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3. 발효음식 이야기
  • 이동

h2mark 신윤복 주사거배로 알아보는 한국 전통술 문화

신윤복 주사거배(酒肆擧盃)로 알아보는 한국 전통술 문화

주사거배(酒肆擧盃), 그림을 읽다

“술잔을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고, 술항아리를 끌어안으며 맑은 바람을 마주한다(擧盃邀皓月 抱甕對淸風)”

- 주사거배 제화시-

신윤복은 김홍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풍속화가로, 그의 작품은 뛰어난 예술작품이자 당시 생활상을 알려주는 귀중한 역사 자료이다. 특히 <혜원전신첩>에 실린 그의 작품 주사거배(酒肆擧盃)를 통해 우리는 조상들의 전통술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주사거배는 ‘술집에서 술잔을 들다’라는 뜻으로 한양의 선술집 풍경을 묘사한 그림이다. 분홍빛 진달래가 소담스럽게 핀 어느 봄날, 5명의 남자들이 술집을 찾았다.

넓은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양반 사대부부터 붉은 옷을 입은 무예청 별감, 검은색 고깔모자를 쓴 의금부 나장까지. 그림 속 술집을 찾은 손님들의 계층은 매우 다채롭다.

실제로 우리 조상들은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자유롭게 술을 즐겼다. 불교 사회였던 고려 시대에는 주로 사찰에서 술을 대량으로 제조해 판매하였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 불교를 배척하게 되면서 술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일 역시 사라졌다.

그 대신 집안의 행사나 제례 등에 술을 사용하기 위해 일반 가정에서 소량의 술을 제조하게 되었다.

이렇다 보니 당연히 술집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였고,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다 함께 술을 즐기는 모습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나 1739년(정조 13년)에 자유 상업을 공인하는 신해통공 제도가 단행되면서 시장이 활성화되고 상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 결과 물건을 운송하는 나루터를 중심으로 객주와 술집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렇게 들어선 술집들의 주요 고객은 별감과 나장 같은 하급 관리, 역관 등의 기술직 중인, 그리고 양반과 상민들까지 매우 다양했다. 이러한 풍습은 조선 후기를 지나 개화기까지도 그대로 이어졌다.

개화기 조선을 여행한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에 ‘지체가 높은 사람들도 잔치 끝에는 술에 취해 마루에 구르기도 한다’고 기록했다.

개화기에 조선에 파견된 천주교 주교 다블뤼 역시 ‘영의정이나 임금도 공공연히 술을 많이 마신다.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 바닥에 뒹굴거나 술을 깨기 위해 잠을 잔다. 그래도 아무도 놀라거나 불쾌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김홍도의 <주막>
▲ 김홍도의 <주막>

♣ 그림 속 조선시대 안주 문화

신분 계층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술을 즐긴 우리 조상들은 주로 어떤 술과 안주를 먹었을까. 주사거배 속 술집은 서서 술을 마시는 선술집으로 싼 가격에 술과 안주를 먹을 수 있었다. 특히 조선시대 선술집은 술값에 안주가 포함되어 있어서 술 한 잔에 안주 하나씩을 먹는 방식이었다.

그림 속 주모는 부뚜막 앞에 앉아 손님들에게 술을 따라주고 있다. 주모의 손에는 손잡이가 긴 술구기가 들려있으며 손님들 앞에 그릇들이 어지러이 놓여있다. 그릇들 중 6개는 탕기와 종지이고, 2개는 낮은 굽다리가 있는 접시이다. 이 접시들에는 다양한 안주들이 놓였을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여러 가지 포를 이용해 만든 마른안주, 젓갈, 전, 회, 전골 등을 안주로 먹었다. 마른안주에는 육포와 어포, 실백, 호두, 은행 등이 사용되었다. 육포는 고기를 얇게 저며 소금 간을 하거나 간장 양념을 하여 말렸다.

어포는 흰 살 생선을 얇게 저민 후 양념하여 말려서 만들었다. 이외에도 건복이나 건문어, 북어, 어란 등도 안주로 활용하였다. 젓갈은 따뜻하게 데운 약주에 즐겨 먹었으며 어리굴젓, 창난젓 등이 자주 사용되었다. 전은 매우 보편적으로 먹었던 안주로 생선, 고기, 채소 등을 이용해 만들었다.

회는 제철을 맞은 재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여름에는 민어를 이용한 숙회, 가을 겨울에는 육회를 먹었다. 전골은 쇠고기를 이용한 것이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때에 따라 생굴, 낙지, 두릅, 각색 채소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구절판이나 밀쌈, 편수, 만두, 회, 편육, 김치, 나물 등을 먹기도 했다.

