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河生員,『酒方文』「中朴桂」,1600년대 말경.
2) 河生員,『酒方文』「中朴桂」,1600년대 말경. ; 1800년대 중엽경에 나온『주찬(酒饌)』조청법(造淸法)에는 색다르게 만드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찰기장 밥이 따뜻할 때 엿기름가루 1되,정화수 6되를 섞어 사기 항아리에 담아 따뜻한 방에 밤새 둔다. 날이 밝으면 꺼내어 베자루로 걸러서 대추 5홉과 함께 사기병에 담는다. 이것을 솥에 담아 대추가 무를 때까지 중탕한 다음 기름종이로 아가리를 단단히 싸서 땅에 묻어둔다. 30일이 지나면 꿀이 된다.’
3) 李漢(1681~1763),『星湖懷說』「粗粉蜜」.
4)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5) 『飮食知味方』「약과법」,1670년경.
6)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7) 『慕禮都監儀就』,1866.
8)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9) 李漫(1681~1763),『星湖德說』「散子」.
10) 許俊,『東醫寶鑑』「湯液」.
11)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12) 『飮食知味方』,1670년경.
13) 李湯(1681~1763),『星湖德說』「茶食」.
14) 金緩(14811~15522),『需雲雜方』「茶食法」.
15) 『飮食知味方』,1670년경.
16) 李漢(1約1~17切),『星湖德說』「峰蜜」.
17)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18)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19)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20)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軟食知味方』,1670년경.
21) 李湯(1681~1763),『星湖懷說』「育高松靑」.
22) 김유(金格) : 고려 고종 때 영녕공(永寧公) 준(綧)이 원나라에 인질로 잡혀 갈 때 따라 간 사람이다.「조이전」에 의하면 김유가 중국에 들어간 뒤에 본국(고려)을 배반하고,사신으로 본국에 나와서 욕심을 부려 보려고 항시 생각하던 끝에 해동 삼산(三山)에 약물(藥物)이 있으니 만약 나를 사신으로 보내 주면 구해 오겠다고 안동을 속였다. 그 말에 넘어간 안동은 그를 고려로 보내 주었다. 그러나 김유가 안동에게 바친 송고병이란 소나무 위에서 저절로 생긴 것이 아니고 사람이 만든 송기떡 이었다 한다.
23)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24)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25) 김상보,『조선왕조 혼례 연향음식문화』,신광출판사,2006, 260쪽.
26)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27) 『園幸己卵整理儀就』,1795.
28)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29)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30) 『慕禮都監儀執』,1906.
31)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32) 『進宴儀軟』,1719.
33) 『受®儀軟』,1765.
34) 『進宴儀執』,1901 • 1902. ;『進饌儀執』,1829 • 1848 • 1868 • 1877 • 1887 • 1892. ;『進爲儀執』,1873.
35) 김상보,『조선왕조 궁중의궤 음식문화』,수학사,1995, 376~379쪽.
36) 李漢(1681~1763),『星湖懷說』「微子」.
37)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38) 河生員,『酒方文』「着ffi」,1600년대 말경.
39) 『飮食知味方』「토장법 녹두나화」,1670년경.
40) 金緩(1481~1552),『需雲雜方』「三色魚湯」. ; 김상보,『다시 보는 조선왕조 궁중음식』,수학사,2011, 63쪽.
41)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聞閣醫書』卷之上,1815년경.
42) 河生員,『酒方文』「霜花」,1600년대 말경.
43) 『聞閱業書』卷之下「돼지고기 굽는 법」,1815년경.
44) 『閱閱業書』卷之下「돼지고기 굽는 법」,1S15년경.
45) 『聞閱蒙書』卷之上「생선 굽는 법」,1815년경.
46) 『酒饌』「羅허醬」,1柳0년대 중엽.
47) 『酒饌』「羅肉醬」,1800년대 중엽.
48) 金緩(1481~1552),『需雲雜方』「取浪丄
49) 『酒饌』「肉蒸」,1800년대 중엽.
50) 『酒饌』「肉蒸」,1800년대 중엽.
51) 河生員,『酒方文』,1600년대 말경. ;『飮食知味方』,1670년경. ;『聞閱業書』卷之上,1815년경.
52) 『飮食知味方』「霜花法」,1670년경.
53) 金緩(1481~1552),『需雲雜方』「三色魚兒湯」.
54) 『閱閣業書』卷之上「紅蛤」,1815년경.
55)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56)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57) 『迎接都監雜物色儀執』,1643.
58)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59)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60) 河生員,『酒方文』「藥果」,1600년대 말경.
61) 김상보,『조선왕조 궁중의궤 음식문화』,수학사,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