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고조리서 이야기 Ⅱ.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4. 서지사항
  • 이동

h2mark 출판사 및 광고

이 절에서는 『조선요리제법』를 발행한 출판사를 판본별로 정리하고, 신문·잡지 등에 실렸던 『조선요리제법』의 광고를 수집하여 분석할 것이다. 식민지시기 사이에 발간된 『조선요리제법』을 발행한 출판사는 총 4곳으로, 방신영이 저작권을 가지고 출판사를 옮긴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따라 해당되는 출판사의 발행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광고는 상품의 판매를 돕는 매체이며, 서적 광고는 책을 상품으로 판매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광고가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상품의 장점을 문구로 설명하듯이, 서적 광고는 이 책을 읽었을 때 어떤 지식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을 홍보한다.73)

즉 서적 광고에는 해당되는 책의 내용과 그에 따른 이점을 읽을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요리제법』의 서적 광고를 모으고 이를 분석하는 작업을 아래에서 진행하도록 하겠다.

가. 출판사(발행소)

『조선요리제법』을 출간한 출판사 혹은 발행소는 다음과 같다. 해방 이전까지 발행된 『조선요리제법』의 출판사는 신문관·광학서포, 광익서관, 조선도서주식회사, 한성도서주식회사 등으로 구별된다.

<표 3> 『조선요리제법』의 판본별 출판사

『조선요리제법』의 판본별 출판사

『만가필비(萬家必備) 조선요리제법』은 각각 1917년(초판), 1918년(재판)으로 신문관(新文舘)과 광학서포(廣學書舖)에서 발행되었다. 신문관은 1907년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이 당시의 서울 상리동(上犁洞, 현재의 을지로 근처)에서 창설한 민간자본 출판사이다.

신문관은 출판 체계의 분업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진 출판사로, 인쇄부와 판매부가 분리되어 있었으며 서적 광고를 통한 홍보도 이루어졌다. 『조선요리제법』 1918년판에서 확인되는 발행인은 최남선의 형 최창선(崔昌善, ?~?)이며, 그는 실제 신문관의 설립자이며 경영인이었다.

인쇄인은 신문관에서 인쇄식자공이었던 최성우(崔誠愚, ?~?)로, 그는 신문관의 인쇄부를 총괄 관리했다.74)『조선요리제법』의 발행인과 인쇄인이 신문관 소속이므로, 광학서포는 판매소인 분매소의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측된다.75)

즉, 신문관에서 발행한 『조선요리제법』을 광학서포에서도 구매할 수 있었다. 광학서포의 전신은 김상만책사(金相萬冊肆)로 윤치호(尹致昊, 1865~1945) 등이 참여하여 1906년 4월 설립되었다.76)

1910년대 말까지 약 100종의 책을 출간한 광학서포는 이 무렵 문을 닫았으며,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3판 『조선요리제법』은 1921년 신문관에서 광익서관(廣益書舘)으로 바뀌어 발행되었다.

<그림 8> 『만가필비 조선요리제법』(1918년) 판권

『만가필비 조선요리제법』(1918년) 판권

3판이라고 정확히 표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발행순서상 3번째이며 1939년판 『조선요리제법』 서지사항에도 3판으로 되어 있다.77) 광익서관은 회동서관(匯東書館)의 종로 지점으로 1918년 무렵부터 고경상(高敬相)이 경영하기 시작한 곳이다.

신문관에서 광익서관으로 출판사가 변한 경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문관이 문을 닫기 전 광익서관이 『조선요리제법』의 판권을 사들였을 것으로 추측된다.78) 연세대학교에는 표지와 목차 일부, 서지사항이 소실된 『슈졍증보(수정증보) 죠션료리졔법』이 소장되어 있다.

저자와 출판사가 적힌 내지가 있고, 3판 『조선요리제법』과 내용이 거의 동일하므로 이 책이 『조선요리제법』임을 추측할 수 있다. 시기는 적혀있지 않지만, 연필로 적힌 1924년이라는 시기가 식별된다. 이는 서지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단, 같은 글씨로 제 3판이라고 적혀있으나, 이후에 발행된 『조선요리제법』의 판권을 확인해보면 1924년에 발행된 『조선요리제법』은 4판이다. 제 4판으로 추정되는 연세대학교 소장본 『조선요리제법』은 출판사가 조선도서주식회사로 기입되어 있다.

