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식료찬요 치료식단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3. 식료찬요(食療纂要)의 이해
  • 이동

h2mark 『두류 및 된장』의 효능과 조리법

♣ 식료찬요에 나타난 『두류 및 된장』의 효능과 조리법

(1) 콩국수의 효능

중서(中署 : 여름에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증상)를 치료하려면 밀가루(小麥麪)로 만든 국수를 찬물에 넣어 먹는다.

(2) 검은콩의 효능

각기(脚氣)가 있으면서 심번(心煩 : 가슴이 답답한 증상)증상이 있고 다리가 약하고 머리가어지럽고 현기증이 나며(頭目眩冒) 저리고 근육이 수축되어 잘 펴지지 않는(痺濕筋急) 증상을 치료하려면 검은콩(黑豆) 2되를 볶아 익힌 것을 술 1말에 넣어 밀봉하고 하룻 밤 지나면 마신다.

말에서 떨어져 붕혈(崩血: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로 혈붕(血崩)이라고도 한다.) 이 있으며, 복만( 服滿: 배가 창만하고 그득한 증상), 단기(短氣: 숨이 가쁘면서 이어지지 못하고 숨찬 증상)가 있는 것을 치료하려면 검은콩(黑豆) 2홉을 볶아 익힌 다음 찧어 분쇄하고 물 1대접을 넣고 달여 5푼을 취하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아무 때나 따뜻하게 복용한다.

미친개에 물려 독이 심장으로 들어가 속이 답답하고 심맥이 끊어지려고 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려면 검은콩(黑豆) 삶은 물을 복용하면 매우 좋다.

임신 중의 요통을 치료하려면 콩(大臺)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검은콩(黑豆)이라고 한다.) 1되를 술 3되에 넣고 삶아 7홉을 취한다.

(3) 대두(노란콩)의 효능

갑자기 중풍에 걸려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려면 콩(大豆)을 삶은 다음 그 즙을 엿 처럼 달여 먹거나 혹은 진하게 삶아 먹는다.

맞은 것같이 아픈 협통(脇痛 :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병)을 치료하려면 콩(大豆) 1되를 볶아 그을린다. 술 2되에 콩을 넣고 삶아 끓여 익힌 다음 술에 취하도록 마시면 신묘하게 낫는다.

소아가 여름철에 설사가 계속되었을 때 치료하려면 달걀(雞子)5개와 녹두(慕豆)를 같이 삶아 녹두가 부드러워지도록 익힌 다음 묵은쌀(陳倉米)넣고 묽은 죽을 만든다. 휘저어서 죽이 따뜻하게 식으면 먹고 달걀을 먹어 눌러준다. 1-2번 한꺼번에 먹으면 설사병이 감소되어 편안해진다.

비위(脾胃)를 튼튼히 하려면 콩(大豆)을 볶아 분말로 만들어 항상 복용한다.

각기충심(脚氣衝心 : 각기(脚氣 : 가슴이 치받쳐 속이 답답해지는 증상)로 인하여 마음이 번민(煩悶 :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하게 되어 사람을 알아보기 어려운 것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콩(大豆) 1되에 물 3되를 넣고 진하게 삶아 그 즙을 반 되 마신다. 만약 진정되지 않으면 다시 반 되를 마신다. 그러면 즉시 진정된다.

신체의 부종(浮腫)을 치료하려면 콩(大豆) 1되와 물 5되를 넣고 삶아 즙 3되를 취한다. 찌꺼기를 제거하고 술 5되를 넣고 다시 삶아 3되를 취하여 3번 나누어 따뜻하게 먹는다. 차도가 없으면 나누지 말고 한 번에 복용한다.

