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국요리 조리법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6. 이야기가 담긴 레시피
  • 이동

h2mark 조선시대 주안상 레시피

조선시대 주안상 레시피

집에서 즐겨보는 풍류의 향취

주안상은 술과 안주를 차려 놓는 상, 즉 술상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반가운 손님이 왔거나 가정과 나라의 경사 때 특별히 술과 술안주를 올려 주안상을 마련했다.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이 주안상에 올리던 것으로 기록된 음식을 소개한다.

■ 세조가 접대한 술안주, 오이김치

오이는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조선왕조실록에 진상품으로 등장하는 귀한 식재료였다. 세조는 늦더위에 지친 재상들에게 술안주로 오이김치를 내놓기도 했다.

세조가 접대한 술안주, 오이김치

♣ 재료 및 분량

오이 10개, 천일염 400g, 부추 200g, 고춧가루 10큰술, 다진 파 4큰술, 다진 마늘 2큰술, 다진 생강 1큰술, 설탕 1큰술, 소금 1큰술, 물

♣ 만드는 법

① 깨끗이 씻은 오이를 5cm로 토막을 낸 뒤 양끝 1cm를 남기고 한가운데에 십자 칼집을 넣는다.

② 소금물에 오이를 2시간 동안 절인 후, 찬물에 헹구고 물기를 뺀다.

③ 부추를 1cm 폭으로 썰어 고춧가루, 물, 다진 파, 다진 마늘, 다진 생강, 설탕, 소금을 모두 넣고 버무린다.

④ 칼집을 낸 오이 안쪽으로 3의 김치 소를 넣고 김치 통에 차곡차곡 넣어준다.

⑤ 3를 버무린 그릇에 소금 1큰술과 물 2컵을 넣어 김치 국물을 만든 다음 김치 통에 붓는다. 항아리에 담아 하룻밤 식힌다.

■ 춘향전에 나오는, 갈비찜

<춘향전>에는 이몽룡을 사위로 인정한 월매가 처음으로 차려준 주안상에 대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화려한 주안상 음식 중 하나가 가리찜인데, 가리찜이란 갈비찜을 가리킨다.

춘향전에 나오는, 갈비찜

♣ 재료 및 분량

소갈비 500g, 무 100g, 당근 100g, 양파 100g, 대파 100g, 마른 표고 4개, 밤 1개, 은행 8개, 마늘 10g

【양념장】 간장 50g, 다진 마늘 8g, 다진 대파 12g, 양파즙 27g, 배즙 27g, 설탕 12g, 참기름 8g, 깨소금 4g, 후춧가루, 물

♣ 만드는 법

① 소갈비를 찬물에 1시간가량 담가 핏물을 뺀다.

② 냄비에 갈비가 잠길 정도의 물을 부은 뒤 양파, 대파, 마늘을 넣고 40분가량 속까지 익도록 삶은 뒤, 갈비는 건지고 삶은 국물은 면포로 한 번 거른다.

③ 삶은 갈비는 칼집을 넣어 냄비에 담은 뒤, 양념장 200g 중 2/3 정도만 먼저 넣은 후, 갈비 삶은 물을 갈비가 반쯤 잠기도록 부어준다.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간불로 줄여 40분가량 뚜껑을 덮고 밤을 넣은 후 은근히 끓인다.

④ 국물이 반쯤 졸아들면 나머지 양념장과 무, 당근, 표고버섯, 은행을 넣고 약한 불에서 한 번 더 끓여 완성한다.

■ 왕실 문헌에도 등장하는, 신선로

신선로는 원래 냄비 이름이었으며, 여기에 끓인 음식을 ‘열구자탕’이라고 불렀다. <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 처음 왕실 문헌에 등장하며 궁중음식 반열에 올랐고 이후 점차 대중화되어 민가에 보급됐다.

왕실 문헌에도 등장하는, 신선로

♣ 재료 및 분량

소고기 150g, 흰살생선 60g, 다진고기 60g, 표고버섯 2개, 두부 30g, 달걀 4개, 은행 12개, 잣 1작은술, 소금, 후춧가루

♣ 만드는 법

① 흰 살 생선에 간을 하고 밀가루와 계란물을 묻혀 팬에서 익힌다.