조선도서주식회사는 1920년 4월 각 출판인들이 출자하여 세운 주식회사 형태의 출판사이다.79) 회동서관의 사장이었던 고유상(高裕相)은 조선도서주식회사(朝鮮圖書株式會社)의 취체역(이사)을 겸하고 있었다.80) 이 때문에 『조선요리제법』이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 4판 이후 현재 소장본이 확인되는 1931년, 1934년, 1937년, 1939년, 1943년판 『조선요리제법』은 모두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서 출판되었다. 또한 해방 후인 1949년에도 한성도서라는 이름으로 『조선요리제법』을 발행했다.

한성도서주식회사도 조선도서주식회사와 마찬가지로 공동 출자를 통해 설립된 출판사였다. 한성도서주식회사는 조선도서주식회사보다 2월 이른 1920년 4월에 출판인 장도빈(張道斌, 1888년~1963년)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다.

주로 서북지역 평안도 출신의 젊은 인사들이 모여 자본금 30만 원을 모아 시작하였다고 알려져 있다.81) 식민지시기에 한성도서주식회사는 책을 다수 발행하였다. 1935년 한성도서주식회사는 그때까지 출간된 도서의 목록을 작성하였는데, 책을 총 8종으로 분류하고 도서목록 이외에도 광고와 회사의 창간 이념 등을 첨부했다.82)

『조선요리제법』은 이 중 가정(家庭)항목에 속해있다. 한성도서주식회사는 활발히 출판활동을 이어나갔으나, 1946년 사무실이 전소되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무렵 문을 닫았다.83) 해방 이후 방신영은『조선요리제법』과 다른 제목과 목차를 구성하여 조선 음식 만드는 법,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다른 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의 요리책을 저술하였다.

출판사는 대양공사(大洋公司), 청구문화사(靑丘文化社), 장충도서(奬忠圖書)로 상이하다. 청구문화사의 경우 발행소는 서울에 있었으나 인쇄소가 부산에 있었다.

나. 광고

서적 광고는 대중에게 해당 서적을 홍보하는 매체이다. 이윤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출판사는 서적 광고를 공공 매체에 싣는 행위가 보편적이었으며, 식민지 초기부터 여러 방법으로 판매 마케팅이 이루어졌다.84)

주로 신문의 지면에 사용료를 지불한 광고가 다수였으며, 책 뒤에 광고를 싣거나 출판사 자체에서 판매도서목록을 만들기도 했다. 특히 신문을 통한 서적 광고는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제품을 팔기 위해 다채로운 선전 문구와 그림을 동원했다.

선전 문구는 잠재적인 고객층을 사로잡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조선요리제법』이 지면상에 실린 문구를 살펴본다면 광고주인 출판사가 투영하는 광고 전략을 살펴 볼 수 있으며, 1)서적의 가격, 2)서적이 포함한 내용, 3)주 독자층, 4)기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표 4> 『조선요리제법』매체 지면 광고

『조선요리제법』매체 지면 광고

다음은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따라 『조선요리제법』이 신문과 잡지에서 실렸던 광고의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광고의 목록은 방효순이 분류한 개별형과 목록형이라는 용어를 참조하여 유형을 분류했다.85) 1917년 7월에 『조선요리제법』 초판이 발행된 이후 가장 먼저 보이는 광고는 잡지 《청춘》에 실린 광고이다.

《청춘》은 『조선요리제법』과 마찬가지로 신문관에서 발행되었으며, 잡지 발행인도 최창선으로 동일하다. 신문관에서는 서적 광고를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 하였으며, 본 사에서 발행한 잡지에도 다른 서적이 광고되었다.86)

그 다음 《청춘》 1918년 3월호에는 『시하호평서류(時下好評書類)』라는 제목의 광고가 실리는데, 이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신문관의 인기 있는 출판물들의 목록을 열거하는 방식의 광고이다.

『조선요리제법』 재판은 동년 9월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무궁화》 12월호에도 목록형 방식의 광고가 실렸다고 한다.87) 『조선요리제법』은 이광수의 무정 등과 함께 광고되었으며 나머지 책들도 소설이다.

