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맛있는 한식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2. 떡/한과류
  • 이동

h2mark 화전

꽃을 붙여 부친 부꾸미.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지진 떡으로, 계절에 따라서 진달래꽃·장미꽃·배꽃·국화꽃 등을 붙여서 지진다. 일명 꽃지지미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는 삼월 삼짇날〔重三節〕 들놀이를 할 때 진달래꽃을 따서 찹쌀가루에 섞어 지진 꽃전을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있는데, 이러한 풍습은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이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삼짇날 중전을 모시고 비원에 나가 옥류천가에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꽃을 얹어 화전을 부쳐 먹으면서 화전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세종 때 명신인 강희안은 진달래 꼿의 花品으로 5품을 주었다고 한다. 진달래가 메마른 땅에서 자라고 오로지 북향해서 피는 것을 절개가 있는 신의 님을 향한 일편단심으로 보았기 때문이란다.

게다가 그렇게 절개있게 피었다가 춘궁기에는 굶주린 백성들의 음식으로 또는 약주로 살신하기 때문에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이규태, 우리음식이야기,1991)

진달래화전 이 외에 봄에는 이화전(梨花煎), 여름에는 장미화전(薔薇花煎), 가을에는 황국화와 감국잎으로 국화전(菊花煎)을 부쳐 먹었으며, 꽃이 없을 때에는 미나리잎·쑥잎·석이버섯·대추 등으로 꽃모양을 만들어 붙여 화전을 만들어 먹었다. 화전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법은 찹쌀에 소금을 넣고 곱게 빻아서 약간 익반죽하여 밤알만큼씩 떼어 둥글납작하게 빚어 번철에 놓고 지지면서 꽃잎을 예쁘게 붙여 완전히 익힌 뒤 꿀에 담그거나 설탕을 뿌리는 방법이다.

둘째 방법은 고운 찹쌀가루를 되게 반죽하여 5㎜ 두께로 밀어 꽃을 얹고 꼭꼭 눌러서 지름 5㎝ 되는 화전통으로 찍어내서 푹 잠길 정도의 기름에서 지져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로 궁중의 소주방에서 쓰던 것이다. 완전히 익은 화전은 꿀에 담갔다가 계피가루를 뿌려서 먹었다.

화전 맛있는 한식이야기

화전은 시루떡을 담고 그 위에 얹는 웃기떡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꽃지짐이라고도 불리며 계절감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하고 낭만적인 떡인 화전은 삼월 삼짓날의 화전놀이에서 유래한다.

화전놀이는 옛 여성들의 봄소풍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화전놀이 풍경은 19세기 프랑스 선교사의 눈으로 아름답게 그려진 바 있다.

“음력 3월 3일이 되면 부인들은 솥뚜껑인 번철과 함께 찹쌀가루에 소금을 넣은 반죽을 들고 적당한 곳에 자리를 잡으면, 먼저 한 사람이 봄이 와서 아름답게 핀 꽃 풍경을 노래부른다. 그러면 다른 한 사람이 이에 답하는 노래를 연이어 읇조린다. 이렇게 한 수 한 수의 노래가 나오기 시작하면 끝내 시집와서 고생했던 사연들까지 나와 각자 마음에 품어두었던 회포를 풀어낸다. 한참 이렇게 화전가와 화전답가가 오가면 한편에서는 미리 준비해간 번철과 찹쌀 반죽으로 전을 지지고 사방에 너부러진 진달래꽃잎을 따서 장식을 하여 화전을 부친다.” 참으로 아름다운 광경이다.

또 남부 지방의 민속과 전통을 고증을 거쳐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는 최명희의 혼불에도 여러 페이지를 할애하여 당시 행해졌던 화전놀이를 기록하고 있는데 흥미있는 사실은 이 화전놀이에서 요즘의 백일장과 같은 화전가 짓기 대회를 열었다는 점이다.

저자는 이 여성 백일장에서 장원을 한 어느 부인의 화전가 전문을 수록하고 있어 화전 만드는 법과 화전이 상징하고 있는 전통 여성의 애환까지도 알아볼 수 있다. 화전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어화 세상 사람들아 이 내 말쌈 들어 보소

부유 같은 천지간에 초로 같은 인생이라

세상사를 생각하니 우습고도 도리하다

저 건너 저 산 우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천고영웅 몇몇이며

절대가인 그 누군고 우리들고 죽어지면 저러이 될 인생인데

노세노세 젊어 노세 늙어지면 못노나니

십일 붉은 꽃이 없고 달도 차면 기울어라

일장춘몽 우리 인생 아니 놀고 무엇하리

놀음중에 좋은 것은 화전 밖에 또 있는가

어화 우리 벗님네야 화전놀이 가자스라

단오 명절 좋다 해도 꽃이 없어 아니 좋고

추석명절 좋다 해도 단풍들어 낙엽지니 마음 슬어 아니 좋고

설 명절이 좋다 하나 낙목한천 잔설 빛이 스산엄동 역력하니

꽃도 피고 새도 울러 양춘가절 화개춘 삼월이라 삼짇날에

강남갔던 제비들이 꽃 따라서 돌아온가.

제비 날개 훈충따라 작년 진 꽃 돌아온가.

천지상봉 새 기운이 만화방창 흐드러진 산천초목

금수강산 비단 같은 골짜기에

우리들도 꽃이 되어 별유천지 하루 놀음

화전말고 무엇있소 화전놀이 하러 가세“

이렇게 삼월삼짇날 열렸던 화전놀이는 단순한 여가나 놀이의 차원을 넘어 마을의 공식적인 행사 차원에서 그 준비 과정 역시 대갓집의 혼례나 환갑잔치 버금가는 것이어서 마님과 아씨는 물론 집안의 여종들까지 총동원되어 아예 주방기구를 야외로 옮기는 수준의 거대한 작업이었음이 나타난다.