김홍도의 <설후야연>
▲ 김홍도의 <설후야연>

♣ 다양하고 화려했던 우리의 전통주

술의 종류 역시 매우 다양했다. 문헌상에 남아있는 기록만을 살펴보아도 1450년대 <산가요록>을 시작으로 1670년대 최초의 한글 고조리서 <음식디미방>, 1800년대 <양주방>, 1900년대 초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이르기까지 50여 문헌에서 조선시대의 수많은 술 제조법을 찾아볼 수 있다.

개화기 여행가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에서 우리의 전통주에 대해 ‘조선의 술은 외형상 버터밀크를 닮은 매우 감칠맛이 도는 하얀 음료에부터 매우 순하고 물로 희석된 강한 냄새와 타는 독한 맛의 화주까지 다양하다’고 기록했다.

주사거배의 배경은 진달래가 활짝 핀 늦은 봄날이다. 아마도 그림 속 손님들이 마신 술은 초봄에 양조하여 늦봄부터 여름까지 마시는 술이었을 것이다.

소곡주, 두견주, 도화주, 송손주 등과 같은 약주 또는 감흥로, 벽향주, 이강주, 죽력고, 계당주, 노산춘, 삼해주와 같은 소주가 우리 조상들이 마시던 대표적인 봄철 전통주였다. 여름철에는 주로 덥고 습한 날씨에도 쉽게 상하지 않는 과하주(過夏酒)를 만들어 먹었다.

과하주는 발효주와 증류주를 혼합해서 빚는 술이다. 이는 포르투갈의 포트와인을 제조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때문에 과하주 역시 포트와인처럼 도수가 높으면서 달콤한 맛을 낸다. 이외에 창포주, 신도주, 국화주, 구기자주 역시 여름에 즐기던 술이었다.

이토록 다양했던 우리 민족의 전통술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하나둘씩 사라져 버렸다. 1930년대 일제가 일시적으로 가양주 면허를 허용했을 때만 해도 37만여 개의 전통술이 면허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남아있는 문헌과 옛 방법을 이용해 소수의 술을 제조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통술을 되살리고 새롭게 변화시켜 명맥을 이어나가려는 노력이 계속해서 시도되고 있다.

특히 고무적인 점은 이러한 변화를 선도하는 것이 바로 젊은 양조인들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옛 문헌을 연구해 전통주 제조 방법을 되살리는 동시에 새로운 제조법과 원료들을 사용해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자신만의 색다른 전통주를 창조해내고 있다.

한국 전통술 문화 참고자료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한국 장류, 세계인의 소스가 되다 바로가기
2 “장 잘 담그면 1년 근심을 던다” 장, 가풍이 되다 바로가기
3 바다와 땅이 내준 재료에 발효를 더하다, 식해 바로가기
4 역사의 손맛, 김치 자연의 리듬을 따르는 지혜 ‘김장문화’ 바로가기
5 곰삭은 맛, 젓갈에 취하다 <부안 곰소 vs 충남 강경> 바로가기
6 겨울철 김치가 맛있는 이유 바로가기
7 옹기 채로 훔쳐간다는 씨간장, 씨간장이 뭐길래? 바로가기
8 시간과 자연이 준 선물 한국의 저장음식 바로가기
9 귀한 소금에 절인 김치로 겨울나기 바로가기
10 신윤복 주사거배로 알아보는 한국 전통술 문화 -
11 우리 술, 계절을 품다 바로가기
12 전통주가 궁금해?! 바로가기
13 짭조름하면서도 곰삭아 깊은 감칠맛, 젓갈 바로가기
14 미국 역사보다 오래된 전통 씨간장, 수백 년을 이어가는 비결 바로가기
15 증류식 소주에 담긴 남다른 콘텐츠 바로가기
16 MZ세대와 세계인까지 사로잡은 막걸리의 매력 바로가기
17 ‘지속 가능한 된장’의 미래를 생각하다 바로가기
18 달짝지근한 매콤함으로 세계인 입맛 사로잡은 K-소스 ‘고추장’ 바로가기
19 선조들의 못 말리는 ‘장’ 사랑 바로가기
20 정성과 기다림으로 완성되는 발효의 맛, 김치 바로가기
21 오래 삭혀 만드는 웅숭깊은 감칠맛, 세계 각국의 다양한 젓갈들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