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역사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비빔밥
  • 비빔밥

    식품코드 102173
    분류 주식 > 밥류 > 비빔밥
    발행기관 한국식품연구원
    학술지명 한맛한얼
    권호 5(2)
    시작페이지 82
    종료페이지 131

h2mark 문헌(논문)명

비빔밥, 우주를 품은 한 그릇

h2mark 저자

한국식품문화연구원

h2mark 내용

비빔밥에 대해서 현재 언론이나 학술지 등에 게재되거나 발표된 기사나 논문도 정확한 근거 없이 1800년대 말에 등장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빔밥의 역사는 문헌적으로 확인된 것만 해도 1300년대 초반에도 이미 존재하였다
이러한 비빔밥의 어원과 역사에 대한 왜곡 문제는 권1) 에 의해서 최초로 제기되었다
권은 『훈몽자회(訓蒙字會)2), 1527』와 100여 종의 고문서 기록을 분석하여 비빔밥의 어원은 한글 현대 발음으로 비빔밥, 한글고어로 부 밥 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한자어로는 골동(骨董, 汨童)으로 사용했으며, 한글이 없던 시기에 편의상 표기한 것이라고 하였다
비빔밥은 그 종류만큼이나 유래에 대한 설이 분분하다
궁중음식설, 음복설, 묵은 음식 처리설, 동학혁명설, 농번기 음식설, 임근몽진 음식설 등 다양한 설들이 전해진다
이 중 대표적인 설이 음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예로부터 산신제나 동제, 시제 등은 집에서 떨어진 곳에서 지내는 것이 상례였다
그리고 제가 끝나고 나면 반드시 음복(飮福)이라는 절차를 거쳤다
참석한 이들 전원이 빠짐없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이다
음복은 돌아가신 조상께 올린 음식을 살아있는 후손이 먹는 것으로 신인공식(神人共食)의 대표적인 예가 된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참석한 이들 전원이 빠짐없이 음복을 해야 하는데 밥과 찬에 맞는 그릇을 일일이 갖추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그저 사람마다 그릇을 하나씩 주고 거기에 메, 나물, 적 등의 제찬을 함께 담아주니 먹을 때는 자연히 섞어서 비벼 먹을 수밖에 없었기에 비빔밥이 탄생하게 되었다는 것이 음복설이다
그러니 제사 후 먹는 비빔밥의 풍습은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h2mark 년도

2012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9
동의보감 195
한방백과
학술정보 10
건강정보
고조리서 8
지역정보 9
문화정보 6
역사정보 16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