“하루 전에 모든 떡쌀 새벽부터 찧어지고 번철 위에 바를 기름 두루미로 이고 오는 여종 불러 분부하되 너희들은 먼저 가서 솥을 걸고 붚붙여라. 길라잡이 하려무나.”

그렇기 때문에 이날은 마을의 모든 여성들이 집안일에서 놓여날 수 있는 공식적인 “여성의 날”이었다.

“어화 춘풍 좋을씨고 오늘 우리 화전이라 밤낮으로 짜던 베를 오늘이라 나랑 쉬고 달밤에도 돌던 물레 오늘 낮에 잠을 자네. 쇠털같이 많은 날에 한가한 날 없었으니 오늘 하루 잠시 쉰들 나무랄 이 그 누구랴.... ”

가부장적 전통적 질서에서 해방되어 온전히 여성만의 공간을 찾아 경개좋은 곳에 모여 화전을 부쳐 나누어 먹었던 이 날은 가히 “여성 해방의 날”이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이날 여성들은 술도 마시고 마음껏 취할 수 있었으며 남성 못지 않은 호기를 부릴 수도 있었다.

“가소롭다 가소롭다 남자 놀음 가소롭다 호연지기 나만하랴 신을 벗어 뒤에 차고 버선 벗어 앞에 차고 다리 추고 물에 서서 이 돌 저 돌 둘씨면서 고기 하나 잡아 들고 이것 보라 으쓱이네 청류변에 시냇물가 나무 주워 불 해 놓고 탁주 수 배 받은 후에 너도 나도 잡은 고기 하나 둘씩 구워 내어 소금없이 안주하고 잘 놀았다 말을 하며 담뱃대 길게 물고 뒷집지고 뒤로 걸어 남자 노릇 흉내내니 혼자보기 아깝도다 만장 폭소 웃음소리 천만 시름 씻어 단다. 남자 놀음 좋다 하나 여자 놀음 따를손가.”

물론 여럿이 모여 앉아 화전을 만들어 부치며 쌓였던 온갖 시집살이의 서러움을 토해내는 자리기도 했다. 그러니까 가부장적 전통사회에서의 해방구가 바로 화전놀이터였음이 분명하다.

이 화전놀이는 분명 여성만의 봄놀이였다. 하지만 예외는 있는 법인가보다. 삼짇날의 화전놀이는 민간에서만 행해진 것이 아니라 임금 단 한 사람만 제외하고는 모두가 여성이었던 구중궁궐에서도 당연히 행해졌는데 이 화전놀이에 임금님이 행차하면 그 자리에서 두견화를 따서 꽃지짐을 하는 행사가 열렸다고 한다.

예로부터 부엌과 음식 일이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성의 몫이었다. 그러나 여성이 만든 음식 중 이처럼 음식의 아름다움을 통해서 여성성을 드러낸 음식이 있을까 싶다. 음식 자체도 아름답지만 화전을 만드는 날, 만드는 장소, 만드는 분위기까지, 화전은 특별한 미를 드러내는 음식이다.

그래서 혹자는 3월3일 즉 삼짇날이 유서깊은 한국 “여성의 날”이었다고 본다. 여성의 날을 정할 때 이 화전놀이야 말로 그 어떤 이유보다도 가장 여성적인 이유가 되지 않을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화전은 역시 삼짇날 만들어 먹던 진달래화전일 것이다. 진달래는 한 마디로 우리 민족의 꽃이다. 국가를 상징하는 꽃을 정할 때 봄이 되면 산천을 뒤덮는 진달래를 두고 왜 다른 꽃으로 했는지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사람도 많다. 한국인에게 진달래는 영혼과 같은 꽃이다.

그러나 화전이 반드시 진달래로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국인들은 봄에는 진달래꽃, 찔레꽃, 여름에는 황장미꽃, 가을에는 황국, 감국잎 등을 사용하여 곱게 빚은 찹쌀전 위에 붙였다.

이외에도 식용 가능한 모든 꽃잎들을 상황에 따라 사용하여 화전을 만들었으니 장식된 꽃은 찹쌀의 하얗고 동그란 전과 어울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만치 정갈하고 화려한 아름다움을 지닌 음식이 바로 화전이었다.

꽃을 식탁이나 음식에 장식용으로 사용해 온 인간의 음식문화사에서 꽃잎이 아름다운 음식 자체로 변화되는 이 화전이야말로 참으로 한국의 음식미학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들과 산에 아름답게 핀 꽃을 식탁에 올려 놓는다는 것은 우리 조상들의 멋스러움과 여유에서 오는 너그러운 생활의 일면을 볼 수 있다.

여름에는 노란장미 가을에는 국화 봄에는 가장 맛이 감미로운 진달래꽃으로 전을 만든다. 진천에선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기도하려 가서 제상에 꽃전을 올렸다는 기록도 있다.

♣ 봄꽃 요리, 여수 영취산 ‘진달래 화전’

h2mark 더 보기

No. 제목 보기
1 경단 바로가기
2 꿀떡 바로가기
3 백설기 바로가기
4 약식 바로가기
5 화전 -
6 강정 바로가기
7 다식 바로가기
8 약과 바로가기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한식진흥원 •농촌진흥청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