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통음식으로서의 한과
한과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음식이면서, 밀가루, 찹쌀, 견과류, 과일 등의 재료로 알 수 있듯이 경사스럽거나 중요한 일에만 쓰였던 절식이다.
한과는 조리법을 기준으로 유밀과, 유과, 다식, 정과, 숙실과, 과편, 엿강정, 엿으로 크게 구분된다.
한과에는 다른 나라의 과자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고유한 특징이 존재한다.
우리의 찹쌀, 두류, 견과류, 종실류, 과일류, 채소류, 한약재뿐만 아니라 향을 내기 위한 천연 재료 등 건강한 식재료를 원료로 오랫동안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음식이다.
그리고 각 지방마다 나는 특산물이 달라 한과도 지역만의 색깔을 내는 다양한 특산 한과로 발전하고 있다.
2. 간식․디저트로의 변신
국내 과자 시장의 크기는 2조 7천억 원(’12년)으로 한과와 대체될 수 있는 스낵, 비스킷 및 캔디의 비중이 82%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수입산 과자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과의 연중소비를 통한 대중화를 위해서는 기존 국내과자 및 수입과자와의 경쟁은 필연적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시도되고있다.
먼저, 한과의 과학화를 통해 오래되면 산패가 되어 맛이 떨어지고 냄새가 나는 단점을 해결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둘째, 식감이 좋도록 제품의 크기를 줄이거나 일률적인 모양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모양과 배열을 고려한 제품디자인과 보관 기간과 현대의 미적 감각을 고려한 포장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다.
셋째, 새로운 맛과 식감을 더하면서 거기에 의미까지 부여하는 퓨전 한과 제품들이 다양하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그와 병행하여 한과와 차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후식카페들이 많아지면서 젊은 층 문화 속에 침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넷째, 전통한과의 맥을 계승하면서 시장의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최고의 장인들은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수출 시장에도 앞장서고 있다.
다섯째, 건강한 지역 농산물로 중무장한 명품 한과 마을들이 지역 대표 브랜드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한과체험관을 운영하여 지역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3. 시사점
우리 일상생활의 간식으로, 세계인의 명품 디저트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내수와 수출을 분리하는 발전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수에서는 폭 넓은 소비자 계층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품, 가격, 포장, 맛, 용도 등의 세분화를 통해 대중화를 도모해야 하고, 세계화를 위해서는 각 나라별 과자에 관한 기호와 타깃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전통에 충실하면서도 한과의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인력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