초판이 발행된 이후 신문관에서도 『조선요리제법』이 호평을 받고 대중에게 상당한 권수가 팔렸음을 일련의 광고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문관의 광고는 《매일신보》에도 수록되었다. 《매일신보》는 1910년대 대표적인 매체였으며, 민간에서 발행된 한글 신문이다.

하지만 『조선요리제법』의 경우는 광고료를 지불하고 게재하는 광고 형태가 아니라 새로 발행된 도서를 소개하는 기사에 실렸다.

연전 파리 만국박람회의 요리 품평회에서 심의한 결과로 조선요리가 2등에 합격하였음은 세계의 일대긍장(⼤矜莊)이어니, 아직까지 그 일반 제조법에 관한 저술이 무(無)하여 기방(奇⽅)과 진미가 주편보행(周遍普⾏)치 못함은 일대유감(⼤遺憾)이 러니. 차(此) 결함을 보하고 갈망을 위할 일호서(好書, 하나의 좋은 책)- 나오니 방신영 여사의 손에서 완성된 『조선요리제법』이 이것이라. 일상의 음식으로부터 연향 (宴饗: 잔치)의 찬수(饌羞)를 합하여 제종(諸種, 여러 종류) 요리법 2백 80칙(則)을 조리 있게 서설하여 일독(讀)에 편해(便解: 편히 알려준다)케 하니 이 책 도처에 음식상으로 무무(貿貿: 서투르다)한 가정과 무재(無才: 재능이 없다)한 부인이 자무(⾃無)하리라 함이 반드시 과언이 아닐지며, 부록으로 일본·지나·서양 등 외국요리법과 지방 명물 음식(名⾷) 제법 여러 종류(數種)을 게재(取載)하였으니, 자양과 진미를 위하여 집집(家家)에 한 권을 구비할 만한 요긴한 책(要書)이러라. (전 권 정가 40전, 경성 황금정 신문관 발행)88)

<그림 9> 《매일신보》 1917년 8월 12일자 “신간 소개: 『조선요리제법』”

《매일신보》 1917년 8월 12일자 “신간 소개: 『조선요리제법』”

<그림 9>은 매일신보에 실린 조선요리가 파리 만국박람회의 요리 품평회에서 2등에 올랐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전’이라는 표현으로 미루어보아 이 광고가 실린 1917년 1년 전인 1916년에 열렸던 파리 만국박람회로 추정된다.89)

조선요리가 외국에까지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체계화된 요리법을 실은 도서가 이제껏 없었다는 점을 주지하여 그 당시 유일한 요리책인 『조선요리제법』을 광고하고 있다. ‘가정’과 ‘부인’의 표현을 통해 이 책의 주요 구매층이 가정 내에서 요리를 담당하는 부인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음식에)서투른 가정과 재능이 없는 부인”이 요리를 배우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요리책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요서(要書)’라는 점은 이 요리책이 실용도서이며, 읽기 쉬운 서술법으로 되어있어 한 번 읽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광고했다.

그리고 외국 요리도 부록으로 실어 그 당시 ‘자양과 진미’를 모두 포함하였다고 하는 점을 통해 독자인 부인들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음식의 종류로는 일상 요리와 잔치 요리가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하지만 실제 『조선요리제법』에서 잔치 요리가 별도로 기재되거나 언급되지는 않는다.

<그림 10> 《동아일보》 1922년 10월 13일자

《동아일보》 1922년 10월 13일자『조선요리제법』

위의 광고(<그림 10>)는 『조선요리제법』이 신문관에서 광익서관으로 출판사가 변경된 후에 동아일보에 게재된 것이다. 맨 오른쪽에 표시된 부분에서 『조선요리제법』의 제목을 확인할 수 있다. 가격은 신문관에서 발매할 때보다 10전이 오른 50전이며, 우편 배송료는 11전이다.

『조선요리제법』 옆에 기재된 책 제목은 모두 광익서관에서 발행한 것이다.90) 이 광고에 실린 책은 주로 실용교육서이다. 광고의 맨 하단부에는 3권 이하의 책을 주문할 때에 선금이 필요하다고 하는 고지가 적혀있다.

새 책과 헌 책(新舊)을 대 발매한다는 것을 고지하고 광익서관의 주소와 진체(振替) 구좌가 병기된 점은 그 당시 서적 광고의 주된 형태였다.91) 광익서관에서 발매된 『조선요리제법』은 앞과 같은 형태의 광고를 통해 대중에게 선전되었으며, 개별 형태의 광고는 발견되지 않았다.

