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 제철음식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5. 먹거리 이야기
  • 이동

h2mark 보물처럼 귀한 얼음을 지키다, 석빙고

보물처럼 귀한 얼음을 지키다, 석빙고

냉장고는커녕 아이스박스도 없었던 그 옛날에도 여름철 얼음을 활용해 음식을 보관하고 차가운 음식을 만들었단다. 그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그 대답은 얼음을 보관하는 돌로 만든 창고, 석빙고에서 찾을 수 있다. 석빙고에 숨어 있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에 입이 떡 벌어진다.

♣ 거대한 아이스박스

냉장고가 흔하지 않던 시절, 집집마다 아이스박스라는 것이 있었다. 요즘도 캠핑용을 비롯한 다양한 아이스박스가 있지만 그 옛날 아이스박스는 지금과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이름 그대로 스티로폼 상자에 비닐을 씌운 형태로,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 안에 덩어리 얼음을 넣고 다양한 음식을 보관했기에 여름철 얼음은 필수품이었다.

더위를 이기는 데 얼음을 활용하는 것은 쉬운 발상인 듯싶지만 ‘물을 얼리는 기술’이 없던 시절엔 어째야 했을까. 우리 조상들은 그 방법으로 ‘채집’과 ‘보관’을 선택했다. 한겨울에 흔한 얼음을 모아 봄, 여름, 심지어 가을까지 보관하는 것.

그 기발한 발상이 실현 가능했음을 알려주는 것이 바로 얼음을 보관하는 돌로 만든 창고, 석빙고다. 사실 석빙고뿐 아니라 나무로 만든 목빙고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야기만 전할 뿐 현재 남아 있지 않아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석빙고는 어떻게 얼음을 오래도록 온전히 보관할 수 있었을까.

경주 석빙고 내부 모습 ⓒ국가문화유산포털
▲ 경주 석빙고 내부 모습 ⓒ국가문화유산포털

♣ 열기는 내보내고 냉기는 간직하고

석빙고는 천연 동굴 같은 자연환경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과학기술을 집약해 지은 건축물이다. 그래서 경주(보물 제66호), 안동(보물 제305호), 창녕(보물 제310호), 청도(보물 제323호), 현풍(보물 제673호), 영산(보물 제1739호), 해주(북한 국보 제69호) 등에 남아 있는 7기의 석빙고는 모두 보물로 지정돼 있다. 이들은 조선 시대에 축조·개축됐다.

겉모습을 보면 석빙고는 언뜻 고분처럼 보인다. 외양이 특별한 것도 아닌 데다 얼음을 만든 것도 아니고, 그저 보관하는 데 얼마나 대단한 과학기술이 필요했느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그러나 집 안 냉장고 냉동실에 있는 얼음을 떠올려 보자. 잠깐의 정전으로 온도가 내려갔거나 실수로 문을 제대로 닫지 않으면 얼음은 금세 녹기 시작한다. 그런데 한겨울 넣어놓은 얼음을 가을까지 보관할 수 있다니, 특별한 과학기술이 어찌 필요하지 않겠는가.

그 비밀은 먼저 천장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석빙고의 천장은 홍예 구조, 즉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화강암을 잘라 1~2m 간격으로 이어 만들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둥근 공간이 더운 공기를 가두는 에어 포켓 역할을 한다.

여기 가둬진 더운 공기는 아래쪽은 넓고 위는 좁은 직사각형 기둥 모양의 환기 구멍을 만들어 밖으로 빼냈다. 즉, 얼음을 꺼내려고 출입구를 여닫을 때 들어온 열기와 복사열로 더워진 내부 공기는 위로 떠서 모였다 환기구로 빠져나가고 빙실 아래는 찬 공기가 머물러 얼음을 녹지 않게 한 것이다.

그리고 밖에서 보이는 석빙고 지붕에는 잔디를 심어 열을 차단했고, 빙실 바닥에는 배수로를 경사지게 파 얼음 녹은 물이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했다.

