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락탕(杏酪湯)은 해수를 치료한다. 처방은 다음과 같다. 행인(껍질과 끝부분을 제거한다) 1근을 사기그릇에 담아 물과 함께 질게 갈아서 큰 사발로 2사발의 물과 함께 은그릇이나 돌그릇 속에 부어서 중간불로 10분의 8-9가 될 때까지 달여 아교 4냥을 넣고 백청과 함께 달인다. 만약
행락탕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광제비급(廣濟秘笈)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杏酪湯, 治嗽, 杏仁一斤, 去皮尖, 砂盆內, 水硏如泥, 下水二大碗, 入銀石器內, 文武火煎, 約近八九分, 入阿膠四兩, 以白淸, 同煎, 如不甘, 加蜜磁, 合收貯, 每服一大匙, 不拘時 ○행락탕은 기침을 치료하는데 껍질과 끝을 버린 행인 1근을 사기 그릇에 물을 붓고 진흙과 같이 간 다음
행인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宣明》 행비로 아픈 곳이 정처 없이 돌아다니는 경우를 치료한다. 방풍 1.5돈, 당귀ㆍ적복령ㆍ독활ㆍ행인ㆍ계심ㆍ감초 각 1돈, 마황 5푼, 황금ㆍ진교ㆍ갈근 각 3푼.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개를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 《선명》
행인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동의보감(東醫寶鑑)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入門》 육취와 징가가 기를 따라 오르내려서 명치가 찌르는 듯이 아프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를 치료한다. 후박ㆍ오수유ㆍ지각 1.5돈, 진피ㆍ행인ㆍ계심ㆍ적복령 각 1돈, 천궁ㆍ부자(습지에 싸서 굽는다)ㆍ감초(굽는다) 각 5푼, 반하ㆍ빈랑ㆍ당귀 각 4푼.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단곡경험방(丹谷經驗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대변이 비결한 것에는 허실(虛實)이 있는데 실(實)하면 장위(腸胃)에 맺힌 열(熱)을 씻어내어야 하니 대황 망초 지실 후박 등의 승기탕류가 이것이다. (처방은 한문에 있다.) 허(虛)하면 음혈(陰血)을 자양(滋養)하여 건조한 것을 적셔주고 맺힌 것을 풀어주는데 윤조탕을 쓴다. ◇도인과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원거강(依源擧綱)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태양병으로 땀 없는 오한에는 마황 방풍 행인을 2배로 넣고, 땀나는 오풍에는 육계 백작약 행인을 2배로 넣는다. ○양명병으로 땀 없고 열이 나지만 오한이 아닐 경우에는 육계 황금을 2배로 넣고 갈근 1돈 4푼을 더하여 쓴다. ○태음병으로 땀 없고 몸이 서늘한 경우에는 부자를 2배로 넣
《丹心》 일명 대계산이다. 맵고 뜨거운 음식이 폐위(肺胃)를 상하여 구혈ㆍ토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런 증상을 폐저라고 한다. 대계근ㆍ상백피ㆍ서각ㆍ승마ㆍ포황(볶은 것)ㆍ행인ㆍ길경ㆍ감초 각 1돈.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단심》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별초단방(別抄單方)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폐한(肺寒)으로 인한 기침에는 마황 행인을 사용한다. 설사에는 백출을 사용한다. 딸꾹질에는 시체()를 사용한다.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양무신편(兩無神編)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기침이 오랫동안 낫지 않아 흉격(胸膈)으로부터 아래로 담음(痰飮)이 막혀 장부까지 이르고 피고름이 나온 지 30년이 지났으며, 기수(氣嗽)로 죽을 것 같고, 콧물과 가래로 폐담(肺痰)이 나오며, 수시로 한열이 오르락내리락 할 때에는 지모(털을 제거하고 썬 것을 종이 위에 얹어 볶은 것)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수세비결(壽世祕訣)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습기(濕氣)로 인해 몸이 아픈 것이 일포(日哺, 오후 5시)에 심한 사람은 마황(麻黃) 행인(杏仁, 살구씨) 의이인(薏苡仁, 율무의 종피를 제거한 씨)을 탕으로 만들어 마신다. 마황(麻黃) 3냥 살구씨 24개와 의이인(薏苡仁) 감초(甘草) 각 1냥을 물 4되에 넣고 2되가 될 때까지 끓
행인음료 한방음식 효능 처방전 의휘(宜彙) 한의학고전DB
한방식품백과 > 한방식품백과사전
○風痰, 千金木복나무五加皮各五斤, 牛膝三斤, 木通一斤煎水, 作酒服. 중풍으로 어질어질하고 팔다리를 가누지 못할 때는 생강즙 1잔과 행인을 찧어낸 즙을 달인 뒤에 술과 섞어 마신다. 물에 섞어도 된다. ○진간장(陳艮醬)을 젖과 섞어 마신다. ○풍담(風痰)에는 천금목붉나무오가피 각 5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