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 제철음식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4. 절기음식 이야기
  • 이동

h2mark 봄과 여름 사이 ─ 단오 풍습과 단오 음식

단오 풍습과 단오 음식

봄과 여름 사이, 우리 조상들은 단오를 지내며 풍년을 기원하고 여러 놀이를 즐겼다.

잔치에 맛있는 음식이 빠질 수 없듯 단오에도 여러 음식이 함께했다.

단오의 이모저모와 단오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Q. 단오란 어떤 의미이고 무엇을 하던 명절인가요?

단오는 매년 음력 5월 5일로,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의미하는 명절입니다. 단오의 단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는 다섯을 의미합니다.

매달 초하루부터 다섯째 되는 날을 말하는 것인데, 과거에는 홀수를 양의 수라 해서 양수가 두 번씩 들어가는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을 특히 길일로 여겼습니다. 조상들은 이 길일에는 무엇을 하더라도 탈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때문에 단오를 큰 명절로 여겨 여러 놀이를 즐겼습니다. 대표적으로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단오장’이 있습니다. 창포물이 머리에 윤기가 나도록 도와주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는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단오와 관련해 유명한 그림으로 신윤복의 <단오풍정>이 있는데, <단오풍정>을 보면 냇가에서 머리를 감고 그네를 타고 있는 여성들이 보입니다. 특히 그네타기는 당시 외출이 자유롭지 못했던 여성들이 외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문화였습니다.

김홍도의 <씨름>에서는 남성들이 모여 씨름놀이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씨름놀이는 다른 명절에도 많이 행해진 놀이문화이지만, 특히 단오에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계절에 건강과 무탈을 기원하는 의미의 행사였기 때문에 몸으로 하는 놀이인 씨름이 대표격으로 자리 잡지 않았나 합니다.

단오 풍습 No1.

Q. 왜 요즘에는 단오를 챙기는 사람이 적을까요?

농사 인구가 줄고 마을 사람들 간의 교류가 줄어들면서 예전처럼 단오를 즐기는 사람들이 적어진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강릉은 매년 강릉단오제를 통해 제사, 굿, 관노가면극 등 다양한 활동으로 전통을 계승하고 보존하고 있습니다.

음력 4월 5일, 쌀과 누룩을 이용해 단오술을 빚는 것으로 시작해 제사를 지낸 후 5월 3일부터 5월 7일에는 단오굿을 비롯한 갖가지 행사가 진행됩니다. 5월 7일 저녁이 되면 ‘송신제’라는 단오의 마지막 제사를 지내고, 제사 때 사용했던 종이로 만든 꽃, 배, 용 등을 태우며 막을 내립니다

단오 풍습 No2.

Q. 단오에는 어떤 음식을 먹었나요?

단오에는 몸을 보양하고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는 의미로 여러 음식을 먹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수리취떡, 앵두화채, 앵두편, 제호탕, 준치를 활용한 요리 등이 있습니다.

수리취떡은 대표적인 단오 음식인데요. 수리취는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로 영양이 풍부합니다. 단오는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수레’와 발음이 비슷하다 하여 수리취떡을 할 때 수레 모양의 틀을 찍어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단오 음식 수리취떡
▲ 수리취떡

앵두는 단오 때 익는 제철 과일입니다. 따라서 앵두를 이용한 음식도 단오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입니다. 앵두편은 잘 익은 앵두를 삶아서 걸러 과즙을 내린 후, 꿀을 넣고 조려서 만든 다과입니다. 앵두즙에 녹말을 넣어 굳히면 묵처럼 단단하고도 말랑하게 만들어지는데, 이를 썰어 담아냅니다.

맛도 좋지만 앵두는 색이 고와서 단오와 같은 행사 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됐습니다. 앵두편은 단오뿐 아니라 궁중 연회에도 자주 선보였던 음식입니다.

단오 음식 앵두편
▲ 앵두편

제호탕은 갈증 해소에 탁월한 음료로, 오미자, 인삼 등 한약재를 갈아 분말로 만든 뒤에 물에 풀어 끓였다가 식혀 먹습니다. 꿀을 넣어 달콤한 맛을 내기도 합니다. 제호탕은 몸에 좋은 약재를 넣어 만들었기 때문에 임금에게도 올리던 음료였습니다.

단오에 제호탕을 마신 데에는 여름의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려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호탕을 단오부터 여름 내내 마시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고 하네요. 준치는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으로 널리 알려진 생선입니다. 청어목에 속하는 흰살생선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단오 음식 제호탕
▲ 제호탕

깊은 바닷속 높은 수압에 견디기 위해 준치의 살은 단단하게 진화했는데, 이 때문에 다른 생선에 비해 잘 부패하지 않습니다. ‘썩어도 준치’는 가치가 높은 것이 낡거나 상해도 여전히 가치가 있을 때 사용하는 말로 준치가 잘 상하지 않기 때문에 만들어진 속담입니다.

준치를 이용한 단오 음식으로는 준치탕과 준치만두가 대표적입니다. 준치탕은 준치의 살을 발라내 완자를 만들어 넣은 맑은 탕입니다. 준치 만두는 준치살에 쇠고기를 넣어 소를 만든 것으로, 만두의 피를 따로 빚지 않고 소를 전분 가루에 굴려 만든 게 특징입니다. 단단한 준치의 살에는 단백질이 많기 때문에 영양 면에서도 우수합니다.

단오음식 준치 만두
▲ 준치 만두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보양식이 궁금해?! 이열치열 보양식 & 시원한 보양식 살펴보기 바로가기
2 요즘 여름 보양식 상식 ‘냉 보양식’ 바로가기
3 한식을 차리다 건강을 차리다 바로가기
4 한식의 차가운 맛 VS 뜨거운 맛 바로가기
5 시식과 한식의 건강함, 제철 영양의 보고 ‘제철음식’ 바로가기
6 푸릇푸릇 아삭아삭 달콤한 여름의 맛 바로가기
7 여름 노래와 시로 읊는 빨강 여름의 맛 바로가기
8 여름 노래와 시로 읊는 초록 여름의 맛 바로가기
9 약 70년간 이어온 깔끔하고 담백한 서울식 설렁탕의 맛 바로가기
10 섬세하고 세심한 평양냉면의 맛 그 맛의 백년대계를 위해 바로가기
11 펄떡이는 기력을 찾아 전국 수산물 거리를 가다 바로가기
12 풍요로운 추석 넉넉하게 만들고 화목하게 나누다 바로가기
13 슬기로운 ‘송편 소’ 탐구생활 바로가기
14 예나 지금이나 여름엔 국수 바로가기
15 말린 생선으로 푸짐한 겨울나기 바로가기
16 우리나라 대표 액막이 잡곡 ‘팥’, 역귀와 액운을 몰아내고 더위와 추위를 떨쳐내다 바로가기
17 향긋한 봄을 마시다 ─ 환절기 건강을 돋우는 봄꽃차 바로가기
18 봄과 여름 사이 ─ 단오 풍습과 단오 음식 -
19 제철 봄나물 죽순 ─ 죽순나물 먹어보고 상장막대기 팬다 바로가기
20 나무순 3총사로 되찾는 한봄 입맛 바로가기
21 ‘맛있고도 완벽한 참외’에 얽힌 속담들 바로가기
22 그대는 행복을 전해주는 미꾸라지 바로가기
23 무더위에 지친 입맛 돌아오는 여름철 보양 수산물 3선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