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발효음식 레시피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열무김치
  • 열무김치

    지역 아시아 > 서울,경기도 > 경기도 의정부시
    분류 발효음식 > 김치
    자료보유 경기도 의정부시 서계고택
    자료기록 의정부 반남 박씨 박세당 종가
    제작년도 2014
    제작기관 세계김치연구소
    레시피 기초

요리 재료
열무김치 레시피 식재료 1.
- 주재료 : 열무 5kg
- 절임 재료 : 굵은소금 300g, 물 3L
- 양념 재료 : 홍고추(혹은 불린 건고추) 300g, 고춧가루 160g, 고춧가루 160g, 대파 100g, 마늘 120g, 생강 40g
Step 1.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1-0
1. 열무는 억세고 시든 잎은 떼어내고, 뿌리는 끝쪽만 손질한다.
Step 2.
2. 열무에 소금물을 끼얹어 절인다. 이 때 자주 뒤적이거나 급히 짜게 절이지 않는다.
Step 3.
3. 대파는 잘게 썬다.
Step 4.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4-0
4. 마늘과 생강은 다진다.
Step 5.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5-0
5. 홍고추는 꼭지를 떼고 반을 갈라 씨를 제거한 후 찬밥과 함께 믹서에 간다.
Step 6.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6-0
6. 절인 열무는 찬물에 살짝 씻어 물기를 빼고 먹기 좋게 자른다.
Step 7.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7-0
7. 절인 열무에 고추 간 것과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을 넣고 가볍게 버무려서 항아리에 담는다.
Step 8.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8-0
열무김치 레시피 조리순서 8-1
8. 그릇에 예쁘게 담아낸다.
조리 참고
● 여름김치에는 젓갈을 사용하지 않는다.
● 찬밥이 없을 때에는 밀가루로 풀을 쑤어 사용한다.
● 홍고추만 쓰지 않고 고춧가루나 마른 고추 불린 것을 함께 쓰기도 한다.
● 물김치로 만들 때는 국물이 없을 때 보다 약하게 절이고 마지막에 소금물을 붓는다.

h2mark 더보기

1 오이통지
2 알타리무김치
3 오가피장아찌
 4  열무김치 -
5 흑보리고추장
6 파김치
7 얼갈이김치
8 백김치
9 얼갈이김치
10 보쌈김치
11 두릅장아찌

h2mark 의정부 반남 박씨 박세당 종가 내력

김인순 종부는 시어머니가 병중이라 시집오자마자 바로 안살림을 시작했다. 시어머니 병 수발은 물론 시할아버지와 시아버지까지 모시느라 종부의 삶은 녹록하지 않았다. 당시엔 3,000여 평의 농사도 직접 지었는데, 일손이 모자라 임신을 하고도 수시로 새참을 날라야 했다고 한다. 시집오고 한동안은 바깥출입이 쉽지 않았지만 가끔은 시아버지와 함께 경동시장으로 장을 보러 나가기도 했다. 시아버지가 관리하던 곳간 열쇠를 지난 2000년에 물려받았다.

시어머니는 몸이 불편하지만 며느리에게 종가의 음식을 가르치는 데 소홀하지 않았다. 시어머니는 김인순 종부보다 간을 좀 더 싱겁게 했는데, 며느리가 올리는 음식이 입에 맞지 않더라도 싫은 내색을 한번도 비치지 않아 늘 고마웠다고 한다. "내 식구가 먹는 것이니 정성으로 만들어야지, 나쁜 마음을 먹으면 음식이 독이 된다."는 것도 시어머니의 가르침이었다.

의정부 서계종택
<의정부 서계종택>

꼼꼼한 성격의 시어머니는 항상 검소하게 생활하며 종가의 살림을 키웠다. 손이 워낙 컸던 시할머니는 누가 찾아와 아쉬운 소리를 하면 망설임 없이 모두 나눠 주었는데, 이를 지켜보던 시어머니는 종가의 살림을 유지하려니 안 되겠다 싶어 ‘개성깍쟁이’ 소리까지 들어가며 알뜰하게 살림을 지켜냈다.

김인순 종부가 시집올 때 가져온 냉장고도 처음엔 전기요금 걱정에 쓰지도 못하게 했다. 며느리 입장에서는 아쉽고 서운할 법도 하지만 그는 종가의 내무부 장관인 종부가 살림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종가의 흥망이 달린 것이라며 오히려 시어머니가 존경스럽다고 한다. 1년에 200~300명의 손님을 치러야 하는 종가의 살림이니 항상 아끼고 먹을 것을 비축해 두는 것이 당연하기에 김치류나 장아찌류, 장류가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밖에서 사 먹는 음식이 너무 자극적이라며 신선한 제철 재료로 정성스럽게 만든 종가의 음식을 현대의 젊은이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다고 한다. 또 종부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지금도 왕실 문화와 선비 문화, 종가 문화를 배우려고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찾아다닌다. 전국 주요 종가들의 모임인 ‘뿌리회’ 활동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의정부 서계종택 김인순 종부
<김인순 종부>

의정부 반남 박씨 종가의 신세대 며느리인 조윤아 차종부는 입맛이 예민한 신랑을 처음 만났을 때만 해도 ‘어머니가 요리 솜씨가 좋은가 보다’ 정도로만 생각했다. 그런데 시부모님께 인사드리러 오기 2~3일 전 신랑으로부터 종손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다행히 맏며느리였던 친정어머니 덕분에 어릴 때부터 집안의 제사를 모시는 모습을 보고 자라 크게 놀라지는 않았다고 한다. 시집살이를 혹독하게 했던 친정어머니도 반대는커녕 오히려 “평범하게 남편 뒷바라지하며 사는 것보다 종부의 삶에 도전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라며 선뜻 결혼을 허락했다. 아마도 3대가 함께 사는 종가에서 어른을 대하는 예절이 몸에 밴 신랑이 친정 부모님께 점수를 많이 땄던 모양이라고 그녀는 전한다.

