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상차림 50선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한국의 음식문화
  • 이동

h2mark 한식 상차림 구성

상차림이란 한 상에 차려놓는 반찬의 종류와 가짓수 및 배열방법을 말한다. 한식에서 평상시 사용하는 상차림은 반상(飯床)이라 하여 조선시대에 정립되었다. 밥과 반찬을 예법에 따라 격식을 갖추어 차리며, 받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밥상, 진짓상, 수랏상 등 다르게 불렸다.

한국의 전통 상차림은 밥과 국, 김지, 장을 기본으로 하는 독상의 반상 차림으로 첩 수에 따라 반찬이나 찌개 또는 찜이 추가되며 놓는 위치도 정해져 있다. 차려내는 음식에 따라 죽 중심의 죽상과 국수.만두.떡국을 차리는 면상, 손님 대접의 목적에 따라 차리는 주안상, 교자상, 다과상 등이 있다.

응식을 상에 배열하는 법을 배선법이라 히는데, 먹는 사람의 수에 따라서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가 다르다. 상차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먹는 사람이 식사를 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뜻한 음식은 오른쪽에, 차가운 음식은 왼편에 놓았다.

국물이 있는 음식일수록 앞에 두고 국물이 없는 응식은 뒤쪽에 놓아 먹는 사람을 배려하였다. 겸상 차림일 경우 손님이나 손윗사람을 위주로 차리는 것이 원칙이다. 찌개와 찜은 손님과 가까운 오른쪽에 놓고 찬류 중에 더운 음식과 고기 음식은 어른이나 손님 가까이에 두었다.

한식상차림

밑반찬은 어린 사람이나 주인 쪽에 두었다. 상차림은 반찬 수에 따라 삼첩반상, 오첩반상, 칠첩반상, 구첩반상 그리고 임금님 수랏상인 십이첩반상 등으로 구분 한다, 삼첩반상은 밥, 국, 김치를 기본으로 하고 반찬은 나물, 생채, 구이나 조림이 포함된다.

뚜껑이 있는 반찬그릇을 쟁첩이라 하는뎨, 첩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오첩, 칠첩, 구첩반상이 된다. 오첩반상은 밥, 국, 김치가 두 가지, 간장과 초간장, 찌개류 외에 다섯 가지 찬품을 쟁첩에 내는 상차림이다.

첩 수에 들어기는 음식으로는 생채, 숙채, 구이, 전, 마른 반찬이나 장과 또는 젓갈 중 하나이다, 칠첩반상은 손님 대접상이나 생신.잔치 등의 특별식 상차림으로 오첩반상에 회와 찜이 더해진다. 구첩반상은 양반가 최고의 상차림으로서 민가에서는 구첩까지로 제한하였다.

십이첩반상은 궁중에서 차리는 임금님의 수랏상 차림으로 밥, 국, 김치, 장, 찌개, 찜, 전골 외에 열두 가지 이상의 찬품을 쟁첩에 낸다. 한식의 반상자림은 반찬의 구성에 있어서 조리법이나 주재료의 종류가 서로 증복되지 않도록 했다.

색이나 영양도 고려해서 이상적으로 찬품을 조합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철에 나는 식품을 적절하게 이용하면 훌륭한 식단을 만들 수 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