② 다진 고기와 으깬 두부를 섞고 직경 1cm 크기로 완자를 빚어 밀가루와 달걀물을 입혀 팬에 익힌다.

③ 달걀을 노른자와 흰자로 나눠 팬에서 각각 부친다.

④ 은행을 뜨겁게 달군 팬에 볶은 다음 마른행주로 비벼서 속껍질을 벗긴다.

⑤ 무, 당근을 삶고 미리 준비한 생선전, 지단과 함께 4×3×0.2cm 크기로 썬다.

⑥ 소고기를 삶아 육수를 내고, 삶은 소고기, 표고버섯을 신선로 바닥에 평평하게 펴서 담는다.

⑦ 위에 썰어둔 재료들을 색 맞추어 고르게 돌려 담고 완자와 은행, 잣을 얹는다.

⑧ 팔팔 끓는 소고기 국물을 신선로에 붓는다.

■ 고문서에 기록된, 구절판

구절판이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대 들어서다. 그 기록들을 살펴보면 구절판에 담는 재료가 세월에 따라 약간씩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요리법>에서는 메밀가루로 전병을 부치고 양·처녑·콩팥·무·숙주·미나리·표고·석이를 각각 볶아서 담았다. <조선요리학>에서는 밀가루로 전병을 부치고, 쇠고기와 소양·미나리·표고·숙주·무나물·황백지단을 담았다.

고문서에 기록된, 구절판

♣ 재료 및 분량

쇠고기 120g, 말린 표고버섯 16g, 말린 목이버섯 4g, 숙주 150g, 달걀 3개, 당근 100g, 오이 100g, 밀가루 100g, 물, 식용유

【양념장】 간장 30ml, 다진 마늘 5g, 다진 파 10g, 설탕 10g, 깨 2g, 참기름 15ml

♣ 만드는 법

① 말린 표고버섯과 말린 목이버섯을 미지근한 물에 불려 물기를 짜고 가늘게 채 썬다.

② 양념장을 만들어 반은 5cm 길이로 채썬 소고기와, 나머지 반은 표고버섯에 넣고 무친다.

③ 오이는 4cm 길이로 잘라 돌려깍기하고 가늘게 채 썰어 소금을 살짝 넣고 절인다. 당근은 4cm 길이로 가늘게 채 썰고 숙주는 물에 씻은 후 머리와 꼬리 부분을 제거한다.

④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를 분리하여 각각 지단을 부친 후 가늘게 채 썬다.

⑤ 물기를 꼭 짠 오이, 당근, 숙주, 양념한 소고기, 표고버섯, 목이버섯을 각각 볶는다.

⑥ 밀가루, 물, 소금 약간을 넣고 섞은 후 체에 내려 팬에 반죽 1큰술씩 얇게 펴 구워서 밀전병을 만든다.

⑦ 구절판 접시에 밀전병을 중심으로 볶은 재료들을 돌려 담는다.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장을 담그다 정성을 담그다 바로가기
2 조선의 셰프 서유구에게 배우는 김치에 깃든 지혜 바로가기
3 김치의 화려한 변신! 눈과 입이 즐거운 김치 요리 바로가기
4 밥상 위에 올리는 시원한 맛 국물김치 만들기 바로가기
5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속 뜨거운 음식 열전 바로가기
6 고서 속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의 맛 바로가기
7 고서에서 찾은 제철음식의 맛 바로가기
8 제철 채소 품은 고단백 보양식 바로가기
9 상큼하게 가볍게 시원하게 바로가기
10 8월에 맛~난, 8월의 건강식 바로가기
11 가을의 운치를 담은 추석 상차림 바로가기
12 남은 추석 음식 활용 사전 바로가기
13 샘표의 향미 페어링, 향과 맛을 분리하여 우리 맛 새롭게 발견하기 바로가기
14 재료로 구분하는 전의 종류 바로가기
15 조선시대 주안상 레시피 -
16 함께 즐기는 우리 안주 이야기 바로가기
17 우리가 사랑하는 국·탕 바로가기
18 맛과 영양을 더하다, 국밥의 맛을 업그레이드하는 반찬들 바로가기
19 이야기가 담긴 팥 레시피, 팥으로 만드는 전통 한식 바로가기
20 직접 만들어보는 팥 요리, 든든하고 달콤한 팥 레시피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국전통음식연구소 •한식진흥원 •해외문화홍보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