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상기는 반상 차림에 쓰이는 그릇을 말한다. 예법에 따라 전래되어온 우리 식생활 문화의 정수이다. 만가에서는 계절에 따라 여름철과 겨울철 식기로 구별하여 시용하였다.
단오부터 추석까지 여름철에는 도자기를 쓰고, 그 외의 계절에는 유기나 은기를 시용하였다. 유기는 음식의 맛뿐 아니라 독성까지 판별해주는 기능을 지녀 반가에서 즐겨 사용하던 그룻 중 하나다. 반상기에는 주발, 탕기, 대접, 보시기, 갱첩, 종지 등이 있다.
- 조반기
-
대접처럼 운두가 낮고 위가 넓은 모양으로 꼭지가 달려 있고 뚜껑이 있다. 떡국, 면, 약식 등을 담는다.
- 대접
-
위가 넓고 높이가 낮은 그릇으로 숭늉이나 면, 국수를 담아내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요즘에는 국 대접으로 사용한다.
- 주발
-
유기나 사기, 은기로 된 밥그룻으로 주로 남성들이 사용히며, 사기주발을 사발이라고 한다. 아래는좁고 위로 치츰 넓어지며 뚜껑이 있다.
- 바리
-
유기로 된 여자들이 시용하던 밥그릇이다. 주발보다 밑이 좁고 가운데가 부르며 위쪽은 좁아 들고 뚜껑에 꼭지가 있다.
- 보시기
-
김치류를 담는그릇으로 쟁첩보다 약간 크고 조치보다는 운두가 낮다.
- 종지
-
간장, 초장, 초고추장 등의 장류와 꿀을 담는 그릇으로 주발의 모잉과 같고 그릇 중에 크기가 가장 작다.
- 접시
-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으로 찬, 과실, 떡 등을 담는다.
- 탕기
-
국을 담는 그릇으로 주발과 모양이 비슷하다.
- 쟁첩
-
전, 구이, 나물, 장아찌 등 대부분의 찬을 담는 그릇으로 작고 납작하며 뚜껑이 있다. 반상기 그릇 중에 가장 많은 수를 기지고 있으며, 반상의 첩 수에 따라 한상에 올리는 쟁첩의 숫자가 정해진다.
- 옴파리
-
사기로 만든 입이 작고 오목한 바리이다.
- 쟁반
-
운두가 낮고 둥근 모양으로 다른 그릇이나 주전자, 술병, 찻잔 등을 담아 놓거나 나르는데 쓰이며, 사기, 유기, 목기 등으로 만든다.
- 반 병두리
-
위는 넓고 아래는 조금 평평한 양푼 모앙의 유기나 은기로 만든 대접으로 면, 떡국, 떡, 약식 등을 담는다.
- 양푼
-
음식을 담거나 데우는데 쓰는 그룻이다. 운두가 낮고 입구가 넓어 반병두리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