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전문가 이야기
  • 이동

h2mark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황광해 음식평론가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황광해(음식평론가)

금제작회와 더불어 농어회는 조선시대 선비들의 로망이었다.

♣ 금빛으로 버무린 회

‘금제작회(金虀斫膾)’는 로맨틱하다. ‘금빛으로 버무린 회’라는 뜻이다. 그것은 조선시대 기록 군데군데 나타난다. 조금씩 표현이 다르다.

횟감은 농어[鱸魚, 노어]고 계절은 늦가을 서리가 내린 후다. ‘서리가 내린 후 석자 미만의 농어’가 횟감이라고 못 박았다. ‘제(虀)’는 채소나 생선, 고기 등에 식초 등을 넣고 버무린 초절임이다. 가을 국화꽃잎과 잘게 썬 귤, 여뀌 등을 곁들인다. ‘작회’는 가늘게 채 썬 회를 말한다.

♣ “논어” ‘향당’ 편

“(공자께서는)정하게 지은 밥을 싫어하지 아니하셨고, 가늘게 썬 회를 싫어하지 아니하셨다”고 했다. 정하게 지은 밥이나 가늘게 썬 회가 최고다. 그러나 구복口腹을 위하여 굳이 정한 밥과 가늘게 썬 회를 찾지는 않았다는 뜻이다.

♣ 순갱노회, 고향을 그리워하다

금제작회와 더불어 농어회는 조선시대 선비들의 로망이었다.

농어회는 중국 진晉나라에서 벼슬살이를 하던 장한의 ‘순갱노회’에서 시작되었다. 장한은, 가을바람이 불자, 어느 날 문득 “고향의 순채국[蓴羹, 순갱]과 농어회가 그립다”며 고향 강동 오군江東 吳郡으로 돌아갔다.

장한이 살얼음판 같은 정치판에서 스스로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갔다는 뒷이야기도 있지만 조선의 선비들은 ‘순갱노회’를 이루지 못할 꿈, 판타지로 여겼다.

조선 중기 문신 계곡 장유(1587-1638년) 역시 순갱노회를 노래한다.

-

외로운 학 울음소리에 나그네 꿈 깨고 보니,

주방에서 큰 농어로 회를 뜬다네.

평생토록 장한의 흥취를 그리워했으니

지금 곧장 노 저어 동오로 갈거나.

-

장한의 정취가 어린, 동오의 농어회가 바로 순갱노회다.

♣ ‘다산(1762-1836년)의 농어회’는 얼마쯤 절박하고, 얼마쯤 코믹하다.

1830년 무렵, 다산은 긴 귀양살이를 끝내고 고향인 마재[馬峴, 마현]에 돌아와 있었다. “다산시문선”에는 “영명위 홍현주(1793-1865년)가 농어를 보기 위하여 마현에 왔다”고 했다.

홍현주는 정조대왕의 딸 숙선옹주의 남편이다. 전 국왕의 사위이자 현 국왕의 매제다. 게다가 숙선옹주는 순조와 사이도 좋았다. 이런 ‘거물’이 단순히 농어회를 먹으러 머나먼 마재까지 온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어쨌든 겉으로는 농어를 보기 위하여 왔다. 오는 날이 장날이다. 하필이면 이날 농어가 잡히지 않아 애태우는 모습을 다산은 시에서 그렸다.

‘눈먼 농어가 한 마리 잡혀 겨우 체면은 구기지 않았다’고 했다. 당시에도 모임 자리를 만들 때 “농어회나 한 점 하시면서 이야기나 나누지요”라는 코멘트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농어회와 금제작회는 고려시대 기록에도 나타난다.

고려 말기 문신 가정 이곡(1298-1351년)은 목은 이색의 아버지다. 목은과 마찬가지로 가정 역시 음식에 대한 기록을 많이 남겼다.

늦은 식사에 나물국만 해도 맛 좋은데

동정향(귤)을 나눠준다니 깜짝 놀랄 일

안개 낀 강의 옥 같은 회[玉膾]는 구할 길 없어도

이따금 금제(金虀)를 대하면 흥을 가누지 못한다네.

