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 떡 만들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8. 종가(宗家)의 고조리서
  • 이동

h2mark II. 연구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가문 및 종가

1) 조사대상 문헌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은 고조리서 가운데 종가에서 전해 내려온 조리서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조리서는 광산김씨 설월당 종가의「수운잡방」과 재령이씨 석계 이시명 종가의「음식디미방」, 의성김씨 종가의「온주법」, 마지막으로 은진송씨 종가의 「주식시의」까지 총 4권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조리서의 원문과 역주를 모두 제시하였다.

「수운잡방」의 원문과 역주는 모두 윤 편역(1998)본을 활용하였으며, 「음식디미방」의 원문은 백 편역(2006)본의 수록된 원문을 활용하였고, 역주는 백 편역(2006)본과 한 등 편역(1999)본을 참고하였다. 또한,「온주법」의 원문과 역주는 모두 사단법인 교남문화 편역(2012)본을 이용하였고,「주식시의」 원문과 역주는 모두 대전역사박물관 편역(2012)본에 수록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2) 조사대상 조리법

수집된 조리서에 수록된 병과류의 유형별 분류기준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된 한국의 전통향토음식(농촌진흥청 2008)과 윤(1985; 1991), Cho 등(2008), Oh & Lee(2010ab), Won 등(2008)의 분류를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분류기준은 병이(떡)류는 찌는 떡, 삶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으로, 과정류는 유밀과, 유과, 다식, 정과, 과편, 당(엿), 기타로 총 11항목으로 나누었다.

2. 조사 방법 및 세부주제 분류

1) 연구 조사 방법

본 연구는 문헌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이며, 합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였다(Oh 2000). 내용분석은 1960년대부터 미디어 자료의 분석 기법으로 활용되어 왔고, 정성적인(Qualitative) 연구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인문, 사회과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폭 넓게 활용되어 왔다(Lee & Cho 2008; Lee & Kim 2008; Oh 2000).

2) 유목분류 및 세부주제

내용분석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가장 중요한 절차 중의 하나가 연구에 적합한 유목분류의 설정이다(Cha 2012; Lee & Kim 2008; Oh 2000). 유목분류란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Oh 2000). 본 연구의 유목분류 및 세부주제에 관한 사항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였다(Cho 등 2008; Cho & Lee 1987; Lee & Yoon 1986ab; Oh 2011; 2012; Oh & Lee 2010ab; Won 등 2008). 유목분류 및 세부주제에 대한 내용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유목분류 및 세부주제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