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차림의 종류는 상에 차려내는 주식에 따라, 상을 차리는 목적에 따라 여러 상차림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식에는 밥을 중심으로 찬을 차리는 반상과 죽 중심의 죽상, 국수, 만두, 떡국을 차리는 면상, 만두상, 떡국상 등이 있다. 그리고 손님을 대접할 때에는 목적에 따라 주안상, 다과상, 교자상이 있다.
♣ 반상
반과 국, 김치를 기본으로 차리는 밥상을 반상이라고 한다.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 반상이 있으며 밥, 국, 김치, 조치, 전골, 장을 제외한 쟁첩에 담는 반찬의 수를 첩이라 부른다.
첩수 | 음식 | |
3첩 | 기본 | 밥, 국, 김치, 간장 |
반찬 | 구이 또는 적, 생채 또는 숙채, 장아찌나 젓갈, 마른찬 중 택1 | |
|
||
5첩 | 기본 | 밥, 국, 김치 2종류, 찌개(조치), 간장, 초간장 |
반찬 | 구이 또는 적, 생채 또는 숙채, 장아찌나 젓갈, 조림, 전유어 | |
|
||
7첩 | 기본 | 밥, 국, 김치 2종류, 찌개, 찜, 전골,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 |
반찬 | 구이 또는 적, 생채, 숙채, 장아찌 또는 젓갈, 조림, 전유어, 편육 또는 회 | |
|
||
9첩 | 기본 | 밥, 국, 김치 3종류, 찌개 2종류, 찜, 전골,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 |
반찬 | 구이 또는 적, 생채, 숙채, 조림, 전유어, 장아찌, 젓갈, 마른찬, 편육 또는 회 | |
|
||
12첩(수라상) | 기본 | 밥2종류, 국2종류, 김치3종류, 찌개2종류, 찜, 전골, 간장, 초간장, 초고추장 |
반찬 | 더운구이, 찬구이, 조림, 전유어, 숙채, 생채, 장아찌, 젓갈, 마른찬, 편육, 회, 수란 | |
|
♣ 전통 반상의 종류 및 메뉴
♣ 죽상
이른 아침에는 죽상을 올린다. 응이, 미음, 죽 등의 유동식을 중심으로 물김치, 마른 찬을 갖추고 덜어 먹을 그릇과 소금이나 청장을 놓는다.
♣ 면상
면상은 밥을 대신하여 국수나 만두, 떡국을 주로 올리는 상으로 간단한 식사 때에 차린다. 주식으로는 온면, 냉면, 떡국, 만둣국 등이 오르며 부식으로는 찜, 겨자채, 잡채, 편육, 전, 배추김치, 나박김치, 생채, 잡채 등이 오른다. 그리고 후식도 같이 올린다.
♣ 주안상
술을 대접하기 위해 차린 상으로 술의 종류, 손님의 기호를 고려해서 준비해야 한다. 청주, 소주, 탁주 같은 술과 함께 전, 편육류, 생채류 및 마른 안주, 전유어가 올라간다. 기호에 따라 전골이나 찌개 같은 국물이 있는 뜨거운 음식을 안주로 준비하기도 한다.
♣ 다과상
식사 시간외에 다과를 대접하거나 식사 후에 후식으로 내놓은 다과 중심의 상차림이다. 음청류(식혜, 수정과 등)나 따뜻한 차를 올리고 그와 어울리는 다식, 정과류 등을 함께 낸다.
♣ 교자상
명절이나 집안에 경사가 있거나 귀한 손님을 초대할 때 여러 사람이 음식을 차려 놓고 둘러 앉아 식사할 수 있도록 차려 놓은 상이다. 주식은 냉면, 온면, 떡국, 만두 중에 계절에 맞는 음식을 하나로 놓고 탕, 찜, 전유어, 편육, 적, 회, 채, 신서로 같은 찬을 올린다.
김치는 배추김치나 나박김치, 오이소박이, 장김치 중에서 2~3가지 정도를 차리며, 후식은 숙실과, 생과일, 화채, 차를 마련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