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과 건강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7. 지역별 한식의 특성
  • 이동

h2mark 참고문헌

♣ 참고문헌

경기도 농촌진흥원(1991). 경기향토요리.

경상남도 농촌진흥원(1994). 경남향토음식.

경주시 농업기술센터(2005). 천년고도 경주 내림손맛.

고양시 향토음식연구회(1997). 맛있는 고양음식 이야기.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2002). 광주의 향토음식.

광주군 향토음식연구회(1997). 너른고을 향토음식.

김봉옥 외(1993). 대한요식업중앙위원회 제주도지부. 한샘(탐라의 맛).

김상애(2005). 부산향토음식의 발굴과 좋은 식단정착. 한국음식업중앙회 부산지회.

김상철(2000). 지역축제의 향토음식 관광상품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6(3).

김숙년(2001). 600년 서울음식. 동아일보사.

김영희(1999). 대부도·제부도·영흥도의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 27.

김지순(1998). 제주도 음식. 대원사.

김태곤(1996). 한국의 무속. 대원사.

남양주시 향토음식연구회(1998). 전통음식 맥잇기 활동보고서.

남양주시 농업기술센터 남양주시 향토음식연구회(2000). 보양음식. (2003). 남양주 농특산물을 이용한 보양음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8). 한국의 향토음식 1-10권. 교문사.

대구한의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2005). 대구 전통·향토음식, 대구광역시.

동아일보사(1969). 전국 각 지방 음식걸작선(강원도 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72).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 편). (197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 편).

박경란(2001). 한국제례문화의 지역적 특성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상욱(2004).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이용 및 의식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3).

뿌리 깊은 나무(1992a). 한국의 발견 강원도. (1992b). 한국의 발견 충청남도. (1992c). 한국의 발견 충청북도.

서혜경(1987). 우리나라 젓갈의 지역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주군농업기술센터(2003). 성주향토음식의 맥.

신정일(2004). 다시 쓰는 택리지(전라·경상 편). 휴머니스트.

안용근(2006). 청주시 향토음식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9(2).

양평군 향토음식연구회(1997). 향토·개발요리 모음집.

윤덕인(1997). 전통제사상차림의 규범과 강릉지역 제사상차림 관행의 비교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5). (1998). 강원도지역 산출식품과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관대논문집, 26.

윤덕인·이정숙(2002). 강원도 향토음식의 식재료 이용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윤상태 외(1995). 제주전통음식. 제주도 농촌진흥원.

윤서석(1977). 한국 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 편). 문화재관리국.

윤숙경(1994). 안동지역의 향토음식에 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1).

이경택(2003). 우리 땅 우리 맛. 역사넷.

이경화(2002). 민속축제를 통한 지역문화 정체성에 관한 고찰. 관동민속학, 16.

이성우(1999).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이승교(1992). 경기지역 향토음식 조사. 수원대학교 논문집, 10.

이승철(2002). 동해대진 마을 풍어제 고찰. 관동민속학, 16.

이연자(2003). 명문 종가를 찾아서. 컬쳐라인.

이재경(1991). 강원도 향토음식에 관한 주부의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철·남택영(2006).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관광정보연구, 24.

이천쌀사랑본부(1998). 구만리 뜰(가을호).

이효지(1997). 서울 및 중부지방의 혼례음식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2).

인천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모임(1999). 우리 멋 우리 맛. (2005). 우리의 맛 쌀 요리와 김치.

인천광역시 농촌지도소(1996). 우리음식모음.

장정룡 편저(1991). 강릉의 민속 문화. 대신출판사.

정경희·신승미(2006). 충남 내포지역의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6(3).

정석중·김경헌(2001). 동해안 지역의 관광지 이미지 제고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정혜경 외(1996). 서울 음식문화에 대한 연구: 심층면접에 의한 사례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1(2).

제주고산향토지(2000). 고산향토지발간위원회.

제주도지 편찬위원회(1996). 제주문화자료총서4 제주의 민속Ⅳ 의생활·식생활·주생활. (2006). 제주도지 제7권 제주도.

지춘상 외(1998). 남도 민속학 개설. 태학사.

차석빈·박건태(2003). 약선을 이용한 천안지역 향토음식개발 연구. 관광·레저연구, 24(2).

차석빈 외(2000). 향토음식 메뉴개발에 관한 연구: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3(2).

최철(2003). 강릉 그 아득한 시간 해방 전후와 전란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국관광공사(1993). 향토음식 관광 상품화 방안. 유고문화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1997). 한국음식대관 1권. 한림출판사.

한국문화재보호협회(1990). 고향음식의 맛과 멋.

한국음식업중앙회 경상남도지회(2005). 경남의 맛과 멋-경상남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범수(1998). 충청북도 관광개발계획의 실현성 평가: 충주시 관광개발계획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2(2.)

한복려(1995).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대원사.

홍양자(1993). 식생활 제주도지 제3권. 제주도.

황재희(1998). 향토음식문화. 강원미디어.

경기도문화유산. http://www.kg21.net

경상북도청. http://www.gyeongbuk.go.kr

네이버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농촌진흥청, 향토음식. http://www2.rda.go.kr/food

서울특별시. http://www.seoul.go.kr.

세계 속의 경기도. http://portal.gg.go.kr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한식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