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 세계화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1. 한식세계화 관련 연구개발 및 홍보
  • 이동

h2mark 농식품의 안전성 관리 기술 개발

가) 최근의 주요성과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기대에 비해 만족도는 낮아 식품안전사고의 지속적 발생과 다양화로 소비자의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고, 삶의 질 향상으로 외식, 단체급식 등 식생활 소비패턴의 변 화로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 과정의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한 안전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농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재배.소면적 작물별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고 시행하고 있으며, 82 성분 47 작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MRL) 설정하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식품의약품 안전청에 조사기준으로 활용하도록 건의하여 반영토록 하였다.

우리 농산물 수출확대를 위한 현장 애로사항을 해결지원하기 위하여 수출대상국인 일본, 미국 등 7개국 20작물에 대한 수출용 원예작물 농약안전사용지침 설정하고 현장에 활용하였으며, 일본의 PLS제도1) 적극대응으로 한국측 의견을 반영하여 18종 농약에 대한 농약잔류기준을 설정하였다(그림 52).

1) PLS(Positive Ust System)제도 :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성분은 일률기준 0.01ppm 적용

수출용 원예작물 농약안전사용지침서
▲ 그림 52. 수출용 원예작물 농약안전사용지침서

또한 분석이 이려운 유해물질의 분석법 개발 및 민원해결에 활용하도록 Dicamba, 2, 4-D의 분석법의 경우 분석소요시간 50% 절감, 검출감도는 20배 향상시켰으며, LC/MS/MS 이용 잔류농약 200성분 동시분석기술 개발로 기존의 분석시간을 20배 단축시켰다(그림 53).

잔류 농약 동시 분석기술 개발
▲ 그림 53. 잔류 농약 동시 분석기술 개발

나) 주요 추진현황 및 계획

2005년 김치 기생충알, 2006년 학교급식 대량 식중독, 2007년 녹차 내 농약검출, 2008년 광우병과 멜라민 파동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해 온 식품안전사고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만족감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낮은 편이다.

또한 급속한 사회 경제적 발전으로 단체 급식, 외식 등 가정 밖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고, 여성의 사회진출 및 독신자 가정의 증가로 신선편이 식품의 소비가 늘고 있는 등의 식품소비 패턴의 변화로 식품 구입 기준이 양과 맛에서 품질 및 안전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높아진 국민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고 세계적 수준의 농식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장에서 부터 식탁까지 전 과정에 대한 식품안전관리와 농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관리와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식품 안전성 관리 기술 개발’ 과제에서는 ‘세계 일류수준의 농식품 안전생산 관리기반 구축’ 이라는 비전 아래, 다음과 같은 추진체계하에 과제가 수행되고 있다(그림 54).

농식품 안전성 관리 기술 개발 과제의 비전 및 추진체계
▲ 그림 54. 농식품 안전성 관리 기술 개발 과제의 비전 및 추진체계

(1) GAP, HACCP 정책 및 제도 지원 체계 구축

농식품 안전관리정책 및 제도의 기술적 지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농업현장에서 실천 가능하 도록 GAP 관리기준 개선, HACCP, 생산이력추적제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농식품 생산 및 수확 후 관리, 가공 단계별로 일괄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2) 농식품 유해물질 안전관리 기술 개발

농식품 유해물질 안전관리를 위하여 농식품 안전성 위해요인에 대한 검출분석기술을 개발.개선 하고, 농식품 중 각종 유해물질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 고 있다. 농업환경 오염이 농식품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모델화하고 유해물질의 위험분석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위해요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을 개발.보급해 나가고 있다.

(3) 농식품 유해생물 위생 관리 기술 개발

농식품 유해생물 위생 관리를 위하여 농식품 유해 생물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유해 생물 신속.정밀 진단법을 개발하여 산업화하고자 한다. 박테리오신이나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는 무해한 유해미생물 제어법을 개발하여 산업화하고 위해요소에 대한 위험 노출평가 및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4) 농약등록평가 및 안전성 관리체계 선진화

농식품 생산에 사용되는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인축 및 생태독성, 작물 및 환경잔류성, 약효약해 등을 검토.평가하고, 농약 취급제한기준, 1일 섭취허용량, 농약안전기준 등을 설정.체계화하여 과학적인 농약등록 관리를 지원하는 등 소비자의 농약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구. 한식세계화연구단)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