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금융 분야에서 시계열 데이터를 예측하는 데 필요한 머신러닝 기법을 쉽고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예측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실제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세계적인 환경운동가 폴 호컨의 신간. 탄소가 기후위기의 원인이라는 상식을 근본부터 뒤흔드는 이 책은 탄소를 더 이상 ‘범죄자’가 아닌, ‘생명의 창조자’이자 ‘새로운 세계로의 안내자’로 바라보는 전복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러시아의 발명가이자 창의 교육의 대가 발레리 V. 포포프(Valeriy V. Popov) 의 대표 저작 『멘탈 가라테 : 과학기술 창의성과 개념설계 방법론』의 영문판(제4판)을 출간한다.
인공지능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자율적 항해사, 탐사 파트너, 창조적 설계자로 진화하는 과정을 담았다. 한국 우주 개발의 미래까지 조망하며, AI와 인류가 함께 열어 갈 새로운 탐사의 의미를 성찰한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인공지능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자율적 항해사, 탐사 파트너, 창조적 설계자로 진화하는 과정을 담았다. 한국 우주 개발의 미래까지 조망하며, AI와 인류가 함께 열어 갈 새로운 탐사의 의미를 성찰한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기후위기로 여름이 무더워질수록 야구장의 홈런은 늘어날까, 줄어들까? 기계심판의 등장은 야구의 진보인가, 퇴보인가? 과학잡지 에피 33호가 가을을 맞아 ‘야구’ 특집을 다룬다. 과학의 렌즈로 들여다 본 야구는 9회말 2아웃의 역전승처럼 반전과 발견의 즐거움으로 가득하다.
2019년에 <종의 기원-톺아보기>라는 <종의 기원> 번역서를 낸 저자는 당시 다음과 같은 고민에 당도했다. 다윈이 어떤 의미로 경쟁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까? 생존경쟁은 올바른 번역인가? 왜 갑자기 최적자생존이라는 용어를 자연선택이라는 용어 대신 사용했을가? 우리는 어떤 점에서 다윈의 생각과 조금은 다르게 이해하고 있을까. 이 책은 이에 대한 답이다.
무의식을 단순한 본능이나 숨겨진 충동, 억눌린 욕망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대신 세계를 지각하고, 기억을 구성하며,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총제적 인지 시스템이라고 설명한다. 이 책은 꿈, 습관, 환각, 다중인격, 외계인 납치 체험까지 인간이 경험하는 기묘하고도 흥미로운 현상들을 통해 무의식이 어떻게 현실을 재구성하는지 흥미롭게 탐구한다.
‘과학과 일상생활의 접목’과 ‘중학교 과학의 재학습’에 중점을 두고 중학 생물 · 화학 · 지구과학 · 물리를 쉽게 해설하고 있다. ‘과학의 입구’라고도 할 수 있는 중학 과학의 지식을 몸에 익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과학에 자신이 없는 중학생이나 고등학생, 또는 과학을 다시 공부하고 싶은 성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