중요한 작물이었다.

긴 시간동안 우리의 역사와 어우러진 팥의 이야기를 함께해보자.

♣ 긴 시간 우리 민족과 함께해온 팥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팥을 재배해왔다. 팥의 원산지는 동아시아로 중국,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재배되었으며 이후 하와이를 거쳐 미국 대륙, 호주, 뉴질랜드, 아프리카 등까지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최초로 탄화된 팥이 출토되었으며, 양평 팔당 수몰 지구에서는 팥 모양이 찍힌 토기가 발굴되기도 하였다.

이후 백제의 군창자리에서도 녹두와 함께 팥이 출토되었고, 조선시대에는 팥을 조세품목에 포함시키고 공을 세운 사람이나 종친들에게 내리는 하사품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 후기의 백과사전인 <규합총서(閨閤叢書)>와 <정조지(鼎俎志)>에는 정월에 오곡밥을 지을 때 팥을 넣었다고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팥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해온 중요한 작물이었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팥의 붉은 색이 잡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에 팥을 이용한 조리법이 더욱 발달하였다. 팥을 이용한 대표적인 요리로는 팥밥, 팥죽, 팥떡(시루떡), 팥고물, 팥단자, 팥편, 팥고추장, 팥잎국 등이 있다.

이중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바로 시루떡과 팥죽이다. 시루떡은 증병(甑餠)이라 하며 고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떡이었다. 찹쌀이나 멥쌀을 가루 내어 떡을 안칠 때 켜를 짓고 켜와 켜 사이에 팥을 고물로 넣어 쪄내어 만들었다.

이때 무를 함께 넣고 찌기도 하였는데 이런 떡을 무시루떡, 나복병(羅蔔餠)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무시루떡은 전통 민요 떡타령에도 시월 상단에 먹는 떡으로 등장한다. 시루떡을 만들 때 팥을 넣는 것은 잡귀가 무서워하는 붉은색 팥을 이용하여 액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우리 조상들은 귀신이 음(陰)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음과 상극인 양(陽),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양인 불과 만나면 귀신이 무서워 달아난다고 믿었다. 불을 상징하는 색이 붉은 색이었기에 붉은 색 음식인 팥 역시 귀신을 쫓을 수 있다고 여기게 되었다.

♣ 우리의 풍습에 녹아들다

매년 10월 상달에 추수를 끝낸 후 우리 조상들은 시루떡과 햇과일, 술을 준비해 제사를 지냈다. 특히 집안의 가신에게 가족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의례는 ‘안택(安宅)’이라 하여 더욱 중히 여겼다.

대표적인 가신으로는 집안 최고의 신으로 집안의 모든 일을 관장하는 성주신, 장독대에 위치해 집터를 지켜주고 재복을 주는 터주신, 부뚜막에 위치하며 부엌을 관장하는 조왕신 등이 있었다. 이 밖에도 칠성신, 축신, 마당신, 문신, 삼신할머니 등에게는 따로 제사를 지내지 않고 제물만 놓아두었다고 한다.

이러한 풍습은 조선 헌종 때 학자 홍석모가 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잘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 풍속에 정월의 첫 말날(午日)에 증병도신(甑餠禱神)이라 하여 시루떡을 쪄, 일 년 내내 무사태안(無事泰安)을 비는 고사를 지냈는데, 이때에는 붉은 팥시루떡을 두툼한 켜로 찌고, 돼지머리 삶은 것, 북어, 정화수 등을 장소에 따라 구별하여 놓았다.”고 한다.

고사에 사용하는 시루떡은 많은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 반드시 새로 수확한 햅쌀과 팥을 사용했고 별이 떠있는 새벽에 일어나 정성스럽게 시루에 떡을 쪘다. 또한 고사를 지낼 때는 목욕재계를 하고 부정을 타지 않도록 모든 일을 조심스럽게 진행하였다. 행여 부정이 들면 떡이 설 익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밖에 풍년을 기원하는 등신제 때나, 이사를 하거나 사업 등의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함을 받을 때에도 우리 조상들은 시루떡을 만들어 액운을 차단하고 사람들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였다.

동지 팥죽 역시 시루떡과 마찬가지로 잡귀를 물리치고 액운을 막기 위해 만들어 먹은 대표적인 음식이었다. 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 절기로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우리 조상들은 동지를 태양이 다시 살아나는 날로 믿었다.

