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식건강메뉴 52선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6. 불포화지방산음식 레시피
  • 이동

h2mark 불포화지방산의 영양기능성

♣ 불포화지방산 효능

견과류는 식용유 외에 버터나 과자류 또는 기호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수익성 높은 작물로서, 지질과 단백질이 풍부하며 각각 독특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그 효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견과류의 지방 중 70~80%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혈장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동맥경화증 유발 억제인자로 알려졌다.64) 따라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려면 팔미트산palmitic acid 같은 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리놀렌산linolenic acid 같은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65)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지질자원은 액체 상태로서 대부분 식물성 식용유나 어유이다. 체내에 꼭 필요하지만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는 양이 부족하여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을 필수 지방산이라고 한다.

필수 지방산으로는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α-리놀레산이 있으며, 아라키돈산은 리놀레산으로 생합성되나 그 효율이 낮아 식이를 통해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필수 지방산에 속한다.66)

필수 지방산은 신체를 정상적으로 성장·유지시키며, 체내의 여러 생리적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성분이다. 불포화지방산이 이에 해당된다.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의 형태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데 이중결합은 1, 2, 3개이며 이중결합의 수에 따라서 ω-3, ω-6, ω-9 지방산이라 불린다.

지방산을 명명하는 법을 살펴보면 카복실기에서부터 탄소 수를 세는 것을 델타 방식이라 하며, 메틸기CH3로부터 탄소 수를 세는 것을 오메가 방식이라 한다.67)

불포화지방산의 영양기능성 No1.
64) Grundy, S.M.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Am. J. Clin. Nutr., 30, 985-992, (1977), Kritchevsky, D., Tepper, S.A., Bises, G and Klurfeld, D.M.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41, 279-284. (1982)
65) Beker, N., Illingworth, D.R., Alaupovic, P., Connor, W.E. and Sundbery , E.E. Effects of fatty acid on plasma lipid, lipoprotein and apoproteins in human. Am. J. clin. nutr.. 37, 355-360. (1983), Sinclair, H.M. Deficiency of essential fattyacids and atherosclerosis, etcetea. Lancet. 1: 381-383. (1956), Zhu, B.Q., Smith, D.L., Sievers, R.E., Insenberg, W.M. and Parmley W.W. Inhibition of atherosclerosis by fish oil in cholesterol-fed rabbits. J. Am. Coll. cardiol. 12, 1073-1078. (1988)
66) 성민혜, 류현경, 이선모, 이기택. 견과류의 지방산, 트리아실글리세롤, 토코페롤 및 파이토스테롤의 조성 연구. Korean J. Food Preserv. (2010)

불포화지방산은 인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필수 지방산이다. 지질은 탄수화물, 단백질과 더불어 식품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3대 영양소 중 하나이다. 최근 지방 섭취가 당뇨나 비만 등 대사성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지질은 생체 내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과 동물은 성장 및 건강을 위하여 필수 지방산을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식물성 유지를 통해서 섭취한다. 이 중 특히 리놀레산은 인체 내에서 감마리놀렌산GLA, gamma linolenic acid으로 전환된 후 국소 호르몬인 프로스타그란딘 ⅠprostaglandinⅠ계열로 합성되어 항염증, 면역력 강화 등의 생리활성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 리놀레산으로부터 감마리놀렌산을 합성하는 능력이 낮은 경우 신경성 피부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등 여러 가지 결핍증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감마리놀렌산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68)

ω-6 PUFA와 ω-3 PUFA는 과잉 섭취 시 문제를 야기한다. 육류 섭취가 많은 현대인은 ω-6 PUFA 과잉 섭취와 상대적으로 낮은 ω-3 PUFA를 섭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혈전증에 의한 뇌경색, 심근경색, 동맥경화, 고혈압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대장암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인의 현재 식이는 ω-6 PUFA/ω-3 PUFA의 비가 약 20~30:1의 비율이나 이상적인 식이는 ω-3 PUFA 식이를 늘려, ω-6 PUFA: ω-3 PUFA의 비가 2~4:1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ω-6 PUFA의 과잉 섭취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생합성을 촉진하며 과량의 아라키돈산은 관절염 및 기타 만성 염증질환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s의 전구체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69)

불포화지방산의 영양기능성 No2.
67) 안명수. 식품화학. 신광출판사. (2004)
68) Archer MC. Cancer and diet.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7th ed. ILSI, pp.482-407 (1996)
69) 윤경미, 박현서. 쥐에서 식이에 보충한 Conjugated Linoleic Acid가 식이지방 종류에 따라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4(8) : 858~864. (2001)

□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 저하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된 식물성 기름을 섭취할 경우 심장병 및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저하되었다는 보고가 있다.70) ω-3 PUFA 기능성은 생선을 주식으로 하는 에스키모의 낮은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연구하면서 알려졌다.

