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주악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서도 장씨 집안의 주악은 「진찬의궤」에 기록된 여러 종류의 주악 중 대추주악과 소를 넣은 주악의 복합 형태로 웃기떡의 형식이 아니라 단독으로 제례에 쓰이며, 화려한 고명 장식 대신 설탕을 뿌려주는 것이 특징이다. 불린 거피녹두는 찜기에 쩌 소금을 넣어
머위대장아찌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머위대장아찌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소개되어 있으며, 4~5월이 되면 마당 가득히 자라는 머위를 잘라 된장 또는 고추장에 박아 먹는 장아찌로 머위대의 껍질을 까서 버리지 않고 껍질도 같이 넣어 숙성시킨다. 손질한 머위대를 된장에 넣어 3개월 숙성시킨다. 숙성
뜸부기나물(뜸배기나물)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뜸부기나물(뜸배기나물)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부안의 제주 고씨 고희 종가에서는 제례에 올리는 나물에 고사리, 숙주, 이외에도 해초의 일종인 뜸배기 나물을 올린다. 산하나만 넘으면 바다가 맞닿아 있는 지리적인 영향이기도 하지만 뜸배기나물을 한번 먹어보면 그 맛이 일품이라며 &#
간전과 처녑전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간전과 처녑전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전을 이르는 말로 <저냐>, <전유어>, <지짐>, <누르미>와 혼용되며 소의 간이나 처녑 또는 생선살 등으로 만들며,「음식디미방」에는 동아누르미,
송기죽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송기죽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가난한 시절 배고픔을 달래기 위하여 산에서 소나무 껍질을 벗겨 쌀과 함께 쑤어먹던 구황 음식으로, 구황기에 다양한 형태의 소나무 껍질을 이용한 음식들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죽산 박씨의 집에서는 특이하게 소나무 껍질을 곡식에 넣어 끓이지 않고 새알심처
홍어구이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홍어구이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조선시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홍어의 쓰임새가 회, 구이, 국, 포 모두에 적합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밀양박씨 박부동 종가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화로에 숯을 넣고 숯불로 생선을 굽는다. 홍어구이는 생선 숯불구이보다 더 많은 정성이 들어간 음식으로 숯
곰국 종가음식 레시피 종가집 종부 조리법
전통식품백과 > 종가음식 음식별
곰국 종가음식 레시피 조리순서 우시장이 있었던 나주에서는 도축이 되고 나면 처리하기 힘들었던 부산물들을 넣고 푹 끓여서 일찍부터 일하는 시장 사람들 허기짐을 달래던 국이 곰탕이었다. 박부동 종가의 곰국은 고기와 양을 넣어 끓인 종가의 보양국으로 특별하게 양과 양지육수가 기본이 된 고깃국
가물치국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가물치국 수종을 치료하는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가물치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휘(宜彙)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舟〉 말망이菜, 燒存性燒, 酒和服. 〈舟〉 蒜細切, 入燒酒, 溫厚覆置之飮. 〈舟〉 박달박망이數寸割取, 燒存性, 生淸和服, 卽差. 〈舟〉 이질에는 곶감을 참기름을 넣고 볶아 먹으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 냉리(冷痢)로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날 때도 좋고, 어린아이에게 더욱 좋다. 〈주〉 ○
가물치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식의심감(食醫心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治痔下血不止, 肛腸疼痛, 魚方 치질로 하혈이 멈추지 않고 항문이 아픈 경우를 치료하려면 가물치회를 처방한다.
가시연밥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단곡경험방(丹谷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장독(臟毒)으로 피를 누는 것을 다스린다. 차전초 연근 1줌과 생강 1덩어리를 새로 길어온 물에 갈아 즙을 내서 피가 나오려고 허리가 무거워질 때 1잔을 먹으면 곧 그친다. 심하여도 두 번을 넘지 않아 낫는다.
가시연밥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海藏》 축혈증으로 맥이 침세미(沈細微)하고 피부가 차며 배꼽 밑이 그득하거나, 광증이나 조증(躁證)이 있고 대변이 검으며 소변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노인이나 어린이나 기가 약한 사람에게 더욱 좋다. 생지황즙 1되(없으면 생건지황 2냥을 쓴다), 건칠(연기가 나지 않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