얼음과 벽 천장 사이는 왕겨나 밀짚, 톱밥 등을 쌓아 단열 효과를 높였다. 이렇듯 유선형의 외부 형태, 내부의 환기구와 배수구, 흙과 돌의 열전도율 차이를 이용한 축열 구조 등이 석빙고의 얼음을 오래도록 지킬 수 있었던 비결이다.

경주 석빙고 환기구 ⓒ국가문화유산포털
▲ 경주 석빙고 환기구 ⓒ국가문화유산포털

♣ 현대로 이어진 석빙고의 과학

석빙고의 과학적 우수성은 이미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계명대 공성훈 교수는 출입구가 열려 있어도 석빙고 내부는 외부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 기온이 1℃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됐음을 밝혔다.

한편 계명대 신동수 교수는 경주석빙고의 장빙 가능성을 확인했는데, 석빙고 전체 체적의 60%를 얼음으로 채울 경우, 출입구와 사람에 의한 열 효과를 무시하였을 때 1년 내내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대와 같은 기술력이 없던 시절에도 석빙고는 이처럼 놀라운 기능으로 얼음을 지켜냈다. 석빙고에 숨은 과학은 현대 기술자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줘 이른바 ‘석빙고 원리’가 에어컨, 냉장고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광고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무풍 에어컨’도 석빙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바람을 직접 맞지 않아도 시원한 무풍 에어컨은 석빙고의 복사냉방 원리를 적용한 것이라고.

동짓달 긴 밤을 잘라 이불 아래 넣었다 님 오실 때 펴고 싶다던 황진이의 싯구처럼, 한겨울 얼음을 저장했다 한여름에 쓸 기발한 생각은 그 옛날 누가 처음 했을지. 그리고 또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 끝에 그것을 실현해 석빙고라는 대단한 발명품을 만들었는지. 새삼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채식 레시피로 각광 받는 사찰 음식 바로가기
2 한식을 위해 아낌없이 주는 나무 ‘추앙’해주세요! 바로가기
3 고려인삼이 다시금 세계 속에 우뚝 서려면 바로가기
4 무더위를 이겨내는 한여름의 얼음 바로가기
5 한식을 품고 키우는 어머니로서의 흙 바로가기
6 보물처럼 귀한 얼음을 지키다, 석빙고 -
7 곡식을 여물게 하고 과일의 당도를 높이는, 햇볕 바로가기
8 달콤해서 ‘좋은 것’의 대명사, 곶감 바로가기
9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김’인 걸 바로가기
10 바람이라는 요리사가 만들어내는 한식의 재료들 바로가기
11 수분은 날리고, 맛과 영양은 올리고 ‘건조의 기술’ 바로가기
12 생명의 근원이자, 한식의 바탕인 물 바로가기
13 바람으로 깊어지는 바다의 맛 3선 바로가기
14 황태가 되기까지, 명태의 여정 바로가기
15 찰지고 윤기가 좔좔! 밥맛 좋은 우리 쌀 품종 바로가기
16 김치에 담긴 영양학 이야기 바로가기
17 땅속에서 나와 주방까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은 ‘김치 과학’ 바로가기
18 눈꽃 같은 소금, 빛나고 소중해 바로가기
19 새우젓 중에 으뜸! 토굴 새우젓의 고장 ‘광천읍 독배마을’ 바로가기
20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젓갈, 새우젓 이야기 바로가기
21 반찬으로 제격, 짭조름한 별미 젓갈 3선 바로가기
22 4,000년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인의 건강 별식, 떡과 도구 & 풍속, 속담 바로가기
23 음식을 익히는 가장 오래된 조리법, 구이와 숯불구이 & 떡갈비 바로가기
24 평범함을 거부하는 독특한 구이 요리 바로가기
25 수원 왕갈비에서 LA갈비까지 ‘가리구이’의 맛깔스러운 여정 바로가기
26 채소라고 다 같은 채소가 아니랍니다. 영양 많은 뿌리채소와 더덕 이야기 바로가기
27 저 산은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네, 산은 풍요로운 한식의 대지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