출산 후에 중풍(中風)으로 죽을 것같이 괴롭거나, 배강(背强: 등이 뻣뻣한 증상)이나 구금(口噤: 입을 벌리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고 먹지도 못하는 증상), 또는 번열(煩熱: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 고갈(苦渴: 쓴맛이 날정도로 목이 마르는 증상), 또는 머리 몸 등이 무겁게 느껴질 때, 또는 신양(身痒: 몸이 아픈 것)이 심하여 구역(嘔逆: 속이 메스꺼워 토하려는 증상)이 나고 직시(直視: 초점이 없이 빤히 바라보는 것)하는 것은 모두 허열중풍(虛熱中風)이다.

또한 출산 후에 태반(胞次)이 나오면 항상 조금씩 복용하여 풍기(風氣)를 방지하고 결혈(結血, 혈이 뭉쳐지는 것)을 사라지게 한다. 또한 출산 후의 풍허(風虛)로 오완육급(五緩六急: 오장(五臟))의 부조화로 인하여 이완되는 것을 오완(五緩)이라 하고 육부(六腑)의 부조화로 인하여 긴급하게 되는 것을 육급(六急)이라 한다.) 수족(手足)의 경직(硬直)과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흐려지는 증세(頭旋目眩) 그리고 혈기(血氣)가 고르지 않은 것을(不調) 치료한다. 콩(大豆) 3되를 완전히 익도록 볶아 소리가 나지 않기를 기다려 그릇에 담고 술 5되를 붓고 달여 2되를 얻어 다 복용한다. 이불을 따뜻하게 덮어 약간 땀을 내어 몸이 축축하게 되면 병이 곧 낫는다.

잉부(孕婦)가 산달을 다 채우지 못하고 뱃속의 태아가 죽어 번민하는 마음을 치료하려면 콩(大豆) 3되, 식초 9되를 삶아 진한 즙 3되를 취하여 한 번에 복용한다. 태의불하(胎衣不下 : 출산 후 태반이 배출되지 않는 것)를 치료하려면 콩(大豆) 큰 것으로 반 되, 술 3되를 삶아 반으로 졸여 3번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4) 된장의 효능

비위(脾胃)의 기(氣)가 냉(冷)하여 음식을 내려 보내지 못하고 허약하고 무력한 것을 치료하려면 붕어(鯽魚) 반근을 회로 만들고 끓는 된장국물(豉汁)에 넣어 익히고 후추(胡椒) 건강(乾薑 : 말린 생강) 귤피(橘皮 : 귤껍질)가루를 넣고 숙회(熟鱠)를 만들어 공복에 먹는다. 비위(脾胃)의 기가 약하여 음식을 보기만 하여도 토하고 몸이 마르고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하려면 밀가루 4 대량(大兩 : 당(唐)나라 때 생긴 단위로지금의 3냥에 해당된다.)을 달걀 4개의 흰자와 잘 반죽하여 가래떡(索倂)을 만들고 푹 삶는다. 된장국에 넣어 공복에 먹는다.

비위(脾胃)의 기가 약하여 음식을 먹어도 소화시키지 못하고 몸이 마르고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하려면 밀가루 누룩(麪麯) 각 2냥과 생강즙 3 대홉(大合 : 홉보다 큰 단위)을 잘 반죽하여 가래떡(索倂)을 만들고 푹 삶는다. 귤피(橘皮 : 귤껍질) 산초 소금을 넣고 양고기국물(羊肉臛) 된장국물(豉汁)에 먹는다.

간장풍허(肝臟風虛)로 인하여 눈이 침침한 것을 치료하려면 오골계(烏鷄)의 간 1개를 잘게 절단하고 된장국물에 쌀과 같이 넣어 국이나 죽으로 만들어 먹는다.