이 시의 동정향(귤), 옥 같은 회, 금제 등을 엮으면 금제작회가 된다. 금제작회는 ‘금제옥회金虀玉膾’라고도 불렀다. 옥회는 옥처럼 뽀얗다는 뜻. 회를 썰면 마치 은실[銀絲] 같이 가늘고 뽀얗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 옥담 이응희, 서해안을 담다

“옥담사집”에도 농어회는 등장한다.

우리 해동으로 언제 들어왔던가

작은 비늘 은빛보다 희고

두툼한 살 옥빛 같아라

회로 준비해서 귀한 손님 대접하고

탕으로는 늙은이 배를 불린다

누가 이 맛을 능히 알리오

그 옛날 장공을 생각할 뿐

송강은 중국 지명이다. ‘장공’은 진나라 장한이다. 시 제목은 ‘농어’다. 역시 장한의 ‘순갱노회’를 노래했음을 알 수 있다.

옥담 이응희(1579-1651년)는 성종대왕의 후손으로 왕실 종친이다. 광해군 시절 대과 초시에 합격했지만 벼슬길을 접고, 경기도 산본 수리산 기슭 향촌에서 선비로 살면서 서민의 삶을 직접 겪었다. 옥담은 서해안 가까운 향촌의 풍경, 풍습을 시로 남겼다. 당연히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생선, 생선회’의 이야기도 많이 남아 있다

♣ “조선시대 서민들은 어떤 회를 먹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도 옥담의 시에서 얻을 수 있다. 생선회에 관한 한, 내륙의 궁궐보다 바닷가 서민들이 더 자유로웠다. 냉장, 냉동 시설이 없던 시절이다. 싱싱한 생선, 횟감은 바닷가 가까이 있는 이들의 몫이었다.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No1.

밴댕이가 시장에 가득 나와

하얀 눈이 촌락을 덮었네

상추쌈을 싸면 맛이 으뜸이고

보리밥에 먹어도 맛이 좋아라

옥담 이응희의 “옥담사집_만물편” 중 ‘밴댕이[蘇魚, 소어]’ 부분이다. 밴댕이를 회로 먹었고 상추쌈에 싸먹었음을 알 수 있다.

계곡 장유는 “홀연히 생각나는 금강의 별미/금제작회에 여린 싹의 붉은 빛이라니”라고 했다. 붉고도 여린 싹은 아마도 여뀌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조선시대에는 회를 먹을 때 여뀌를 곁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 옥담은 조선중기 서민들이 여러 생선회를 먹었음을 보여준다.

은어(銀魚)를 두고,

쟁반에 은빛이 반짝이고

도마에 백설 빛이 휘날린다

-

하고, 준치[眞魚]는

-

솥에 넣어 탕으로 끓여도 좋고

회를 쳐서 쟁반에 올려도 좋다

-

고 했다. 그 외에도 숭어, 쏘가리, 위어 등이 횟감으로 좋다고 적었다.

♣ 위어葦魚는 웅어熊漁라고도 한다.

예나 지금이나 강화도, 행주산성 일대와 서해안에서 많이 잡혔다. 궁중에서는 한양도성과 가까운 행주산성, 경기 서해안에 위어소葦魚所를 설치하고 위어를 구했다. 위어를 ‘왕이 회로 먹던 생선’이라고 부르는 이유다.

그러나 위어를 왕만 먹었던 것은 아니다. ‘왕에게 진상한 물고기’로 부르는 것도 정확치는 않다. 명태, 조기부터 전복과 밴댕이까지 왕에게 진상하지 않았던 생선은 없다. 위어는, 왕도 먹고 선비 옥담 이응희도 먹고, 옥담과 더불어 살았던 서민들도 먹었다.

중종 때는 위어 잡이 권리를 두고 중신 박원종의 아내와 왕실이 다툼을 벌인 일도 있었다. 금제작회처럼 귀하게 여기는 것도 있었지만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이 생선회를 즐겼다.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No2.