이 때문에 동지는 작은 설로 여겨졌다. ‘동지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은 바로 이러한 인식에서 나온 것이었다.

설날에는 떡국을 먹듯이 동짓날에는 새알심을 넣은 팥죽을 먹었다. 새알심을 먹어야 한 살을 더 먹는다고 생각했기에 팥죽을 쑬 때는 먹는 사람의 나이 수만큼 새알심을 넣었다. 이렇게 팥죽을 이용해 잡귀를 물리치는 풍속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중국 남북조 시대 형초 지방의 세시 풍속을 기록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따르면 중국의 공공씨(共工氏)에게 재주 없는 아들이 있었는데 이자가 동짓날에 죽어 전염병을 퍼트리는 역귀가 되었다고 한다.

이 역귀는 붉은 색의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역귀를 물리치기 위해 동짓날에 팥죽을 쑤는 풍습이 생겨나게 되었다. 앞서 언급한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에도 이러한 팥죽의 유래담이 인용되어 있다.

또한 고려시대 이색의 <목은집(牧隱集)>과 이제현의 <익재집(益齋集)>에 동짓날 팥죽을 먹는다는 내용의 시가 실려 있어 이를 통해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풍습이 고려시대에 이미 대중적으로 퍼져 있었다는 사실도 짐작할 수 있다.

팥, 안녕을 기원하다

♣ 팥, 안녕을 기원하다

이렇듯 팥죽이 악귀를 예방한다고 믿었던 우리 선조들은 동짓날에 팥죽을 끓여 사당과 집안 곳곳에 놓고 벽과 문판에 뿌리기도 하였다. 이는 시루떡과 마찬가지로 액을 막고 집안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동지는 시기에 따라 일컫는 말이 조금씩 다르다. 초순에 들면 애동지(兒冬至),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하순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불렀다. 중동지와 노동지에는 팥죽을 쑤지만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았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면 집안의 아이에게 액운이 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시루떡을 해먹었다.

평소 검소하기로 유명했던 조선 영조는 ‘동짓날의 팥죽은 양기의 회생을 위하는 뜻이라 할지라도 이것을 뿌리는 것은 아까우니 이를 없애고 잘못된 풍습을 바로 잡으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팥죽 먹는 풍습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기에 동짓날 어머니 묘소에 성묘하고 돌아오는 길에 종로 거리의 걸인들을 불러 모아 팥죽을 먹였다고도 한다. 그러나 어명에도 불구하고 동짓날 팥죽을 먹는 풍습은 사라지지 않았다.

오히려 동짓날 외에도 지방에 따라서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팥죽을 끓이고 병마를 쫓기 위해 길에 뿌려두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초상을 치르느라 쇠약해진 상주에게 팥죽을 먹이거나 병상에 오래 누웠던 사람이 회복기에 들었을 때에도 팥죽을 먹였으며, 이사를 가거나 새 집을 지었을 때도 팥죽을 끓여 집안 구석이나 장독대 등에 뿌렸다고 한다.

이렇듯 팥죽을 쑤어먹는 풍습이 오랫동안 이어진 건 아마도 그 속에 가족의 행복과 평안을 바라는 우리 선조들의 따뜻한 마음이 그대로 녹아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전 세계적인 역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요즈음, 건강하고 무탈하게 한해를 보내길 바라는 선조들의 마음을 본받아 가족들과 함께 따뜻한 팥죽 한 그릇을 끓여 먹어 보면 어떨까.

■ 옛 기록 속 팥은 어떤 모습일까? ─ 고서에 기록된 팥 이야기

팥은 재배 역사가 오랜 작물로, 고농서에도 자주 언급된다. 그 기록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우리 선조들이 재배한 팥의 종류가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팥을 조리해서 먹었는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했던 팥의 기록들을 하나씩 살펴보자.

고농서 속 다양한 품종의 팥

♣ 고농서 속 다양한 품종의 팥

고농서를 살펴보면, 팥이 종류가 의외로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성종 때 학자인 강희맹이 농사 전반에 대하여 서술한 <금양잡록(衿陽雜錄)>에는 봄갈이팥(春小豆), 그루팥(根小豆), 뫼대기팥(山達伊小豆), 저배부채밭(渚排夫蔡小豆), 먹팥(黑小豆), 올팥(早小豆), 생동팥(升伊應同小豆) 등 팥의 7가지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후 조선 후기로 넘어와 선조 때의 실학자 서유구가 저술한 농업 위주의 백과사전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재령이팥(再寧小豆), 쉬인날팥(五十日小豆), 용의눈팥(龍眼小豆) 등의 팥 종류가 더 추가되었다.

