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고조리서 이야기 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7. 장계향 이야기
  • 이동

h2mark 너는 과연 우리 집의 보배로다

♣ 태중 열 달이 생후 10년 공부보다 중하니라

시집오자마자 계향은 전실 광산 김씨가 낳은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되었다. 여섯날 난 아들의 이름은 상일이었다. 계향을 처음 본 날, 상일은 수줍게 다가와 새어머니에게 안겼다. 계향은 상일의 조그만 머리를 어루만지면서 한 목숨이 자신에게 온전히 속해오는 것을 느꼈다. 아이의 따뜻한 머리통이 왠지 눈물겨웠다.

상일의 꺼뭇꺼뭇한 눈을 들여다보며 계향은 아이의 마음 속 깊이 자맥질해 들어갔다. “상일아, 내가 이제 네 어미니라. 산남의 맑은 기운이 너에게 다 모여 있구나. 앞으로 너는 내가 힘을 다해 보살필 것이니라.” 열아홉 먹은새댁답지 않게 계향의 음성은 의젓하고 부드러웠다.

두 살 난 딸은 아직 젖먹이였다. 밤에는 품안에 끼고 잠자리에 들었다. 새털 같은 아기의 머리칼에 이마를 대고 계향은 밤마다 죽은 아이어미에게 속으로 아이들을 잘 키워내겠다고, 먹이고 입힐 뿐 아니라 제대로 가르칠 것이라고 다짐하곤 했다. 자식 교육은 선비에게 가장 중요한 임무이고 덕목이었다.

계향이 회임을 한 것은 충효당에 온 지 2년째 되는 해였다. 계향의 회임은 시명의 형제들이 연달아 사망해 부쩍 어둡던 충효당에 환한 빛을 던졌다. 새로 낳을 아이에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교육은 태교였다. 선비들은 교육의 핵심을 태교로 여겼다. “태중의 열 달이 출산 후 십년 교육과 맞먹느니라”고 계향은 배웠다.

회임 후 계향은 언행을 조심하고 음식도 지극히 삼갔다. 그해 영해 나라골 어느 집에 떡 벌어진 회갑연이 벌어졌다. 계향은 만삭이었으나 족친과 인척들이 모두 모이는 자리라 시명과 함께 참석했다. 연회는 성대했다. 야외에 차양과 일산이 드리워졌으며, 온갖 산해진미가 상위로 끊임없이 올랐다.

풍악소리가 너른 들을 가득 메웠다. 잔치가 무르익자, 쿵, 하는 북소리와 함께 처용무가 시작 되었다. 처용무의 시작은 각종 귀신들이 등장하는 귀면희(鬼面戱)였다. 귀면들은 안동지역의 소탈한 탈과는 퍽 다른, 기묘한 느낌을 주었다. 귀면의 광대들은 펄쩍펄쩍 재주를 넘으며 멍석 위를 뛰어다녔다.

간혹 화주를 입에 머금고 뿜어내어 불을 토해내기도 하고 날이 선 창검을 목구멍 깊숙이 삼키기도 했다. 좌중에서는 박수와 웃음이 끊이지 않았다. “아하, 참 희한하네 그려. 사람이 어찌 저렇게 움직일꼬. 아니 그렇소?” 시명은 잔을 손에 든 채 소리 내어 웃었다.

2018 여중군자 장계향 연구발표회
<2018 여중군자 장계향 연구발표회>

그러면서 돌아보니 계향이 고개를 가볍게 숙인 채 눈을 감고 있었다. “옛말에 태중에 아이가 있을 때에는 눈으로는 좋지 못한 것은 보지 아니하며 귀로는 바르지 않은 소리는 듣지 아니한다 하였습니다.” 난생 처음 보는 유희를 계향은 태중의 아이를 위해 외면했다.

아이가 태어난 것은 귀면희로부터 몇 주 뒤의 일이었다. 사내아이였다. 계향은 아들이라는 말을 듣고 아들이 없어 평생 가슴 조리며 살던 어머니 권씨를 떠올렸다. 사흘 만에 시명이 산실 문을 열었을 때 계향은 품이 너른 흰 옷에 웃음을 가득 담고 일어나 앉았다.