광익서관에서는 단지 1판만이 발간되었으며, 이후 조선도서주식회사로 다시 판권이 넘어가면서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도 『조선요리제법』을 신문 상에 광고하였다. 다음은 동아일보에 실린 조선도서주식회사 전체 광고이며, 『조선요리제법』은 개별 형태로 광고되었다.

하단부에 실린 이 광고는 평문관에서 발간된 『반역자의 어머니』라는 도서와 함께 나란히 실렸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조선도서주식회사에 판권이 넘어간 이후에도 책의 가격은 인상되지 않았으며, 배송료도 동일하다.

방신영 여사 저(著) 증보 4판 美製 2백여 항(⾴) 정가 50전(錢) (배송료(送料) 11전)

수정증보 조선요리제법

◆ 이 책은 우리조선에서 요리 잘 만들기로는 엄지손가락을 꼽지 않을 수 없는 방신영 여사가 지은 책입니다.

◆ 이 책은 조선요리 쳐 놓고서는 하나도 빼지 않고 음식 만드는 곁에 서서 일일이 입으로 일러주는 것 같이 알기 쉽게 또는 잘못됨이 없게 자세히 써놓은 책입니다.

◆ 이 책은 조선요리 만드는 법뿐만이 아니요, 서양요리, 일본요리, 지나요리(중국요리) 등 타국 요리 만드는법도 있으며 상차리는 법 접빈하는 법 아이 우유 먹이는 법상극되는 음식물 피하는 법까지 써놓은 책입니다.

◆ 요리법 책을 사실 때에는 저술자의 이름을 분명히 보아 사십시오.

발행 겸 총판매원 경성부 견지동 60, 전화 광화문 177, 진체(振替) 경성 8255 조선도서주식회사92)

<그림 11> 《동아일보》 1924년 2월 17일자

《동아일보》 1924년 2월 17일자『조선요리제법』

조선도서주식회사의 선전 문구는 1)저자의 요리 능력 2) 읽기 쉬운 문체 3) 다양한 종류의 요리법 게재라는 식으로 초점을 맞춰 홍보하고 있다. 또한 이 광고에서는 ‘요리법책’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요리책’이라는 말은 해방 이후에 종종 사용되었으며, 이후 등장하는 요리 관련 책에서도 요리책이라는 표현은 찾아 보기 힘들다.93) ‘조선요리법’이나 ‘조선요리제법’은 이 당시 동일한 제목으로 발행된 적이 없으나 반드시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된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을 구매해 읽으라는 식의 의도로 보인다.

신문관에서의 광고와 마찬가지로, 조선도서주식회사는 『조선요리제법』이 읽기 쉽다는 점을 강조한다. “음식 만드는 곁에 서서”, “일일이 입으로 일러주는 것같이”라는 표현을 통해 문해력이 부족한 여성 독자층의 구매를 독려하고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한 요리법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한성도서주식회사로 판권이 넘어간 이후 해방이 되기 전까지 『조선요리제법』은 이 출판사에서만 발행·발매되었다.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도 개별적으로 『조선요리제법』을 광고했으며 이전의 광고와 마찬가지로 동아일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출판계 초유의 대특가 제공

▲ 적은돈 가지고 맛나게 만드는 요리제조법(料理製造法)

▲ 금일부터 같은 값이면 맛있게

방신영 여사 저(著) 이윤재 선생 한글 교열(校閱)

『조선요리제법』

내용 견본 무대 진정(內容⾒本無代進呈)

순한글 46판 5백20여 항(⾴) 종이 품질(紙質) 최상 라푸 紙

美麗 純洋裝 表⾐ 純絹紙

실가(實價) 일원(壹圓) 이십전(⼆⼗錢)

송료(送料) 서류(書留) 이십전(⼆⼗錢)

가정행복의 비결이 음식솜씨에 있다는 속담이 있거니와 사실로 식탁이야말로 일가(⼀家) 단란(團欒)의 중심이 아닙니까. 우리의 가정(家庭)에서는 너무도 식탁의 지락(知樂)을 무시해왔습니다. 적어도 신시대의 신가정은 식탁을 중심으로 피어나지 않으면 안 될 것이외다.