고서에 적힌 팥의 이름을 보면, 재래종 팥에 주로 모양이나 빛깔, 쓰임새, 심는 시기, 여무는 시기, 재배 지역 등을 따서 품종명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음도 알 수 있다. 팥의 종류는 현재도 다양하게 남아있는데, 현대로 넘어와 육성된 팥의 종류에는 아라리, 서나, 흰나래, 해오롬, 홍다, 홍경 등이 있다.

♣ 약이 되어주다

팥이 풍부한 영양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많은 실험 결과를 통해 밝혀진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 과학 기술이 높지 않던 조선시대에도 팥이 몸에 좋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의관 허준이 선조의 명에 따라 편찬된 <동의보감(東醫寶鑑)>서는 팥의 효능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붉은 팥을 적소두(赤小豆)라고 하는데, 몸을 붓게 하는 수기(水氣) 내리고 독한 종기인 옹종(癰腫)과 피고름을 배출시킨다.

당뇨와 유사한 소갈을 치료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온몸이 붓는 수종(水腫)과 배가 빵빵하게 불러오는 창만(脹滿)을 내린다. 열로 인한 옹종을 없애주고 어혈(瘀血)도 깨뜨린다.”

* <동의보감(東醫寶鑑)>

♣ 주술적 의미를 담다

팥은 다양한 조리법으로 먹기 보다는 팥이 가지고 있는 의미 때문에 많이 활용됐던 식재료다. 우리 선조들은 오랫동안 일상생활에서 남을 해치고 사람에게 병과 불행을 가져다주는 매체를 귀신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귀신을 쫓고 귀신이 접근하지 못하는 방법을 고심했다.

그 과정에서 음(陰)에서 태어나는 귀신을 양(陽)과는 상극이라 여겼고, 가장 강력한 양(陽)인 불을 대치시키면 귀신이 무서워 도망칠 것이라고 믿었다. 불의 색이 붉기에 붉은 빛을 귀신이 무서워하는 것이라 생각했고, 귀신을 쫓는 색을 붉은 색이라고 여겼기에 붉은 빛을 띈 팥은 주술이 담긴 음식이 된 것이다.

“우리 풍속에 정월의 첫 말날(午日)에 증병도신(甑甁禱神)이라 하여 시루떡을 쪄서 일 년 내내 무사태안(無事泰安)을 비는 고사를 지냈는데, 이때에는 붉은팥시루떡을 두툼한 켜로 찌고, 돼지머리 삶은 것과 북어, 정화수 등을 장소에 따라 구별하여 놓았다.”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849)

<동국세시기>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붉은팥시루떡은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친다는 벽사(辟邪)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시루떡은 증병(甑餠)이라고도 하였는데, 떡을 안칠 때 짓고 켜와 켜 사이를 고물로 구분하여 찐 떡을 말한다.

붉은팥시루떡은 팥을 고물로 사용한 것으로, 추수를 끝낸 후 10월 상달에 집안이 모두 편안하기를 기원하거나 부락의 수호신께 연중무병과 평온무사 및 풍년을 기원할 때 올렸다. 또한, 잡귀가 붉은색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팥을 통해서 액(厄)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팥이 전염병을 피할 수 있다는 믿음도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는데, <세종실로>에 그 기록이 나온다.

세종 16년 6월 5일의 기록으로, 왕이 널리 퍼지고 있는 전염병 예방책을 신하들에게 묻자 그중 하나로 ‘세 배로 만든 자루에 붉은 팥 1되를 담아 우물 안에 넣는다. 이를 3일 만에 꺼내 온 식구가 27알씩 복용한다’는 내용의 팥을 사용하는 방법이 등장한 것이다. 물론 그 방법이 효험이 있었는지에 대한 내용은 기록에 없다.