♣ 한반도가 즐긴 회膾

오늘날 우리는 활어회를 즐긴다. 일본은 선어회가 주류다. 한국과 일본의 회 문화는 다르다. 일본은 생선 본연의 맛을 추구하지만 한국식 회는 ‘상추쌈에 회, 밥, 장醬을 얹고 입이 미어터지게 밀어 넣는 식’이다.

‘회膾’는 ‘고기 육肉+모을 회會’다. 회의 원형은 생선이 아니라 날고기다. 고대에는 모든 민족이 생선, 고기 등을 날 것으로 먹었을 터이다.

조선 사대부들이 중국의 회를 언급한 것은 당시 선진국이었던 그들의 문물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정작 중국의 생선회는 명나라 무렵 사라진다. 한반도에서는 향촌의 서민들도 여러 종류의 생선을 회로 먹었다.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충북 음식에 담긴 중용의 미학 「반찬등속」지명순 교수 바로가기
2 한반도의 중심, 경기 미식의 가치, 박종숙 원장 바로가기
3 애향심으로 찾은 전북食의 뿌리, 송영애 교수 바로가기
4 섬김의 미학이 빚어낸 품격 있는 종가食, 허성미 교수 바로가기
5 조선 양반의 기품처럼 꾸밈없이 담담한 충남 미식, 윤혜려 교수 바로가기
6 통영에서 찾은 경남 食의 뿌리, 황영숙 교장 바로가기
7 배움으로 이은 강원도의 향, 요리연구가 송분선 바로가기
8 남도 전통을 살리는 모던 감각, 무형문화재 이애섭 바로가기
9 뿌리 깊은 제주 자연주의, 고정순 교수 바로가기
10 전문가에게 듣다, 자유통일문화원장 . 전통음식문화연구원장 이애란 바로가기
11 계절과 삶이 깃든 한국인의 밥상, 권대영 박사 바로가기
12 충청은 오래된 문명의 땅이다. 박정배 칼럼니스트 바로가기
13 섬의 제사 음식, 강제윤 시인 바로가기
14 맛있는 밤, 설야멱적 즐기기, 유현수 셰프 바로가기
15 재미있는 옛날 과일.채소 저장법, 김영빈 요리연구가 바로가기
16 날 것으로 즐기는 조선의 회 사랑, 황광해 음식평론가 -
17 가을과 겨울 사이의 연포회, 윤덕노 음식문화평론가 바로가기
18 동동주와 막걸리가 다르다고? 허시명 술평론가 바로가기
19 궁중 청량음료를 아시오? 김상보 전통식생활문화연구소 바로가기
20 워낙 흔해서 많이 먹으나 별맛이 없다. 박상현 칼럼리스트 바로가기
21 가을요리, 내 집의 자랑거리 음식, 이미경 요리연구가 바로가기
22 국과 찌개, 그것이 문제로다. 한성우 교수 바로가기
23 우리 된장의 새로운 모습,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정도연 바로가기
24 백숙에서 치킨으로, 한국을 지배한 닭 이야기. 정은정 박사 바로가기
25 어디에서 온 송편입니까? 신완섭 소장 바로가기
26 조선 후기 매운맛 마니아, 주영하 교수 바로가기
27 제주 전통혼례음식, 가문잔치가 열리는 제주의 ‘돗 잡는날’ 양용진 요리연구가 바로가기
28 안동 전통혼례음식, 신랑의 지혜로움과 건강함을 알아보는 ‘묵’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박장영 바로가기
29 경주 전통혼례음식, 경주의 흥겨운 뒤풀이 ‘공반상’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박장영 바로가기
30 건강을 추구하는 세계인들에게 한식을 권합니다. 윤숙자 소장 바로가기
31 더욱 재미있어질 전통주 세계로의 초대, 배우택 CEO 바로가기
32 오래된 지혜의 밥, 선재스님 한식진흥원장 바로가기
33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따뜻해지는 국밥 한 술의 추억, 안성 ‘안일옥’ 바로가기
34 사찰요리로 베를린영화제 다녀온 정관 스님 바로가기
35 바람으로 한껏 농축되는 대봉감의 쫀득한 단맛 바로가기
36 나물 한입, 입안 가득 퍼져 흐르는 봄, 최향란 찬품장 각색 진채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