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 감소와 연계된 한국사회 제반 문제의 발생
❍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직면하고 있는 알고리즘, 인공지능 등이 이끄는 현대문명에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 인지 영역까지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게 됨에 따라 점점 더 사람의 일자리는 위협을 받는 상황이 되고 있음
– 같은 맥락에서 2009년 갤럽 회장은 향후 상당기간 동안 전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일자리 (창출) 전쟁’(Jobs war)이 될 것이라 예견
❍ 현재, 우리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경제적 문제 상당수가 결국은 일자리(jobs)와 연관되어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 세계적인 저출산, 청년 실업의 문제, 도시나 지역의 쇠퇴, 지방소멸 위험, 복지지출의 애로 등 대부분의 문제는 일자리 부족과 맥이 닿아 있다고 할 수 있음
❍ 가장 대표적으로 합계출산율은 ’83년 인구대체수준 2.1명에서 ’01년부터 초저출산율인 1.3명 미만으로 떨어지다, ’18년 0.98로 추락하여 인구절벽1) 위기 도래
–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며, 세계적 인구학자인 데이비드 콜먼 옥스퍼드대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코리아신드롬”이라 하고, 한국을 “인구소멸국가 1호”로 언급(2006)
* 자료 : 통계청 홈페이지
▣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 시급
❍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은 다양한 부문에서 접근이 가능
– 현대적인 첨단산업이나 기업을 창출, 유치하기 위한 전략 뿐 아니라 문화, 복지,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뿐 아니라 사회적 기업, 지역 공동체 기업 등도 여기에 해당
❍ 이와 동시에 특정한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연고성이 높은 전통산업 및 지역특화산업의 육성도 하나의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
– 이들 산업은 지역의 인력, 자원 및 기술, 풍습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범위의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2)
❍ 이 가운데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전통주, 특히 막걸리 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도 우리사회의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음
– 최근 삶의 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 추구, 개성 있는 라이프 스타일의 증가와 부합해서 막걸리에 대한 수요 뿐 아니라 그 산업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음
– 산업적으로도 80년대 이전 주류시장의 80%의 점유율을 차지하다 88년 29.9%, 90년 21.1%, 95년 8.4%를 거처, 2009년 12.8%로 상승한 후 침체기를 거처 최근 고급 프리미엄 막걸리의 등장, 상품의 다양화 등으로 활성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음
❍ 그러나 막걸리를 빚고 판매할 수 있는 생산 및 유통업체가 도시나 농촌에 관계없이 만들어지고 있고, 개성있는 소비의 일환으로 프리미엄 및 지역의 특색있는 막걸리를 찾는 등 산업의 환경변화도 일어나고 있음
– 가령 전국에 걸쳐 도시를 중심으로 창업과 고용을 창출하고 막걸리 소비를 확산시키는 “느린마을 막걸리 양조장”이 생겨나고 있으며 신사동과 명동에 소재하고 있는 전통주 유통전문점인 ‘백곰 막걸리&양조장’은 전국 프리미엄급 막걸리3)를 유통시키고 있음
* 백곰막걸리 매출액 순위에 의하면 2019년 2월 1위는 “양산 이화명주,” 2위는 “해남의 해창막걸리,” 3위는 “울산 복순도가 손막걸리”였음
– 여기에 더해 고려시대의 막걸리를 고증시킨 “떠먹는 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막걸리” 등 다양한 과일 막걸리가 20-30대 소비자 증가에 맞춰 생산되고 있기도 함
* 2017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때 한·미 정상회담 만찬주가 되면서 전통주 업계의 ‘스타’가 된 청주의 “풍정사계 춘,” “남북정상 회담 만찬주가 된 ”양상 이화명주“ 등도 막걸리 활성화에 기여
– 또 농식품부는 전국의 “찾아가는 양조장”을 지정, 제시하고 2009년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 뿐 아니라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막걸리를 포함해서 전통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음
❍ 이같은 잠재력을 지닌 막걸리 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 밀착적이고 보다 기업 밀착적인 육성 방안의 개발이 필요함
– 특히 로컬 차원에서 막걸리를 제조, 판매하고 있는 기업은 전국적인 유통망을 가진 기업에 비해 현지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상당함
– 이들 대부분은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기업활동에 있어 적지 않은 애로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국지적 기업일수록 그러한 애로를 해결해 나가는 데 한계가 더 많으며 가치체인 및 패키지 정책지원의 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음
– 가령, 하우스 막걸리의 허용, 막걸리 교육 활성화 등으로 인한 중소기업 및 창업 추세로 인해 막걸리 산업의 육성은 우리가 처한 지역이나 국가의 일자리 과제 해결 뿐 아니라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 연구목적
❍ 이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비록 소규모가 되더라도 지역의 일자리와 고용을 창출해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지역과 상당한 정도의 연고성을 지니고 있는 막걸리 산업의 육성방안을 개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특히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연(地緣) 및 토착산업이자 향토(鄕土) 산업이었던 막걸리 산업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막걸리의 생산 및 제조, 유통 및 판매, 홍보 및 마케팅, 디자인, 품질향상 등 가치체인(value chain)의 다양한 부문에서 이들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기업이나 민간,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의 참여 뿐 아니라 지자체, 중앙정부의 역할, 제도개선 방안 등도 포함
❍ 아울러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물의 활용도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음
– ⅰ) 전국에 흩어져 있는 막걸리 기업의 특색있고 경쟁력 있는 성장 및 발전에 기여
– ⅱ)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 비록 규모는 크지 않지만 현지 일자리 및 고용 창출의 외연적인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