중요한 음식에 사용한 식재료, 팥

♣ 중요한 음식에 사용한 식재료

팥은 의미 있는 날, 중요한 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보면 아이의 돌 때 사용되었던 팥수수찰떡, 혼인식을 위해 사용되었던 팥시루떡, 동지에 먹는 팥죽, 생일에 미역국과 함께 먹었던 팥밥을 등이 있으며 이 음식들은 현재도 계속 먹고 있는 요리들이다.

중요한 음식들인 만큼 고조리서에 팥을 이용한 요리들은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그 중의 몇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팥을 깨끗하게 씻어 모래 없이 일어가지고 솥에 넣고 밥 짓 듯 되지도, 질지도 않게 지어서 퍼 놓고 주걱으로 대강 으깨어 놓는다.

쌀은 떡가루 만드는 법에서 읽은 대로 주의해서 만든다. 그리고 시루에 켜를 안칠 때 손가락 한 마디 반이나 두껍게 하려면 두 마디씩 깊게 안치고 편편하게 펴고 팥을 가루가 보이지 않도록 펴고 다시 또 가루를 안치고 또 팥을 뿌려서 안친다.

이렇게 다 안친 후에 쪄서 베는 방법은 꿀편과 같은 데 그보다 좀 크게 베면 된다.”

* 팥떡, <조선요리제법(朝鮮料理製法)>(1934)

인문학과 고서로 살펴보는 팥, 참고자료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복을 담은 든든한 한 그릇, 떡국 바로가기
2 눈과 입이 반하는 봄의 전통 디저트, 화전(花煎) 바로가기
3 소박한 한 그릇에 가득 담긴 한국인의 문화, 입맛, 정서! 산채비빔밥 바로가기
4 ‘복’과 ‘맛’을 한꺼번에 싸서 한입에 쏙! 쌈밥 바로가기
5 무더위 내쫓고 건강 붙잡는 우리나라 대표 보양식 닭백숙, 삼계탕 바로가기
6 여름에 먹는 ‘편수’, 시원하고 아름답다! 바로가기
7 풍요로움과 감사의 대명사 ‘송편’! 바로가기
8 어떤 자리, 어떤 음식과도 찰떡궁합! 식혜, 수정과 바로가기
9 입 안 가득 퍼지는 바다의 맛, 해물탕 바로가기
10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바로가기
11 무병장수·풍요의 복(福) 가득 담긴 새해 첫날 첫 음식! 떡국, 떡만둣국 바로가기
12 어우러짐의 미학으로 빚은 우리 음식, 비빔밥 바로가기
13 제사 지내지 않고 제사 음식 먹는 방법, 헛제삿밥 바로가기
14 현재 진행형, 한식 디저트 바로가기
15 달콤 끈끈한 서민들의 주전부리, 엿 이야기 바로가기
16 땀방울로 내린 순백의 보석, 두부 바로가기
17 떡 중의 떡, 인절미史 바로가기
18 잡채는 ‘여러 가지 채소 모둠’ 이다 바로가기
19 전통주와 우리 전의 어울림 바로가기
20 인문학으로 본 국밥의 유래와 역사 바로가기
21 지역의 맛 품은 국밥 바로가기
22 소슬한 바람이 불 때, 계절 품은 우리 국밥 바로가기
23 국밥이 궁금해?! 국밥 묻고 답하기 바로가기
24 인문학과 고서로 살펴보는 팥 -
25 팥의 정체를 찾아서 - 콩이야? 팥이야?, 팥 묻고 답하기 바로가기
26 우리는 언제부터 쌀밥을 먹었을까? ─ 대한민국 쌀밥의 역사와 오해와 진실 바로가기
27 희망찬 새해 첫날, 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한 그릇에 담다. 설 명절음식 이야기 바로가기
28 선조들의 지혜를 엿보다 ─ 건강 기원 음식에 담긴 과학, 정월 대보름 음식 이야기 바로가기
29 건강을 바라는 마음, 음식에 담기다. 정월 대보름 음식과 진채식 바로가기
30 생태계의 강한 생명력 지닌 나물로 즐기는 한식 바로가기
31 빛깔 고운 한식, 한식을 탐하다 바로가기
32 맛과 영양 가득 우러난, 국물이 ‘있습니다!’ 바로가기
33 한국인의 주식, 밥의 변신 바로가기
34 색다른 맛의 별미 김치 3선 바로가기
35 매일 먹어도 맛있는, 찌는 떡 3선과 종류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