처음 시댁에 인사를 왔을 때는 서계 종택의 예스러운 풍경 때문에 어색하고 긴장도 되었지만, 김인순 종부가 “만약 나한테 섭섭하거나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으면 바로 이야기하라”며 살갑게 맞아준 덕분에 별다른 고민 없이 결혼을 결정했다. 딸이 귀한 종가라 늘 며느리를 친딸처럼 아껴주고, 혹여 불편할까 옷도 편하게 입고 다니라며 마음을 써주는 시어머니가 그녀는 항상 고맙다고 한다.

의정부 서계종택 조윤아 차종부
<조윤아 차종부>

조윤아 차종부는 시집와서 시어머니에게 가장 많이 들은 말이 ‘밥보시’라고 한다. 김치와 장아찌 등 종가의 음식을 아낌없이 나눠주고, 불시에 찾아오는 손님들에게도 푸짐하게 상을 차려내는 시어머니의 모습은 신세대 며느리에겐 낯설게만 느껴졌다. 그러나 어느새 시어머니의 소탈함과 남다른 인정에 익숙해졌고, 지금은 누구에게나 따뜻한 종부의 역할을 훌륭히 해내고 있는 시어머니가 존경스럽고 닮고 싶은 마음이다.

그는 손맛보다 레시피에 익숙한 인터넷 세대이다 보니 경험으로 만들어 온 시어머니의 음식들을 세월이 흐른 뒤에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을지 조심스럽다. 그 때문에 종가의 문화를 오롯이 전승하려면 기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종가의 며느리가 되기 전에는 한번도 생각해 보지 않은 일이지만, 이제는 종가 문화의 전수자로서 사회적 역할까지 고민하고 있다. 현재 그는 차종부로서 의정부 반남 박씨 종가의 내림 음식을 잇는 것은 물론, 서계문화재단의 일도 돕고 있다.

▤ 가문음식 더보기

♣ 종가의 공간과 조리 기구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자리한 서계 종택은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수령 400여 년이 넘는 멋스러운 은행나무가 반겨 준다. 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물든 은행잎이 고즈넉한 고택 풍경을 더욱 운치 있게 만든다. 일반인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사랑채의 다실은 사방이 트여 있어 여름에는 시원하고, 창문 너머로 다채로운 계절의 변화도 눈에 담을 수 있다.

의정부 서계종택 사랑채의 다실
<의정부 서계종택 사랑채의 다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학자인 서계 박세당(1629년~1703년)을 위시한 서계 가문은 당대 수많은 학자와 정치가를 배출한 명문가로 꼽힌다. 서계 종택 역시 조선 후기 전형적인 양반 사대부가의 기품을 갖추고 있다. 본래 안채와 안사랑 · 바깥사랑 그리고 행랑채로 이루어진 구조였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 소실되고 지금은 바깥사랑채와 사당인 영당만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서계는 자신의 숨결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집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지니고 있었는데 <자찬묘표(自撰墓表)>에서 “울타리는 없었지만 복숭아나무와 살구나무, 배나무와 밤나무에 둘러싸인 집”이라고 그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는가 하면 주변의 언덕을 ‘낙구(樂丘)’로 부르기도 하였다.

의정부 서계종택 오가피밭
<의정부 서계종택 오가피밭>

농업을 중시하고 그 방법을 실질적으로 연구했던 서계는 후손들에게도 “네 먹거리는 네 손으로 농사지으라.”고 강조했다. 그 때문에 의정부 반남 박씨 종가에서는 오래전부터 쌀농사를 직접 짓고 콩과 배추를 비롯한 각종 채소를 키워서 먹고 있다. 김인순 종부에 따르면 종가의 위치 또한 시내와 멀리 떨어져 있어 과거엔 무엇 하나 사러 나가기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자연스레 사시사철 직접 농사짓고 텃밭에서 키운 재료들로 밥상을 차려냈다. 10여 년 전부터 오가피를 직접 재배해 장아찌를 담그는 것도 가족들의 건강을 위한 종부의 지혜이자 정성이다.

의정부 서계종택 돌확
<의정부 서계종택 돌확>

돌확은 주로 고추나 마늘 등 양념이나 곡식을 갈 때 사용한다. 자연석을 우묵하게 파거나 버치 형태의 그릇 안쪽을 우둘투둘하게 구워내 쓰기도 한다. 의정부 반남 박씨 종가에서는 김치 양념을 갈 때 돌확을 이용했다.

의정부 서계종택 맷돌
<의정부 서계종택 맷돌>

맷돌은 곡물을 가는 데 쓰는 기구이다. 위, 아래 돌 두 짝으로 구성되는데 윗돌에는 곡물을 집어넣는 구멍이 있고 아랫돌에는 곡물이 잘 갈리도록 홈이나 구멍을 파두었다. 의정부 반남 박씨 종가에서는 농사지은 콩을 갈 때 이 맷돌을 이용했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계김치연구소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