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체의식에서 피어난
경주의 전통혼례문화
❞영남지역, 특히 경주 일원의 전통혼례는 주로 유교문화를 중심으로 조선초기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일련의 의례로서 동양문화의 중심인 물질보다는 정신을, 개인보다는 우리를 내세우는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혼례날 자세히 보기
경주를 비롯한 영남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사례편람의 조례에 따라 혼례절차를 수행하였다.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신부 양가의 의사를 전달하고 의논하는 의혼(議婚)을 시작으로 혼인을 받아들이는 납채(納采),
혼인이 합의된 후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혼인서약의 징표를 보내는 납폐(納幣), 신랑이 신부집으로 혼인예식을 올리러 가는 초행(初行), 사랑, 차례, 종족보존의 의미를 갖고 있는 기러기에게 북향재배(北向再拜)를 올린 다음,
기러기를 신부에게 바치고 혼인을 맹세하는 전안례(奠雁禮) 그리고 혼인의 예식을 올리는 대례(大禮)로 이어진다.
대례는 신랑 앞에 차려진 상 위에 기러기를 놓고 북쪽을 향하여 두번 절을 하게 되는 데, 첫번째 절은 임금을 뜻하는 북극성에 하고 두번째 절은 신부댁 조상신에게 한다.
기러기를 신부의 어머니에게 건네주면 신부의 치마폭에 던지는데, 이는 신랑이 신부에게 처음으로 선물하는 사랑과 애정 그리고 남편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겠다는 약속의 증표이다.
그리고 신랑과 신부는 손을 씻고 절을 교환하는 데 신부는 네 번, 신랑은 두 번 절한다.
절의 횟수는 음양의 원리에 의한 것이고 우주가 돌아가는 형상에 따라 신랑의 술잔은 초례상 위로 신부의 술잔은 아래로 교환하여 마신다.
술은 마시되 안주는 먹지 않는다. 처음으로 주고받는 평생의 약속과 맹세, 그리고 사랑과 애정이 담긴 술맛의 향기를 오래 간직하기 위함이다.
♣ 경주 유일의 뒤풀이 행사
경주의 혼례에는 전국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특별한 식순이 남아있다. 바로, ‘공반상(共飯床)’을 나눠 먹는 뒤풀이 행사이다.
혼례가 끝나고 초례상에 오른 과일과 인절미를 하객들과 나누는데, 이 상을 ‘공반상’이라고 한다. 상이 차려지면 함께 둘러 앉아 뒤풀이가 한바탕 벌어지는데, 오직 경주의 전통혼례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푸짐하지는 않아도 조금씩 나눠먹는 경주 전통혼례. 이는 흉년기에 곳간을 헐어 곡식을 나눠 줬던 경주 최부자의 노블리제 오블리쥬 정신이 녹아있는 듯하다.
이렇게 경주 전통혼례 속 천지인(天地人)인의 조화와 진정한 이웃사랑 정신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