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1장
1》두산 백과사전. 한식. http7/www.encyber.com. 2009.
2) 전혜경(2007). 한식세계화를 통한 농업, 농촌의 활성화 방안: 창업농후계농업경영인과정. 농림부 농업연수원, p.103-128.
3) 재인용:이민아 등(2008). 한식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 p.57.
4) 신 농림수산식품부. 한식산업화 . 세계화 추진전략(안). 2009.05. p.7.
5) 이민아 등(2008). 한식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 p.56.
6) 신애숙(2000). 부산의 전통.향토음식의 현황 고찰. 한국조리학회지, 6(2):67-78.
7) 식품산업진홍법(2009). 법률 제9759호.
8) 재인용:이민아 등(2008). 한식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 p.69.
9) 김미성(2004). 전통한식당의 브랜드 개성과 이용고객의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3.
10) 한억(1993). 전통식품의 가공기술 현황 및 발전방향-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수입현황과 식품산업의 방향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한국식품과학회, 91-125.
11) 이영미(2008). 지역축제와 연계한 향토음식 개발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
12) 권세정, 이종하(2004). 향토음시 개발 및 관광 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19:49-60.
13) 박성수(2004). 향토음식 인지도강화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경남 하동군 지역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
14) Wikipedia. Korean cuisine, http://www.wikipedia.org. 2009.
15) Wokme. Korean cuisine. http://www. wokme.com. 2009.
16) Asiafbod. Korean food. http://www.asiafood.org. 2009.
17) Asiarecipe. Korean food, http://asiarecipe.com. 2009.
18) Marimari. Korean food. http://www.marimari.com. 2009.
19) Zkorean. Korean food. http://www.zkorean.com. 2009.
20) 이효지(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p.13-50.
21) 정동효(2003). 전통주 대전. 홍익재. p. 11-33.
22) 김경애(2004). 한국의 전통음식. 전남대학교 출판부. p.5-8.
23) 김상보(2006).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p.60-171.
24) 이지호, 박금순(2006). 한국 음식론. 광문각. p. 11-17.
25) 허시명(2004). 비주, 숨겨진 우리술을 찾아서. 웅진닷컴. p.173-186.
2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I 상용음식. 교문사. p.8-15.
27) 윤서석(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p. 13-382.
28) 김숙희, 강병남(2007). 세계의 식생활과음식문화. 대왕사. p.101-198.
29) 이효지(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p.349-362.
30) 김경애(2004). 한국의 전통음식. 전남대학교 출판부. p.9-11.
31) 정혜경(2007). 한국음식 오디세이. 생각의 나무. p.36-83.
32) 조선일보. CLA의 한국요리 전도사. 2007.07.12. A28면.
33) 위클리 홍콩. http://www.nihaohongkong.com. 세계 각국에서 선풍적인 인기! 쌀 다이어트. 2005.06.24.
33) 박건영(1995). 김치의 영양학적 평가와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김치의 과학과 기술, 1:61-74.
33)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배추김치가 동맥경화 막아준다. 2009.05.12.
33) 김지연, 이성현, 황보영숙, 오승호(1996). 김치의 영양생리효과 구명연구.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33)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교과서에 김치 영양 수록 추진. 2009.05.18.
33) 김찬조 등(1991). 발효공학. 선진문화사. p.79-106.
33) 서병철(2001). 한국 전통식품의 현대화 및 세계화 : 우리나라 장류산업의 현황 및 세계화 가능성. 식품산업과 영양, 6(3):28-33.
33) Park KY, Jung KO, Rhee SH, Choi YH(2003).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paste) and its active compounds. Mutation Research, 523—524:43-53.
41) Ailed CD, Ailed KF, Ju YH, Virant SM, Helferich WG(2001). Soy diets containing varying amounts of genistein stimulate growth of estrogen-dependent (MCF-7) tumors in a dose-dependent manner. Cancer Res, 61(13):5045-5050.
42) 공규리(2001). 고추장제조의 표준화와 고추장의 암예방 및 비만억제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p.40-79.
43) 김형우, 조수진, 김부여, 정선, 박정숙, 이숙영. 조수인(2008). 생약초 청국장이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3(1):17-22.
44)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2007 국민건강 통계. p.30-37.
45) 한국영양학회(2006). 한국인영양섭취 기준. 한아름 기획. p.41.
46) 전순실, 신동원(2008). 약선음식. 문은당. p.10-14.
47) 박건태, 김도완(2003). 약선을 이용한 건강기능식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9(4):191-202.
48) 주종재, 신미경, 권경순, 윤계순(2001). 전라북도 향토음식의 조리법 표준화 및 영양성분 분석. - 추이탕, 다슬기탕, 민물고기매운탕, 어죽, 백합죽.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2):250-258.
49) 김상애(2002). 부산향토음식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 및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6):1142-1149.
50) 조남욱(2006). 생활과 매너. 인간사랑. p.247-251.
51) 박은식(2002). 전통 세시풍속 체험 프로그램.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p.162-163.
52) 전혜경(20아). 우리나라 세시음식의 연구동향 및 발전방향-한국음식의 세계상품화 전략.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 p.21-35.
53) 강인희(1993).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4) 아시아투데이 : http://www.asiatoday.co.kr. 정월대보름 “오곡법”, 현대인의 건강웰빙식으로 단연 으뜸. 2009.02.03.
55) 국민일보. 춘곤증, 삼짇날 음식으로 극복하자. 2009.03.25.
56) 김미영(2006). 과실주 - 잘먹고 잘사는 법. 김영사. p.24-26.
57) 정혜경(2009). 한국음식의 문화속성과 미학. 세계문학비교학회 정기학술대회.
58) 고경일.노승재.임효창(2007). 한국전통식품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 통상정보연구, 9(2):375-397.
59) 주종재, 신미경, 권경순, 윤계순(1998). 전라북도 향토음식의 조리법 표준화 및 영양성분 분석 - 전주비빔밥, 콩나물국밥, 민물장어구이, 애저찜, 아귀찜 . 대한지역사회 영양학회지, 3(4):630-641.
60) 위키백과. 탕평채. http://ko.wikipedia.org.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