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종가음식 음식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미쌈

미쌈
식재료 두부, 돼지고기, 다진 대파, 달걀, 식용유, 소금, 후훗가루
미쌈은 황희 선생의 불천위제사에 올리는 제수 중 전(前)에 해당한다. 미쌈의 ‘-쌈’은 ‘싸서 먹는 음식’을 표현한 접미사다. 내장을 빼낸 해삼 안에 부재료를 넣고 감싸서 만드는 조리법이 음식명에 적용된 결과다. ‘미’는 해삼(海蔘)을 의미하는 순 한글 ‘뮈’가 현대로 오면서 변형된 것이다. 1802년 이가환이 쓴 어휘집 <물보(物譜)>에 해삼을 순 한글 ‘뮈’로 기록하고 있다. 1800년대 말엽 조리서 「시의전서」에 ‘해삼뮈쌈’과 1900년대 「조선요리법」, 「우리음식」에 ‘미쌈’의 기록으로 보아 ‘뮈’가 한자어 ‘해삼’과 공존하다가 ‘미’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 조리서에 미쌈은 건해삼을 물에 불려 다진 고기와 두부를 넣고 밀가루와 달걀물을 묻혀 지진 음식으로 나온다. 이 음식 기록은 1700년대 홍만선이 지은 「산림경제」에 ‘海蔘前法(해삼전법)’으로 처음 등장한다. 해삼전 조리법은 종가 구성원들이 기억하는 미쌈의 옛날 조리법과 같았다. 현재 종가에서는 해삼을 사용하지 않는다. 해삼 속에 다진 고기와 두부를 넣어 감싸는 대신 달걀지단을 직사각형으로 부쳐 고기와 두부를 섞은 소를 올려 감싸서 익혔다. 종가에서 해삼으로 감싼 미쌈은 사라졌지만, 정성이 가득 담긴 조리법으로 변형되어 현재까지 황희 선생 불천위제사 음식으로 올리고 있다. 으깬두부, 다진 돼지고기, 다진 대파를 한데 모아 양념하여 소를 만든다. 지단을 부친 후 소를 올려 감싸 익힌다.
가문명 장수 황씨 방촌 황희 종가

  • Total : 256/1Page
  • 이동
문어수란챗국

문어수란챗국

밀성 손씨 인묵재 손성증 가문

상세정보

도미찜

도미찜

해주 오씨 퇴전당 오정방 종가

상세정보

안동송편

안동송편

한산 이씨 대산 이상정 종가

상세정보

상추속대전

상추속대전

나주 나씨 송도공파 종가

상세정보

육전

육전

행주 기씨 노사 기정진 종가

상세정보

편

안동 권씨 충재 권벌 가문

상세정보

깻잎장아찌

깻잎장아찌

문화 류씨 대승공 류차달 가문

상세정보

가지전

가지전

진성 이씨 온계 이해 종가

상세정보

꽃게소금장

꽃게소금장

반남 박씨 기재 박동량 종가

상세정보

홍어찜

홍어찜

밀양 박씨 남파 박재규 종가

상세정보

숙깍두기

숙깍두기

전주 최씨 평도공 최유경 종가

상세정보

생합작(대합전)

생합작(대합전)

수원 백씨 인제공 백낙중 종가

상세정보

1 2 3 4 5 > >>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