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김치명인 맛과 멋!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광주로 모여 김치가 완성되다
  • 이동

h2mark 전라남도의 으뜸 젓갈, 멸치젓

전라도 지역은 조선 시대까지 전국 소금 생산량의 40%를 차지할 만큼 풍부한 소금 생산지였다. 해안에서 잡은 수산물을 고장마다 각자의 방식으로 소금에 절여 담근 젓갈은 그 맛이 천차만별이었다.

젓갈 중에서도 전라남도 김치에서 빠질 수 없는 멸치젓은 멸치를 소금에 절여 삭힌 젓갈이다. 멸치의 주요 산지인 남해안 지역에서 많이 담그며, 5월에서 7월 사이에 나는 싱싱한 멸치를 사용한다.

멸치 한 궤짝에 소금 두 되 반 정도를 넣어 담그는데, 보통 2∼3년 숙성된 멸치젓을 음식에 사용한다. 멸치젓은 쌀이 주식인 한국인들에게 부족한 단백질과 칼슘을 보충해 주고, 오랜 기간 보관이 가능해 옛날부터 즐겨 먹은 발효음식이다.

멸치젓은 숙성시킨 채 용수를 박아 새어나온 액젓을 떠서 사용한다. 또는 옹기에 그대로 담아 그늘진 곳에 멸치 뼈가 삭아 없어질 때 까지 뒀다가 양지바른 곳으로 옮겨 숙성시키고, 불에 올려 끓인 뒤 한 지에 걸러 여과시킨 고운 액젓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라남도에서는 주로 멸치젓을 사용하지만, 조기젓, 황석어젓, 갈치젓, 새우젓 등을 사용하거나 여러 젓갈을 섞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193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식자재 유통의 한계로 타 지역에서 전라남도 김치를 만들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교통의 발달로 서울까지 멸치젓 유통이 가능해졌고, 여러 신문을 통해 전라남도 김치 만드는 법이 소개되었다. 지금의 김치는 멸치액젓과 찹쌀풀죽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기본처럼 되어 있는데, 이는 전라남도 김치 맛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이 따라하면서 전국의 김치 제조법에 영향을 준 것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da 인트라뱅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