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전문가 이야기
  • 이동

h2mark 경주 전통혼례음식, 경주의 흥겨운 뒤풀이 ‘공반상’

경주 전통혼례음식, 경주의 흥겨운 뒤풀이 ‘공반상’

동체의식에서 피어난

경주의 전통혼례문화

영남지역, 특히 경주 일원의 전통혼례는 주로 유교문화를 중심으로 조선초기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일련의 의례로서 동양문화의 중심인 물질보다는 정신을, 개인보다는 우리를 내세우는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혼례날 자세히 보기

경주를 비롯한 영남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사례편람의 조례에 따라 혼례절차를 수행하였다.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신부 양가의 의사를 전달하고 의논하는 의혼(議婚)을 시작으로 혼인을 받아들이는 납채(納采),

혼인이 합의된 후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혼인서약의 징표를 보내는 납폐(納幣), 신랑이 신부집으로 혼인예식을 올리러 가는 초행(初行), 사랑, 차례, 종족보존의 의미를 갖고 있는 기러기에게 북향재배(北向再拜)를 올린 다음,

기러기를 신부에게 바치고 혼인을 맹세하는 전안례(奠雁禮) 그리고 혼인의 예식을 올리는 대례(大禮)로 이어진다.

경주 혼례날 자세히 보기

대례는 신랑 앞에 차려진 상 위에 기러기를 놓고 북쪽을 향하여 두번 절을 하게 되는 데, 첫번째 절은 임금을 뜻하는 북극성에 하고 두번째 절은 신부댁 조상신에게 한다.

기러기를 신부의 어머니에게 건네주면 신부의 치마폭에 던지는데, 이는 신랑이 신부에게 처음으로 선물하는 사랑과 애정 그리고 남편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겠다는 약속의 증표이다.

그리고 신랑과 신부는 손을 씻고 절을 교환하는 데 신부는 네 번, 신랑은 두 번 절한다.

절의 횟수는 음양의 원리에 의한 것이고 우주가 돌아가는 형상에 따라 신랑의 술잔은 초례상 위로 신부의 술잔은 아래로 교환하여 마신다.

술은 마시되 안주는 먹지 않는다. 처음으로 주고받는 평생의 약속과 맹세, 그리고 사랑과 애정이 담긴 술맛의 향기를 오래 간직하기 위함이다.

♣ 경주 유일의 뒤풀이 행사

경주의 혼례에는 전국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특별한 식순이 남아있다. 바로, ‘공반상(共飯床)’을 나눠 먹는 뒤풀이 행사이다.

혼례가 끝나고 초례상에 오른 과일과 인절미를 하객들과 나누는데, 이 상을 ‘공반상’이라고 한다. 상이 차려지면 함께 둘러 앉아 뒤풀이가 한바탕 벌어지는데, 오직 경주의 전통혼례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경주 혼례날 흥겨운 뒤풀이 ‘공반상’

푸짐하지는 않아도 조금씩 나눠먹는 경주 전통혼례. 이는 흉년기에 곳간을 헐어 곡식을 나눠 줬던 경주 최부자의 노블리제 오블리쥬 정신이 녹아있는 듯하다.

이렇게 경주 전통혼례 속 천지인(天地人)인의 조화와 진정한 이웃사랑 정신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래본다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충북 음식에 담긴 중용의 미학 「반찬등속」 바로가기
2 한반도의 중심, 경기 미식의 가치 바로가기
3 애향심으로 찾은 전북食의 뿌리 바로가기
4 섬김의 미학이 빚어낸 품격 있는 종가食 바로가기
5 조선 양반의 기품처럼 꾸밈없이 담담한 충남 미식 바로가기
6 통영에서 찾은 경남 食의 뿌리 바로가기
7 배움으로 이은 강원도의 향 바로가기
8 남도 전통을 살리는 모던 감각 바로가기
9 뿌리 깊은 제주 자연주의 바로가기
10 전문가에게 듣다, 자유통일문화원장 이애란 바로가기
11 계절과 삶이 깃든 한국인의 밥상 바로가기
12 충청은 오래된 문명의 땅이다 바로가기
13 섬의 제사 음식 바로가기
14 맛있는 밤, 설야멱적 즐기기 바로가기
15 재미있는 옛날 과일.채소 저장법 바로가기
16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바로가기
17 가을과 겨울 사이의 연포회 바로가기
18 동동주와 막걸리가 다르다고? 바로가기
19 궁중 청량음료를 아시오? 바로가기
20 워낙 흔해서 많이 먹으나 별맛이 없다 바로가기
21 가을요리, 내 집의 자랑거리 음식 바로가기
22 국과 찌개, 그것이 문제로다 바로가기
23 우리 된장의 새로운 모습 바로가기
24 백숙에서 치킨으로, 한국을 지배한 닭 이야기 바로가기
25 어디에서 온 송편입니까? 바로가기
26 조선 후기 매운맛 마니아 바로가기
27 제주 전통혼례음식, 가문잔치가 열리는 제주의 ‘돗 잡는날’ 바로가기
28 안동 전통혼례음식, 신랑의 지혜로움과 건강함을 알아보는 ‘묵’ 바로가기
29 경주 전통혼례음식, 경주의 흥겨운 뒤풀이 ‘공반상’ -
30 건강을 추구하는 세계인들에게 한식을 권합니다 바로가기
31 더욱 재미있어질 전통주 세계로의 초대 바로가기
32 오래된 지혜의 밥 바로가기
33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따뜻해지는 국밥 한 술의 추억, 안성 ‘안일옥’ 바로가기
34 사찰요리로 베를린영화제 다녀온 정관 스님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