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음식사진 촬영기법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4. 한국 전통음식 사진에 표현된 Food Styling 의 조형성 연구
  • 이동

h2mark 한국 전통음식 사진의 조형요소 분석 결과

한국 전통음식 사진의 조형요소의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shape)에 있어서 음식 자체 형태는 사각형 34.9%, 채친형 태 16.3%, 원형 16.3%로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모양으로 음식을 잘라 조리한 형태가 많았으며 음식 재료 자체의 형태를 살려서 만드는 경우 예를 들면 닭고기 모양, 송이버섯 모양으로 조리된 형태도 13.9%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음식 담기 형태는 원형모양이 60.5%, 사각형이 16.3%, 방사형모양이 11.6%로 원형담기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고 있었으며 그릇의 형태에 있어서는 원형이 65.1%, 사각형이 20.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타원형이나 나뭇잎모양, 조개모양 등의 기타 모양이 14%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국물 위주의 음식이 둥근형태의 그릇에 담기면서 음식자체도 둥근형태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색채(color)에 있어서는 음식 자체의 색채는 다양한 재료와 조리 형태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주로 Vivid 계열의 원색과 Strong 계열의 색채가 주를 이루었고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음식의 어둡고 탁한 Dull 한 계열의 색채도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의 전통음식에서도 오방색을 이용하고 있는 특징이 발견되는데 미각에서도 오행의 원리를 쫒아 맵고, 달고, 시고, 짜고, 쓴,오미를 색상에서는 오색을 조화시키려 한 예가 바로 그것이다.

오행설을 일상적인 음식 문화에 이용해 음식의 시각기호와 미각기호의 코드를 창출해 낸 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식문화이다. 오방색으로 꾸며 놓은 고명을 음식에 색채를 부여하는 ‘시각기호’라고 한다면, 양념은 짜고, 맵고, 신맛과 쓴맛을 주어 음식 전체 맛을 조율하는 ‘미각기호’라고 할 수 있다.46)

그릇의 색채로는 White(N9.5)가 32.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고 있었으며 돌솥의 Black (N1.5)계열의 색이 25.6%, Light Gray(N8)가 6.9%로 주로 무채색 계열의 색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배경색으로는 무채색 계열(N9.5, N8)이 32.5%로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Y/Lgr 이 27.9%로 자연스러운 원목나무의 색이 배경색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셋째 크기(size)에 있어서 그릇에 담긴 음식의 크기비율은 60%가 34.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70%가 20.9%, 80%가 16.2%를 차지했다. 국물이나 찌개류는 그릇의 70%~80%이상 담는 것이 많았으며 그밖의 음식은 50~60%정도 담아 놓은 것이 많았다.

여백비율을 살펴보면 50%가 41.8%로 가장 많았으며 60%는 30.2%, 40%는 20.9%로 50% 이상의 여백비율이 71%로 한국음식 스타일링에 있어서 음식 자체보다 여백이 중요시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 전통음식 사진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은 형태(shape)에 있어서는 음식자체를 사각형이나 채친 형태로 둥근 원형그릇에 원형으로 담는 것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색채(color)에 있어서는 Vivid, Strong, Dull 계열의 다양한 색채와 흰색의 식기에 무채색 배경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색인 오방색이 음식장식에도 여러모 로 사용되고 있었다.

크기(size)에 있어서는 여백을 중시하여 여백비율은 50% 이상 되는 사진이 많았으며 음식은 대략 그릇의 50~60%정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조형요소의 특징을 미각이미지와 연결해 보면 한국의 전통음식은 색채에 있어서의 이미지는 <그림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풍요롭고 감칠맛이 나고 깊고 섬세한 맛을 지닌 미각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형태에 있어서 <그림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곡선형의 semi-soft 한 형태로 구수하다, 맵다, 새콤하다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담고 있는 음식에도 한국의 전통적인 조형미를 담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조형미의 특징 중 하나는 전반적으로 지나친 장식이 없는 소박미(素朴美)를 강조하고 있는데47) 이러한 특징은 한국의 전통음식사진 조형적 특성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릇색채나 여백의 색채에서 무채색계열의 색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거나 음식이 그릇에 담긴 형태도 화려한 장식보다는 소박하게 원형으로 담아낸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소박미를 강조한 한국 조형의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Food of Korea 전통음식 사진 1.
The Food of Korea 전통음식 사진 2.
The Food of Korea 전통음식 사진 3.
The Food of Korea 전통음식 사진 4.
The Food of Korea 전통음식 사진 5.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중앙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