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세계화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2. 한식의 특징
  • 이동

h2mark 식생활 제도상의 특징

♣ 상차림의 격식을 중요시 하였다.

오랜 유교적 전통에 따라 상차림에서도 예의를 중요시 하였다. 음식을 먹고 즐기는 문화의 하나로 생각하여 호화로운 상차림만을 중시했던 다른 나라와는 달리 엄격한 질서를 중시하였다.

상차림 이란 한 상에 차려놓은 주식류와 반찬류의 이름과 이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한식 상차림은 크게 일상생활에서 차려지는 상차림과 통과 의례와 특별한 행사 때에 차려지는 의례식 상차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상생활의 상차림은 차려지는 상의 주식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밥과 찬을 차리는 반상, 죽과 찬을 차리는 죽상, 국수.만두.떡국 등을 차리는 면상차림과 손님을 대접하는 술과 안주를 차리는 주안상, 교자상 및 다과를 차리는 다과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반상 차림은 전통적으로는 외 상이 기본이고 3첩, 5첩, 7첩, 9첩, 12첩으로 구분하며 반상의 첩수는 밥, 국, 김치, 조치류와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을 제외한 나머지 반찬수를 의미한다.

3첩 반상은 일반서민들의 상차림이었으며 5첩 반상은 중산계층의 상차림이었고 7첩 반상은 일반 서민들이 잔칫상을 차릴 때 많이 이용하였다.

9첩 반상은 반가에서 최고의 상차림이었으며, 12첩 반상은 궁중에서 차리는 수라상 차림이었다. 수라상 차림은 반드시 12첩이 아니고 그 이상이어도 상관이 없었다. 반상차림의 구성은 표 5와 같다.

▼ 표 5. 반상차림의 구성
반상차림의 구성

* 자료 : 김경애(2004). 한국의 전통음식

의례식 상차림은 일생동안 누구나 겪는 일이지만 인생의 고비를 순조롭게 지나가기를 소망하는 의미에서 마련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는 물론 민가에서도 엄격한 유교이념을 바탕으로 의례를 중시하였으며 백일상, 돌상, 혼례상, 회갑 때의 수연상과 돌아가신 조상께 차리는 제상, 차례상 등이 있었다.

♣ 식사용구의 상호관계성과 식사예절을 소중하게 여겼다.

한식의 밥상차림은 일상식 차림으로 개인용 밥그릇과 대접의 한 벌을 사용하였다. 식사공구인 숟가락, 젓가락의 한 벌은 한식 문화요소의 특징을 나타내며 숟가락은 밥그릇, 국그릇과 상호관계성을 갖는다. 한식은 밀 문화권, 육식 문화권의 음식처럼 마른 상태의 것이 아니다.

같은 쌀 문화권에서 비교 할 때 동남아 일대의 쌀처럼 부슬부슬한 밥이 아니라 끈기 있는 밥을 주로 먹었다. 식사할 때는 일본처럼 그릇을 들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상에 놓은 채로 음식을 떠올려 먹는 것이 기본예절이다.

또한 밥과 국물이 있는 찌개와 국은 숟가락으로 먹고 특히 밥을 젓가락으로 먹지 않으며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들지 않도록 하고 웃어른이 먼저 식사를 시작하여야 먹기 시작한다.

식사 중에는 어른이 질문한 것에 대한 대답 외에는 잡담을 하지 않도록 하고 할 말이 있으면 손으로 입을 가리고 말을 한다. 술자리에 있이서는 아랫목이나 벽을 등지고 출입문을 바라볼 수 있는 자리 등 상석은 웃이른에게 권하여 앉으실 수 있도록 한다.

술상에 앉으면 웃어른께 술잔을 먼저 권하고 어른께 술을 권할 때는 오른손으로 술병을 잡고, 왼손은 오른팔 밑에 대고 정중하게 따라 올린다. 먼저 어른에게 술잔을 올리고 어른이 술잔을 주시면 반드시 두 손으로 받는다.

또 어른이 마신 뒤에야 비로소 잔을 비우며, 어른 앞에서 술을 마실 때에도 돌아앉거나, 상체를 뒤로 돌려 마셔야 한다. 술자리에서 술을 권할 경우 술을 잘 마시지 못하더라도 참석한 이상 첫 잔은 받는 것이 예의이다50).

♣ 잔칫상 차림은 일상식 구조와 다르고 공동체 양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잔칫상 차림은 술과 찜, 전골, 구이, 전, 냉채, 포 등과 같이 술안주 음식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떡과 유과 등을 배합하고 마지막은 가벼운 국수장국을 먹는 주, 부식의 구분이 없는 구성이다.

이 같은 상차림은 함께 모여 먹고 마시는 공동체 양식을 보여준다. 밥상이 개인의 영양증진을 기본으로 한 상차림이라면 잔칫상은 사회적인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중점으로 화합을 목적으로 한 소속 집단의 공동의식을 다질 수 있는 상차림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구. 한식세계화연구단)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