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종갓집 상차림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2. 모심, 부모님 은덕에 보답하는 올림상차림
  • 이동

h2mark 새벽 새 물 길어 올리는 시조부님 약상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

시집와 처음 배운 것이 시조부님께 올리는 ‘조약’ 만드는 법이었다. 새벽 일찍 일어나 새 물을 길어 짓는 조약은, 모든 재료를 껍질째 달인다. 한 번 달여 놓으면 따뜻할 때는 따뜻한 대로, 식으면 식은 대로 가까이에 두고 차처럼 드셨다.

♣ 철마다 음식재료 준비로 일년이 다 가도

예천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옥고를 치른 시조부님은 그 탓에 병치레가 잦았다. 특히 천식 때문에 아침저녁으로 고생하셨다. 시집와 처음 배운 것이 시조부님께 올리는 ‘조약’ 만드는 법이었다. 새벽 일찍 일어나 새 물을 길어 짓는 조약은, 모든 재료를 껍질째 달인다.

우러날 게 생강밖에 없으니 두어 시간 달이면 된다. 한 번 달여 놓으면 따뜻할 때는 따뜻한 대로, 식으면 식은 대로 가까이에 두고 차처럼 드셨다. 조약이 떨어지지 않게 하려고 밤중에라도 끓여 드렸다. 처음 시집왔을 때는 시조부모님, 시어머님이 계셨고 일꾼도 두 명 있었다.

시조부님 건강 챙기는 약상, 다과상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

그때 건진국수를 많이 했는데, 곱게 썰어서 삶아 따뜻한 국물에 여러 가지 고명을 얹어내면 시조부님이 좋아하셨다. “이거는 야야, 대통령이 와서 대접해도 손색이 없다” 하실 정도로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다.

예전에는 철마다 음식 재료 준비로도 일 년이 지났다. 그러니 다른 것은 아무것도 못 했다. 불천위 세 내외분을 포함해 일 년에 열두 번의 제사를 지내기 때문이다. 잔치나 결혼식이 있는 해에는 그 준비에 손이 더 필요했다.

새벽 새 물 길어 올리는 시조부님 약상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

♣ 시조부님 건강 챙기는 약상, 다과상

초간 권문해 종가의 조약상차림은 매작과, 인삼정과, 생강절임, 편강 등을 조약과 함께 내어 잔기침이 끊이지 않았던 시조부님의 기운을 보하던 약상이다. 더불어 차좁쌀감주에 다식과 매작과, 기지떡을 함께 올리는 다과상 상차림이다.

▪ 조약

종가음식 조약

조약은 ‘조약거리다’, ‘만들었다’라는 의미다. 댓잎, 박속, 은행, 밤, 생강, 차조기잎을 넣고 달인 물이다. 차조기잎과 박 속은 말려뒀다가 사철 썼다.

▪ 인삼정과

종가음식 인삼정과

인삼을 살짝 쪄서 조청에 조린다. 너무 많이 조리면 딱딱해지므로 색이나 상태를 봐가며 조려야 한다.

▪ 생강정과와 편강

종가음식 생강정과와 편강

생강정과는 생강을 편으로 썰어서 소금물에 데쳐서 꿀을 넣고 조린다. 편강은 생강을 편으로 썰어서 설탕에 조려서 말린 것이다.

시조부님 건강 챙기는 다과상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

▪ 매작과

종가음식 매작과

밀가루에 소금과 생강즙을 넣고 반죽해 얇게 민 다음 직사각형으로 썰어 가운데를 뒤집어 리본처럼 만들어서 튀긴 후 조청에 버무린다. 잣가루를 고명으로 뿌린다.

▪ 차좁쌀감주

종가음식 차좁쌀감주

차좁쌀로 밥을 지어 뜨거운 김이 나가면 엿기름물을 넣고 생강을 많이 넣어 따뜻한 곳에서 삭힌다. 생강이 많이 들어가 기침이나 천식에 좋다.