눈이 어두워 잘 보이지 않아 청맹과니(靑盲 : 보기에는 눈이 멀쩡하나 사실상 보지 못하는 사람)가 된 것을 치료하려면 토끼 간(免肝) 1개를 잘게 썰어 된장국물(豉汁)에 넣고 죽을 만들어 공복에 복용한다. 효과가 있을 때까지 먹는다

신기(腎氣)가 허손(虛損 : 몸과 마음이 허약하고 피로한 증상으로 허로(虛勞)라고도 한다.)하여 이롱(耳聾 :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이 된 것을 치료하려면 사슴콩팥(鹿腎) 1쌍을 기름과 막(膜)을 제거하고 자른 다음 멥쌀(粳米)3홉을 된장국물(豉汁)에 넣고 끓여서 죽을 만들고 보통 하는 방법과 같이 양념(五味)을 넣어 공복에 먹는다. 국을 만들고 술을 넣어도 역시 좋다.

오장(五臟)의 기가 뭉쳐서 이롱(耳壟 :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이 된 것을 치료하려면 흰 거위(白鵝)기름 2냥 멥쌀(粳米) 3홉을 같이 끓여 죽을 만들고 양념(五味), 파, 된장 등을 넣어 공복에 먹는다.

졸번열(卒煩熱 : 갑자기 나타나는 번열)을 치료하려면 흰 오리(白鴨)를 파, 된장과 같이 삶아 즙을 내어 마신다.

십종수병(十種水病)이 낫지 않아 죽으려고 하는 사람을 치료하려면 오소리(猯猪)고기 1근, 멥쌀(粳米)가루 반근을 된장국에 끊여 죽을 만들고 생강, 산초, 총백(葱白 : 파의 밑동)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노열(勞熱: 허로로 나는 열로 虛熱에 속한다.) 천흡(喘吸: 숨을 헐떡거림) 사지번통(四肢煩痛: 사지가 괴롭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데(는) 조로(朝露 : 아침이슬)를 피해야 한다. 된장 2홉 총백(葱白: 파의 밑동) 1움큼과 쌀(髮米) 2흡을 준비한다. 물 2되에 파 된장을 넣어 삶고, 즙을 걸러내어 찰을 넣고 다시 삶아 묽은 죽을 만들어 공복에 먹는다.

허로(虛勞)로 인한 골열(骨熱: 뼈에 열감을 느끼는 것으로 골증(骨蒸)이 있을 때 나타난다)과 등과 팔(背膊)이 괴롭고 아픈 것과 음식을 아래로 내려 보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려면 구기자나무의 어린 잎 4냥과 총백(葱白:파의 밑동) 한 움큼을 썰어서 된장국에 넣고 요리하여 평소처럼 먹는다.

소변삽소(小便濾少: 소변이 시원하게 나가지 않으면서 적게 보는 것)와 경중통(莖中痛: 음경이 아픈 것)을 치료하려면 아욱(葵菜) 3근, 총백(葱白 : 파의 밑동) 한 움큼, 쌀 3홉을 준비한 다음 아욱을 삶아 그 즙을 내고 쌀과 파를 넣은 후 삶아 익힌다. 진한 된장국물(豉汁)을 약간 넣어 공복에 먹는다.

열림(熱淋: 습열이 하초에 몰려 생긴 림증)과 혈림(血淋: 피오줌이 나오는 림증)으로 소변에 피가 나오고 경중통(莖中痛)0을 치료하려면 자른 차전엽(車前葉: 질경이 잎) 1근, 자른 총백(葱白: 파의 밑동) 한 움큼, 쌀 2홉을 준비한 다음 된장국물(豉汁)에 넣고 삶아 국을 만들어 공복에 먹는다. 또한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총백(葱白: 파의 밑동) 각 1냥을 된장국물에 넣고 삶아 죽을 만들어 먹는다.

오치 (五痔 : 모치(牡痔) 빈치(牝痔) 맥치(脉痔) 장치(腸痔) 기치(氣痔)등 5가지 치질)로 인한 하혈(下血)을 치료하는데 창이엽(蒼耳葉: 도꼬마리 잎) 1근 쌀 2홉을 준비한 다음 창이엽(蒼耳葉)을 잘게 잘라 된장국물에 쌀과 같이 넣고 잘 섞어 국을 만든다. 산초, 총백(葱白: 파의 밑동)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호서대학교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