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 제철음식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한식울 돌려줄께
  • 이동

h2mark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한국인의 생선! 담백한 맛이 일품인 명태를 두고 하는 말이다.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인만이 주로 즐겨 먹는 생선이기 때문이다. 12월에서 1월까지가 제철로 머리부터 꼬리까지 버리는 부위가 하나도 없다. 한국인의 삶 속에 깊이 자리 잡은 명태. 그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도 어김없이 만나게 된다.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No1.

♣ 조선 후기 기록에 이름 첫 등장

우리나라에서 명태 어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 후기부터이다. 명태(明太)라는 이름이 널리 통용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 명태는 조선 초기까지 그 어떤 기록에서도 보이지 않다가 1530년에 나온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무태어(無泰魚)라는 칭호로 비로소 등장한다.

이후에는 어렵지 않게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승정원일기』 효종 3년(1652)의 기록에 보면 강원도에서 진상하는 대구 어란에 명태 어란을 더 보태어 넣은 것을 두고 문제가 되었다고 나와 있다.

이때 명태가 많이 잡혀 명태 어란은 귀하지 않았으며 명태라는 이름도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만영의 『재물보(才物譜)』(1798)에는 북해(北海)에서 나기 때문에 북어라 한다는 기록이 나오고 서유구의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1820)에서는 생것은 명태, 말린 것은 북어라고 한다고 했다.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No2.

명태를 조선 초기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을 두고 여러 가지 추측이 있다. 이름이 없는 생선은 먹으면 안 된다는 미신이 있어서 이름이 붙은 이후부터 잡게 되었다는 설과 명태와 대구를 동일시했으리라는 설 등이다. 명태라는 이름의 기원에도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 이유원의 『임하필기(林下筆記)』를 보면 “명천(明川)에 사는 어부 중 성이 태씨(太氏)인 사람이 물고기를 낚았는데, 이름을 몰라 지명의 명(明) 자와 잡은 사람의 성을 따서 명태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나와 있다.

그 외에도 함경도 등에서는 명태 간에서 짠 기름으로 등불을 밝혀서 ‘밝게 해 주는 물고기’라는 의미로 명태로 불렀다거나 영양부족으로 눈이 침침해진 산간지방의 사람들이 해안으로 나와 명태 간을 먹고 눈이 밝아져서 명태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 다양한 이름만큼 음식도 각양각색

명태는 북어 외에도 이름이 매우 다양하다. 상태에 따라 생태, 동태, 북어(건태), 황태, 코다리, 백태, 흑태, 깡태 등으로 불린다.

잡는 방법이나 장소, 시기에 따라서도 이름이 다르다. 그물로 잡은 망태, 낚시로 잡은 조태, 북방 바다에서 잡은 북어(北魚), 강원도 연안에서 잡은 강태(江太), 함경도 연안에서 잡은 왜태(倭太), 함경남도에서 섣달에 잡은 섣달받이, 동지 전후에 잡은 동지받이 등 놀랄 만큼 이름이 많다.

다양한 이름만큼이나 생태찌개, 생태매운탕, 명태조림, 황태구이, 황태찜, 북엇국, 북어무침 등 명태를 이용한 음식도 많다. 우리 조상들은 명태를 저장, 발효식품으로도 활용했다.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No3.

알은 명란젓, 창자는 창난젓. 아가미는 아감젓, 간장은 어유로 만들었다. 김장에 젓갈을 거의 쓰지 않는 동해 지방에서는 명태를 넣어 젓갈 대신 아미노산을 공급받고 동해 북부 지방에서는 명태로 식해를 담가 겨우내 반찬으로 활용했다.

겨울이 성어기인 명태는 얼려서 말리는 우리나라 특유의 가공법인 동건법으로 널리 유통될 수 있었다. 명태 어업이 대성황을 이루던 시기에 개발된 우리만의 가공법이다.

또한 명태는 우리의 관혼상제에서 절대 빠지지 않았다. 제사와 차례에는 북어를 상에 반드시 올리고, 이사한 집이나 개업한 가게에 북어를 실로 묶어 걸어 복을 비는 민간신앙도 아직 남아있다.

♣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으로!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A와 필수아미노산 등 영양소도 풍부한 명태.

온 가족이 둘러앉은 겨울 저녁에는 무를 넣고 보글보글 끓인 생태찌개, 입맛 없는 날에는 밥 한 그릇 뚝딱 비워낼 수 있는 창난젓, 출출한 겨울밤 술안주로 제격인 황태구이, 연말 잦은 회식으로 속 아픈 아침에는 북엇국 등 어느 때라도 명태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이 된다.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복을 담은 든든한 한 그릇, 떡국 바로가기
2 눈과 입이 반하는 봄의 전통 디저트, 화전(花煎) 바로가기
3 소박한 한 그릇에 가득 담긴 한국인의 문화, 입맛, 정서! 산채비빔밥 바로가기
4 ‘복’과 ‘맛’을 한꺼번에 싸서 한입에 쏙! 쌈밥 바로가기
5 무더위 내쫓고 건강 붙잡는 우리나라 대표 보양식 닭백숙, 삼계탕 바로가기
6 여름에 먹는 ‘편수’, 시원하고 아름답다! 바로가기
7 풍요로움과 감사의 대명사 ‘송편’! 바로가기
8 어떤 자리, 어떤 음식과도 찰떡궁합! 식혜, 수정과 바로가기
9 입 안 가득 퍼지는 바다의 맛, 해물탕 바로가기
10 버릴 것 하나 없는 최고의 한식 재료, 명태! -
11 무병장수·풍요의 복(福) 가득 담긴 새해 첫날 첫 음식! 떡국, 떡만둣국 바로가기
12 어우러짐의 미학으로 빚은 우리 음식, 비빔밥 바로가기
13 제사 지내지 않고 제사 음식 먹는 방법, 헛제삿밥 바로가기
14 현재 진행형, 한식 디저트 바로가기
15 달콤 끈끈한 서민들의 주전부리, 엿 이야기 바로가기
16 땀방울로 내린 순백의 보석, 두부 바로가기
17 떡 중의 떡, 인절미史 바로가기
18 잡채는 ‘여러 가지 채소 모둠’ 이다 바로가기
19 전통주와 우리 전의 어울림 바로가기
20 인문학으로 본 국밥의 유래와 역사 바로가기
21 지역의 맛 품은 국밥 바로가기
22 소슬한 바람이 불 때, 계절 품은 우리 국밥 바로가기
23 국밥이 궁금해?! 국밥 묻고 답하기 바로가기
24 인문학과 고서로 살펴보는 팥 바로가기
25 팥의 정체를 찾아서 - 콩이야? 팥이야?, 팥 묻고 답하기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