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지역별 특산식품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0. 영광굴비
  • 이동

h2mark 남다른 굴비맛의 원천 ‘영광 천일염’

전라남도 영광군은 예로부터 ‘쌀, 소금, 누에고치, 눈(4白)’이 풍성하고 유명하여, ‘4白의 고장’으로 불렀다.

♣ 4白의 고장, 그 내력

영광군은 동남쪽으로는 산이 잇달아 높게 솟고, 북서쪽으로 갈수록 농경지가 발달해 점차 낮아지는 지형을 하고 있다. 추풍령 고개에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가르며 남서 방향으로 뻗어내려 온 노령산맥이 동쪽의 장성군과 남쪽의 함평군의 경계가 되는 언저리에 높이 50미터쯤 되는 산을 울타리처럼 줄지어 세워 놓아 동남쪽의 산지를 이루었다.

4白에 눈이 낀 것은 바로 이런 지형에서 비롯된 것으로, 남지나해에서 불어오는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동남쪽에 솟은 산들에 부딪쳐 냉각되기 때문에 영광군은 예로부터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었다. 지난 1978년 겨울에는 눈이 온 날이 자그마치 스무닷새나 되었을 정도이다.

눈이 많은 영광군의 농경지에서는 쌀, 보리 같은 곡식이 많이 나는데 이는 전라남도 안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이다. 그중에서도 백수읍의 간척지 논에서 나는 쌀은 그 맛이 뛰어나다고 하여 ‘백수쌀’이라고 불리며 그 값도 경기쌀과 맞먹을 만큼 비싸다.

백수쌀이 맛있는 이유는 간척지를 일군 논의 성질이 대체로 알칼리성이어서 비료를 주거나 농약을 치지 않고 농사를 짓더라도 상대적으로 병충해의 해를 덜 입고 쌀의 질도 여느 논에서 나는 것보다 더 기름지기 때문이다. 백수읍을 비롯해 군서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누에고치도 4白의 하나로 꼽히며 눈길을 끈다.

♣ 4白 중의 백미, ‘영광 천일염’

이 지역에서 오랜 세월 재물의 척도가 된 것이 바로 쌀과 소금 이었다. 영광 지역은 오랜 세월 비옥한 토지에서 쌀을 얻고 염전에서는 다량의 소금을 생산해 왔다.

‘소금 염’에 ‘뫼 산’자를 써서 말 그대로 소금이 산을 이룬다는 뜻을 가진 염산면(鹽山面)에서는 맑은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깨끗하고 드넓은 갯벌에서 미네랄이 풍부한 소금이 생산되고 있다.

이곳 영광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중의 하나로 미네랄 성분이 많은 서해안갯벌에서 풍부한 일조량과 하늬바람이 만들어낸 것이다. 천일염은 보통 4월부터 10월까지 만들어지는데 품질의 우수성만큼이나 염전 풍경도 아름답다. 특히 붉은 석양과 함께 작업하는 염부의 모습은 마치 밀레의 만종을 연상케 해 해마다 많은 사진가들이 찾고 있다.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염전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염전>

염전은 염산면 송암리, 야월리, 두우리와 백수읍 하사리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염산면에서는 소금모으기, 운반하기, 수차돌리기 등 염전체험도 가능하다. 영광굴비의 원재료인 조기를 염장하는 소금이 바로 이 염산면과 백수읍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천일염’이다.

1년 이상 간수를 뺀 천일염을 참조기에 뿌려 간을 맞추는 염장법인 섶간으로 재워두면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이렇게 고품질 천일염으로 염장해서 법성포 특유의 기후조건인 해풍에 말리는 영광굴비는 타 지역 굴비와 차별화된 맛일 수밖에 없다.

중국산 소금으로 만든 소금물에 잠깐 절여 냉동하는 일반 굴비와 품질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이 이러한 이유이다. 천일염 소금에 잰 굴비는 엮었던 배 부분이 홀쭉하게 들어가는 반면 일반 소금물에 담갔던 굴비는 전체적으로 탄력 없이 쳐지고 구우면 비린내가 난다.

영광군의 지역 우수특산품으로 지적재산권이 등록돼 있는 ‘영광 천일염’은 영광지역과 영광굴비가 전국적인 명성을 얻는 데 일조한 일등공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염전에서 생산한 소금
<염전에서 생산한 소금>

♣ 영광의 백미(白味)

영광의 백미(白味)인 천일염으로 만든 굴비와 쌀밥으로 차려진 밥상을 맛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영광군 법성포구이다. 그곳에 가면 수백개의 굴비식당과 덕장이 모인 굴비거리와 마주친다.

특히 겨울은 짭조름한 굴비 냄새가 사방으로 진동하는 굴비의 계절로, 법성포 포구를 따라 굴비덕장을 지나다보면 눈과 비를 맞으며 해풍에 말리는 비릿한 굴비 향에 군침이 돌기 마련이다. 굴비정식은 굴비의 맛도 그만이지만, 상을 가득 채우는 반찬 가짓수에 한번 더 놀란다.

굴비밥상
<굴비밥상>

간장게장, 생선구이, 젓갈, 김치 나물무침, 매운탕 등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맛깔스런 남도 음식들이 한상 가득 푸짐하게 나오기 때문이다. 먼저, 숯불에 구워 껍질을 바삭바삭하게 익힌 굴비 한 마리에 얼른 손이 간다.

살을 곱게 발라내서 영광 쌀밥에 얹어 한 숟갈 입에 쏙 넣으면 간간한 속살이 부드럽게 씹히는데 ‘과연 이것이 제대로 된 굴비맛이구나’ 절로 탄성이 나온다.

그 짭조름한 맛과 향 때문에 예로부터 굴비는 그 맛을 순화시켜 주는 쌀밥과 함께 즐겨먹었고 한정식 상차림의 주 메뉴가 되었다. 특히 원산지에서 먹는 굴비 맛은 밥 한 그릇도 모자라 체면불고하고 또 한 그릇을 뚝딱 비워낼 만큼, 천하일품의 맛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