이에 감(鑑)한바있어 방신영 여사는 일찍이 동서양 요리법을 실지로 연구하며 각 여학교에서 그를 가르친 지 20여년에 그 비방 수백 종을 모아서 이 좋은 책을 발간했습니다. 누구든지 이 책 한 권만 가졌으면 능히 2전짜리 물건으로도 천 원짜리 요리를 만들 수 있으니 오늘부터 부부애(夫婦愛) 백 퍼센트의 가정 원만은 염려 없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저자는 수년전에 동경영양학교(東京營養學校)에서 영양학 상으로연구를 거듭한 결과 조선요리를 과학적으로 썼습니다. 그런고로 이번 봄(今春) 신학기부터 전 조선(全鮮) 각 여학교에서 가사교과서로 지정되었으니, 늦어지면 좋은 찬모(餐母)를 잃게 됩니다.

신인(新⼈, 새색시)의 식탁에는 【시대적 미각과 과학적 영양이】 아울러 있어야 하겠습니다.

발행소 겸 총 판매소 한성도서주식회사 경성부 견지동 32번지 진체(振替) 경성 7660번

□ 식탁의 낙원(樂園)화(化) 부부애(夫婦愛) 만세(萬歲)

□ 식탁에 여왕인 주부들이어 이 책을 꼭 사보십시오!94)

<그림 12> 《동아일보》 1931년 4월 17일자

《동아일보》 1931년 4월 17일자『조선요리제법』

동아일보에 실린 한성도서주식회사 광고는 기존의 광고보다 내용이 풍부하며 상당히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단 가격을 살펴보면 1924년 4판보다 2배가량 인상된 1원 20전의 가격으로 배송료도 다소 올라 20전이다.

이는 물가의 인상과 함께, 1931년의 『조선요리제법』이 내용 상 개량되어 그 페이지 수와 항목 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931년 『조선요리제법』부터는 한글학자 이윤재의 한글 교열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또한 앞에서 방신영은 조선어표준사정위원회의 회원이었으며, 이윤재는 이 위원회의 공동 발기인이었다.95) 이를 통해 그 두 사람이 표준조선어에 공통으로 관심을 가졌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앞선 광고에서도 쉬운 문체를 강조했었으며, 이번에는 특히 순한글로 적혀있음을 강조하여 독자층인 부인들에게 쉽게 읽힐 것이라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1931년판 『조선요리제법』 광고에는 책의 외적 형태를 광고 문구에 자세히 기술되어있다.

『조선요리제법』의 제본하는 방법은 양장의 형식을 취했으며, 양장(洋裝)은 그 당시 가장 견고한 제본 방식으로 1930년대부터 널리 이용되었다.96) 판형의 형태는 ‘46판’으로 4·6판계에 속한다. 방효순은 이 4·6판계를 설명하면서 4·6배판, 4·6배판형, 4·6판형, 4·6판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방효순은 『조선요리제법』은 4·6판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4·6판은 128×188㎜ 정도의 크기이다.97) 이는 식민지시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판형이다. 또, 종이의 재질도 확인되는데 ‘최신 라푸지’가 정확히 어떤 재질의 종이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라푸지는 ‘러프지’의 그 당시 명칭인 것으로 보이며, 그 당시 서적의 종이 재질은 연구가 부족하여 어떤 종이인지 알기 힘들다.

다만 ‘최신’이라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당시 고급종이에 해당되는 펄프지의 한 종류인 것으로 추정된다.98) 앞서 조선도서주식회사와 마찬가지로 한성도서주식회사도 ‘신가정’과 ‘신인’의 언급을 통해 주 고객층을 부인으로 잡고 있다. 특히 방신영의 이력을 통해 여성들을 설득하는 방식을 취했다.

저자의 동경영양학교 수료, 여학교 교사라는 이력이 전문성을 강조하며 독자들에게도 이런 훌륭한 요리를 식탁에 올려야 하며, 그리고 이 책을 본다면 독자도 훌륭한 요리를 올릴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또, 이 책이 가사교과서로 활용된다는 문구를 통해 그 당시 여성들이 ‘가사(家事)’, ‘가정(家政)’를 통한 활동에 열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마지막 문구는 독자들을 직접적으로 독려하는 내용이다.

