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서양의 음식문화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8. 이슬람 음식법에 관한 연구
  • 이동

h2mark 선행연구와 연구 방법론

본 장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할랄 및 하람에 관한 학위논문, 일반논문 그리고 저서 순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볼 것이다9).

국내에서는 이슬람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할랄 식품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미진하였으며 최근에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대부분 할랄시장 시장과 진출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먼저 할랄이나 하람에 관한 논문을 살펴보면 아직 박사학위 논문은 없으며 석사학위논문이 두 편 있는 정도인데, 이선영(석사학위:2006)의 ‘국내 거주 이슬람교도의 식습관 현황’과 공이철(석사학위:2012)의 ‘국제시장에서의 할랄(Halal)산업의 가치와 한국기업의 할랄시장 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가 있다.

전자는 국내 거주 무슬림들의 식습관을 분석하였으며 후자는 할랄 시장성 확보성 방안을 다루고 있다. 일반 논문으로는 최영길(1997)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슬람에서 허용된 음식과 금기된 음식’을 다루었으며, 송도영(2011)은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을 하였다.

오명석(2012)은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를 말레이시아를 예를 들어 인증제 문제를 다루었다.

임백빈,이성필 김경도 (2012)등은 ‘서비스블루프린트를 적용한 할랄식 한식당 구축 제안연구’와 이희열과 이선경(2013)은 ‘식세계화를 위한 한식의 이슬람 문화권 확산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한류열풍의 일환으로 한식의 확산을 할랄 산업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엄익란(2013)은 ‘상업화된 이슬람과 한국기업의 할랄시장 접근성’이란 논문 발표를 통하여 할랄시장 분석과 한국업계의 방향제시와 ‘이슬람 식품시장의 할라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응방안’논문을 통하여 한국기업의 할랄시장에서의 나갈 지침표를 제시하였다.

저서로는 자말(2009,주류성)이 ‘이슬람의 에티켓과 금기’에서 음식금기를 간략히 소개하였으며 최영길(2011)은 유수프 까르다위의 책(Halal & Haram in Islam)을 번역하여 좀 더 국내 독자들에게 할랄과 하람에 대한 폭넓은 안내를 하였다.

엄익란(2011)은 ‘할랄, 신이 허락한 음식만 먹는다’란 저서를 통하여 할랄 음식문화를 소개하고 있으며, 이서영(2012)은 ‘이슬람권 시장 진출을 위한 할랄(Halal) 인증 제도 연구’를 통하여 법적 제도적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장건,조성기,노장서(2013)는 닭고기만을 중심으로 국내 할랄시장 분석을 한 ‘할랄경제학 : 할랄닭고기 산업을 중심으로’을 공저를 출간하여 연구의 구체성을 띠고 있다.

이 외에도 농수산식품부, 할랄협회 등에서 가끔 세미나를 열어 발표문을 통하여 할랄시장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정도이며 무엇이 할랄과 하람의 영역에 들어가는지에 관한 구체성을 띤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너무 시장연구에만 치우친 점을 고려하여 꾸란과 하디스 학자 의 견해를 중심으로 이슬람 사회에서 식품 즉 음식과 음료 중에서 할랄과 하람10)에 무엇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그 자료는 꾸란을 중심으로 하되 필요시에는 하디스에 언급되어 있는 내용과 함께 동물, 술, 해산물로 구분하여 다룰 것이다. 하디스의 경우는 반복되는 내용이 많아 중복성을 피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내용만 하나로 묶어 언급할 것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중앙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