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은 한식을 좋아하는가? ‘한식세계화’에 대해 많이들 이야기하지만 중요한 것은 과연 세계인이 한식을 좋아하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그동안 한식세계화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대되면서 근래에는 한식을 찾는 외국인이 제법 많아졌다.
그들이 한식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계 곳곳의 한식당을 찾아다니며 외국인들에게 질문을 던지면 대부분이 한식은 건강에 좋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한식이 어떤 점에서 왜 건강에 유익한지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
우리도 모르기는 마찬가지이다. 그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충분하지 못한 탓이다. 한식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한식은 무조건 건강에 좋다는 발상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건강한 한식메뉴를 발굴하고 그 효능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21세기는 ‘음식 전쟁의 시대’로 표현된다. 우수한 식품으로 자국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경쟁이 그만큼 치열해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로써 각 나라의 음식과 관련된 고유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여 경제적이익을 증대시키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일 또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식품의 안전과 위생에 대한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고유 음식과 식재료에 대한 기술, 브랜드, 명성 등의 지적 재산권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전통 음식은 국가 차원에서 주력하는 관광자원으로까지 부상하고 있다.
또 세계화와 정보화에 따라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가 자유로워지면서 민족의 정체성이 약화되어 오히려 각국의 문화와 역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나라마다 민족의 정체성과 우수하고 독창적인 자국의 문화적 가치를 드높이고 미래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문화과학 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지구촌의 다양한 인종과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새로운 코드인 음식문화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주력 분야로서 ‘한(韓)브랜드화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전통문화 콘텐츠인 한브랜드 6개 부분(한국어, 한식, 한복, 한지, 한옥, 한국학)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 전략을 소개하는 등 국내외 홍보를 통한 전통문화의 생활화와 브랜드 가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외식 전쟁 시대를 맞고 있는 요즘, 세계적으로 자국의 전통 음식을 국가의 주요 전략 사업으로 육성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한국의 음식문화는 국가 대표 격의 이미지 상품이며, 관련 식품시장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수한 전통 음식문화의 해외 진출은 우리 농수산업 식품의 수출을 증대하고 로열티 수입 등을 통한 외화수입과 고용창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효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농림수산식품부나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2017년까지 세계 5대 음식에 한식의 이름을 올리기 위해 ‘한식세계화’를 중요한 정책으로 내걸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책의 기본이 되는 한식(韓食)의 기본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지 않아 우리의 음식문화를 제대로 알리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일본, 중국, 미국 등을 중심으로 한식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나 다양한 한식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다.
그동안의 연구나 조사를 보면 한식의 가장 큰 특징은 건강성이다. 즉 한식이 건강한 음식이라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턱없이 부족하여 한식의 건강성을 주제로 메뉴를 개발하고 이를 대내외에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제로 어떤 음식들이 어떤 이유에서 건강음식으로 상품화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그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 음식 전문가를 대상으로 건강메뉴 선정 후보를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5개 범주로 나눈 한국인의 건강메뉴를 선정하고 그 메뉴에 대한 서술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이들 음식의 영양 분석과 조선 시대 식이요법서로 간주되는 『식료찬요』를 바탕으로 효능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선정된 한식건강메뉴 52선은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 되었으며, 『식료찬요』에 따르면 효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건강메뉴 52선은 한국인과 세계인이 한국 음식을 건강식으로 인식하는 데 기여하며 더 나아가 한식세계화 차원의 다양한 기획과 사업 및 홍보의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