▪ 다식

종가음식 다식

송화와 검은깨, 쌀가루에 조청이나 꿀을 넣고 반죽해서 다식틀에 찍어낸다. 요즘에는 다식이 작아졌지만, 예전에는 다식도 큼직큼직했다. 음복할 때는 둘 또는 네 조각으로 쪼개서 음복했다.

▪ 기지떡(증편)

종가음식 기지떡(증편)

멥쌀을 곱게 빻아서 탁주하고 콩물(콩을 갈아서 즙을 짜서)을 넣고 반죽한 뒤 면포를 덮어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킨다. 주걱으로 뒤섞으면 거품이 빠지며 부르르 소리가 난다. 가마솥에 채반을 놓고 짚을 깔고, 면포를 놓고 떡을 찌는데, 떡이 부풀어 오른다. 고명으로 밤, 콩, 차조기잎, 맨드라미꽃, 목백일홍꽃, 검은깨를 올린다.

♣ 친정도 종가, 시집도 종가, 천상 ‘종부’ 이재명 종부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이재명 종부

곤궁했던 종가 살림살이에도 집안에 걸인들이 밥을 얻으러 오면 한가득 양식을 담아 보내주곤 했다는 이재명(75세) 종부는 1963년 안동에 있는 진성 이씨주촌 종가에서 시집왔다. 10월에 혼례를 하고 이듬해 3월에 신행을 왔다. 신랑이 초행을 왔다가 3일 만에 재행을 왔다.

재행에는 이웃집에서 하룻밤을 자는 것이 풍습이었다. 신랑이 본가로 갔다가 날을 받아서 다시 삼행을 온다. 삼행까지 마치고 나면 신부가 신행가기 전까지 신랑이 신부집을 오갔다. 신행 올 때 원삼에 족두리를 쓰고, 연지곤지 찍고 집안 어른들과 조상께 헌구례를 드렸다.

지금으로 치면 결혼식 날 하는 폐백이다. 아버님이 집에 안 계시고, 시어머니도 편찮으시니 신행을 오자마자 살림을 물려받았다. 남편은 법대를 졸업했지만, 일꾼들 데리고 농사지으며 집안 건사에 힘썼다.

고명딸(권재정)을 봉화 달실마을 안동 권씨 충재 권벌 종가에 시집보냈다. 종가의 음식이야, 친정댁과 시댁의 손맛이 그를 통해 내림으로 두루 만나는 법. 가끔 찾아와 음식이야기에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한다.

♣ 우리 최초 백과사전 저자 초간 선생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종가」종가

정감록에서 꼽는 우리나라 십승지지 가운데 하나가 금당실이다. 옛말에 ‘금당맛질 반서울’ 할 만큼 물산이 풍부했던 금당실의 개울 건너편에, 예천 권씨 초간 종택이 있다. 종택 어귀에는 500년 넘게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울향(鬱香)나무가 있다.

초간 선생의 조부 권오상 선생이 전남 해남으로 유배되었다가 돌아올 때 가지고 온 것으로 알려졌다. 사랑채 누마루에 오르면 너른 들판이 굽어 보인다. 경북 예천 용문면 죽림리, 찻길에서 벗어나 작은 내를 건널세라 물이 휘돌아 가는 어귀 암반 위에 초간정이 고졸하게 자리하고 있다.

‘해거름 낚싯대 드리우는 자리’, 초간정에 걸린 현판 석조헌(夕釣軒)이 가진 뜻이다. 이 초간정의 주인이 예천 권씨 초간 권문해 선생이다. 선생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지었다.

그 저술이 이 초간정에서 이루어졌으니, 해거름 낚싯대를 드리우고 낚은 것은 단군 이래로 그가 글감으로 삼은 우리의 역사, 인물, 문학과 예술로부터 나무이름, 풀이름에 동물이름까지 사사건건한 모든 것이다. 종택 장서각인 백승각에 초간 선생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部群玉)』의 판목이 보존되어 있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da 인트라뱅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