지방의 섭취량이 많은 이뉴잇Inuit족 에스키모들이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등의 질병 발생률 및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에 대한 원인을 찾던 중에 발견되었다.71) 에스키모들의 혈중 ω-3 PUFA 중 특히 DHA, EPA의 함량이 높았으며, 건강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높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낮아 심혈관질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매우 적었다.72)

또한 어류 섭취가 많은 일본인이 심근경색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이 낮은 원인도 다량의 ω-3 PUFA, 특히 DHA와 EPA의 섭취에서 찾을 수 있다. 어류 섭취와 낮은 심혈관질환 발병의 상관관계는 아프리카 탄자니아 지역의 호수 주변에 살고 있는 부족에게서도 발견되었다. 이는 심혈관질환 발병이 낮은 원인이 인종적 차이가 아닌 식이에 기인한 것임을 의미한다.73)

□ 항염증 효과

EPA와 DHA는 항염증 효과가 있어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프로스타노이드prostanoid와 같은 항염증성 물질을 생성하는 데 관계가 있다. 어류 자체에서는 생산되지 않지만 해양 조류에서 많이 생성되며 어유는 중량상 약 25~30%의 EPA를 함유하고 있다.

EPA는 DHA로부터 탄소 수가 줄어들면서 생산이 가능하다. EPA는 아라키돈산 대사를 경쟁적으로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EPA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선을 많이 섭취하면 염증, 암,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면역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관상의 염증 발생이 저하되면 플라크plaque 발생이 억제되어 심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74)

□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식물성 기름과 어유에는 비슷한 정도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혈액 중의 트리아실글리세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어유가 더 크다고 한다. EPA와 DHA는 생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 각기 다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EPA보다 DHA가 강하다.75) ω-3계 지방산이 인체에 미치는 생화학적.생리적 영향은 무엇보다도 혈장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며 혈소판 응집을 방해하고 atherogenesis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과립성 백혈구granulocyte와 단혈백혈구monocyte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6)

70) Doll R. The lessons of life: keynote address to the nutrition and cancer conference. Cncer Res 52: 2024S-2029S. (1992)
71) 안명수. 식품화학. 신광출판사. (2004)
72) Pienta KJ, Esper PS. Is dietary fat a risk factor for prostate cancer J Natl Cancer Inst 85: 1538-1540. (1993)
73) Giovannucci E, Rimm EB, Coloditz GA. Aperspective study of dietary fat and risk of prostate cancer. J Natl Cancer Inst 85: 1571-1579. (1993)
74) Zhao LP, Kushi LH, Klein RD, Prentice RL. Quantitative review of studies of dietary fat and rat colon carcinogenesis. Nutr Cancer 15: 169-177. (1991)
75) 이희애, 유익종, 이복희. 오메가3계 지방산 강화 식품류의 연구개발 동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 161~174. (1997)
76) Glomset, J.A. : Fish,fatty acids, and human health(Editorial). N. Engl. J. Med., 312, 1253, (1985)

□ 뇌의 발달과 시력 형성

DHA의 생리활성작용은 뇌와 망막의 인지질 조직에 다량 존재한다. DHA가 EPA와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그 존재 부위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EPA는 생체 내에서 전체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DHA의 약 90% 이상은 뇌에 존재하고, 그다음으로 눈의 망막에 많이 존재하며, 심장과 정소에 약간 존재 한다.

ω-3 계열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결핍되면 기억력과 학습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에서 밝혀졌다. 또한 혈장 중의 DHA 농도가 낮아지면 우울증, 주의력 감퇴, 알츠하이머병 등 심각한 만성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DHA를 충분히 섭취하면 대뇌의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77) DHA 섭취에 의한 시력향상 효과가 인체실험을 통해 보고되었으며, 이는 DHA에 의해 망막의 감도가 높아지는 현상으로 이해된다.78)

□ 항암 효과와 항혈전 효과

ω-3 PUFA가 다량 함유된 어류를 섭취하면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등의 여러 암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Minoura 등은 ω-3 지방산이 풍부한 어유 식이가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79)

또한 인간의 대장암 세포인 Caco-2 세포는 eicosapentaeno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해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혈관 재협착 방지 등의 항혈전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혈소판 응고 감소, 전체 혈액의 점성 저하 및 관련 항혈전물질의 생성 증가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EPA나 DHA를 다량 섭취하면 혈소판응집 억제작용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뇌출혈 등 출혈성 질환이 증가할 수도 있다.80)

77) Burr, G.O. and Burr, M.M. : A new deficiency disease produced by the rigice exclusion of fat from the diet. J. Biol. Chem., 82, 345. (1929)
78) Lees, R. S. and Karel, M. :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INC. U.S.A. (1990)
79) Kim EJ, Kim WY, Kang YH, Ha YL, Bach LA, Park JHY. Inhibition of Caco-2 cell proliferation by(n-3) fatty acid: possible mediation by increased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6. Nutr Res 20: 1409-1421. (2000), Minoura T, Takata T, Sakaguchi M, Takata H, Yamamura M, Hioka K, Yamamoto M. Effect of dietary eicosapentaenoic acid on azoxymethane-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rats. Cancer Res 48: 4790-4794. (1988)
80) Ha YL, Grimm NK, Pariza MW. Anticarcinogens from fried ground beef: heat-altered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arcinogenesis 8: 1881-1887. (1987)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