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인희. 한국인의 보양식.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2) 이성우. 한국식품사회사. 까치글방. 2000.
3)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1984.
4) 장경원 외 2인. 기능성식품 기술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2003.
5) 건강과 치료를 위한 약선영양. 도서출판 정담. 2007.
6) 이종미. 우리나라 건강기능성 식품의 사회, 문화적 접근. 2003.
7) 나창수 외 17인. 한의학 총강. 2007.
8) 안문생. 안문생약선기. 한국약선교육개발원. 2003.
9) 조헌영. 통속한의학 원론.학원사. 2007.
10) 이동한 편역. 활인심방. 교육과학사. 2005.
11) 이영종. 한의학과 식료. 식품산업과 영양 제5권 3호. 2008.
12) 문관심. 1991. 약초의 성분과 이용. p 706. 일월서각
13) 이시진. 1982. 본초강목. pp. 119-121. 인민위생출판사
14)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2005. 중약대사전. pp1497-1502. 도서출판정담
15) 아세미, 김국량. 2004. 중의식료학. pp.265-283. 중국중의약출판사
16) 윤선, 곽호경, 김유경, 김혜경, 박명수, 염경진, 오헤숙, 이민준, 이재환, 지근억. 2006. 건강기능식품. pp. 1-5. 라이프사이언스
17) 신민규, 이윤희, 김대준, 박미연, 변준석. 2001. 식생활에 관한 한방적 고찰. 대한 의료기공 학회 5:186-198
18) 신민규, 박승, 맹웅재. 1989. 국역향약집성방(하). 영림사. pp. 23-28
19) 김인락. 1998. 기미론의 실험적 이해. p5. 다우문화사
20) 담흥귀. 2003. 중의약선학. pp. 35-88. 중국중의약출판사
21) 박성혜, 조혜분, 송원희, 박성진. 2007. 건강과 치료를 위한 약선 영양(3권). pp. 50-51. 도서출판정담
22) 한국공업협회. 2009. 식품공전. 문영사. pp. 725-728
23) 황안국. 2008. 한방생약건강기능식품의학론. pp 70-78.북스텍
24) AOAC. 1990. Official Methods Analysis 13th ed. Assi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125-132
25) Hwang JB, Yang MO, Shin HK. 1998.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Sci.Technol 30: 35-41
26) Park SH, Cui HS. 2006. Characteristics and nutrirional approaching of Sun-Jup in Oriental medicinal Diet therap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 753-758
27) Park SH 2005.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Yak-Su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 1520-1527
28) Song JH, Lee JS, Lee EN, Lee SW. 2009.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ugija Tagju. Korean J Food & Nutr 22: 86-91
29) Choi HI, Lee BK, Kim SJ. 2010.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Korean J Food & Nutr 2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