“어디 새사람 얼굴 한번 보십시다.” 아이를 안기 전에 그는 먼저 아내의 손을 꼭 잡았다. “진정 수고가 많았소. 장하고 대견하오. 내 당신이 아들을 낳을 줄 알고, 벌써 이름도 생각해두었다오. 휘일, 빛날 휘자 빼어날 일자 휘일. 우리 아이는 세상을 빛내는 빼어난 인물이 될 것이오.”

이어 두해 후 둘째아들 현일이 태어나고 계향은 슬하에 아들 다섯과 딸 둘을 둔다. 시아버지 함의 기원대로 장계향이 재령 이문에 들어온 후 나라골 충효당은 비로소 아이 울음소리와 어른의 웃음소리가 섞여 바깥으로 퍼져나갔다. 집안에 다사로운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늦은 봄날, 계향은 부엌에서 두 아이들이 어울려 노는 음성을 들으며 마름을 무치고 있었다. 마름은 민물에서 나는 ‘말’의 일종으로 초를 쳐서 잘 무쳐놓으면 입맛이 돌게 하는 물풀이었다. 계향은 정성스레 말을 씻으면서 신선한 물내를 깊이 들이켰다.

“물에서 자란 것에는 물내가 난다. 모든 나물은 고유의 향취를 지니고 있다. 토양의 기운을 머금고 있으며 대기의 기운을 머금고 있으며 태양의 기운을 머금고 있다. 사람은 음식을 통해 이 흙과 물과 바람과 불의 기운을 몸 안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그 기운으로 지금 저 아이들처럼 말을 배우고 걷고 뛰고 생각을 한다!” 말을 씻으면서 계향은 물이든 뭍이든, 흙에서 돋아난 식물의 생명력에 전율했다. 계향은 말을 끓는 물에 가볍게 데쳐내어 물기를 꼭 짜버리고 간장과 식초와 깨소금을 넣어 조물조물 무쳤다.

근래 시아버지 함의 이가 부실해졌으니 씹기 쉽도록 무친 것을 다시 잘게 찢었다. 계향의 손길은 작은 일에도 몹시 정성스러웠다. “허, 이게 무언고. 말이 아닌가. 우리 마을에는 없는 말이 어디서 났는고?” “무실어른 댁에서 보내주셨나이다.” 상을 물릴 때 보니 말 중발이 깨끗이 비어 있었다.

드문 일이어서 계향은 반갑고 고마웠다. “허, 그거 참 봄맛이로구나. 모처럼 달게 먹었다. 내 상을 물리고 무실 어른께 감사하는 적바람이나 한 구절 써 보내야겠다.” 계향이 숭늉을 들고 다시 갔을 때, 함이 가만히 고개를 숙이고 화선지 앞에 앉아 있는 품이 마땅한 글귀가 떠오르지 않는 모양이었다.

“허허 참, 젊었을 적 같지가 않구나. 적바람으로 몇 글자 적어보려 했더니...” 계향은 아까 말을 씻으며 떠올렸던 글귀가 있었다. 그게 저도 모르게 입 안에서 흘러 나왔다.

수국춘색(水國春色)이 홀등반상(忽登攀上)하니

향미담래(香味談來)에 가득소병(可得蘇炳)이라

봄기운이 홀연히 반상에 올랐으니

그 향기와 담백한 맛이 내 병을 낫게 하는구나

“새아가, 방금 무어라 했는고?” “아닙니다. 그저, 아까 말을 씻으면서 언뜻 스쳐가는 구절이 있기에 그만...” 계향은 어른 앞에서 시문을 읊조리는 외람된 짓을 해버린 무안함에 얼굴이 발개졌다. 함은 크게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수국춘색이 홀등반상이라, 옳다. 방금 네가 말한 바로 그것이로다.

새아가는 어찌 내 속을 그리 훤히 꿰뚫어 보는고, 내가 하고 싶던 말이 바로 그것인 줄을 어찌 알았던고, 허허허. 기특하고 어여쁘다.” “송구하옵니다, 아버님.” 계향이 안채에 들어오고 난 지 한참 후에도 함은 여전히 눈앞에 며느리가 서 있는 듯 다시 말했다.

“너는 과연 우리 집의 보배로다.” 모처럼 밥그릇을 깨끗이 비운 그날 이후 충효당 주인 함은 어두운 기색을 완연히 벗었다. 계향의 시가 그의 우울을 거둬가 준 듯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한식진흥원 •전북음식플라자 •우석대학교 식품영영학 윤계순 교수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정혜경 교수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백두현교수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