부부애(夫婦愛)와 주부(主婦)의 언급은 이제 막 결혼한 부인이 요리를 차려내기 위해 이 책의 독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아일보 산하에서 발간된 잡지 신동아(新東亞)에서는 1933년부터 여성을 위한 잡지를 기획해 창간하였다.

잡지의 이름은 “신가정(新家庭)”으로 신동아 소속 기자들과 여러 사람들이 참여하였으며, 이 가운데 방신영도 요리 관련 기사를 작성했다. 신가정은 창간호 부터 신가정이 폐간하는 1940년까지 식단표와 음식생활 개선에 관련된 방신영의 기사를 다수 실었다.

<그림 13> 《신동아》 1933년 1월호

《신동아》 1933년 1월호『조선요리제법』

보통 잡지 첫 장과 뒷장에는 주로 광고가 실리며, 창간호(1933년 1월호)의 화신백화점 광고 바로 옆에서 『조선요리제법』의 광고를 볼 수 있다. 내용은 앞에 소개했던 동아일보 1931년 광고와 같다.『조선요리제법』은 신문에서 독자를 위한 기사에도 빈번히 등장했다.

1932년 2월 17일자 동아일보 학예면에 실린 한글질의(質疑)라는 기사는 특정 독자가 한글 사전과 한글 문법 개정 등에 대한 질문을 하면 이윤재(李允宰)가 답변해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윤재는 새로운 한글 철자법을 익히는 데 참고가 될 만한 책을 여러 권 추천하였는데,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한 『농민독본』, 『성웅 이순신』 등의 책 사이에서 『조선요리제법』을 함께 열거했다.99)

이윤재는 한글 문법을 익히기 위해 자신이 한글 교정을 본 『조선요리제법』을 추천한 반면, 동아일보 학예부는 조선요리나 혹은 요리법을 배우기에 적당한 책이 무엇인지 물어보는 독자에게 반드시 『조선요리제법』을 추천했다.

1933년 9월 17일자 동아일보 가정 고문(家庭 顧問) 기사에서는 양산의 한 독자가 조선요리법을 기록한 서적의 발행소와 요금을 물어보는 대목이 등장한다.

이에 대해 S기자는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을 소개하고,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주소와 책의 가격을 함께 알려준다.100) 동아일보 1936년도 판에서는 이와 관련된 두 개의 기사가 검색된다. 첫 번째는 6월 12일자 조간의 응접실이라는 기사이다.

목포에 사는 김희숙(金熙淑)이라는 독자가 서양요리제법과 조선요리제법을 상세히 설명한 책자를 물어보고 학예부 기자가 『조선요리제법』을 추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외에도 답변에서는 서양요리제법으로 일본 대창서점(大倉書店)에서 발행한 『정정증보 서양요리대전(訂正增補 西洋料理大全)101)』을 추천하고 있다.

두 번째 기사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기사와 마찬가지로 한 독자가 질문하며 그에 대한 질의로 이루어져 있다. 독자는 “조선요리법을 初步(초보)로부터 알기 쉽게 쓴 책이 있습니까?”라고 묻고, 이에 대해 동아일보 조사부(調査部)는 한성도서 주식회사에서 발행된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을 추천한다.102)

이 세 가지의 예시는 출판사가 의도하고 선전하는 광고는 아니었다. 하지만 『조선요리제법』이 인지도가 높을뿐 더러 공신력을 가지고 있던 요리책이라는 것을 대중에게 전달해주는 광고 효과를 가져왔다.『조선요리제법』의 서적 광고를 모아본 결과, 1) 책의 외형 2) 책에 포함된 내용 3) 홍보문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요리제법』 서적 광고에는 최신 인쇄 기술이 들어갔다는 내용과 함께 쉽게 읽어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고, 책에 포함된 내용이 무엇인지 광고를 본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되었다.

특히 홍보문구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조선요리제법』의 독자층은 1917년 ‘재주가 없는 부인과 가정’에서 점차 ‘식탁의 여왕인 주부’에까지 이른다. 홍보 주체인 출판사가 『조선요리제법』 책은 여성들을 위한 목적으로 쓰인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한식진흥원 •전북음식플라자 •우석대학교 식품영영학 윤계순 교수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정혜경 교수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백두현교수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