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역사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비빔밥
  • 비빔밥

    식품코드 102173
    분류 주식 > 밥류 > 비빔밥
    발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식생활문화 전공(석사)
    학술지명 숙명여자대학교 전통식생활문화 전공(석사)
    권호
    시작페이지 1
    종료페이지 111

h2mark 문헌(논문)명

비빔밥 섭취 현황 및 기호도 조사

h2mark 저자

이승민

h2mark 내용

비빔밥은 밥에 쇠고기 볶음,육회,튀각,여러 가지 나물을 섞어 참기름을 넣어 비비면서 먹도록 하는 우리나라 일품요리의 하나이다(윤서석,1986)
비빔밥이 처음 나오는 문헌은 1800년대 말의 『시의전서(是議全書)』이
이 책에서는 부뷤밥(汨董飯)이라 하여 밥에 나물과 볶은 고기,전유어,튀각 등을 넣고 소금과 기름을 넣어 비벼서 그릇에 담고 웃기로 알지단과 고기 완자를 얹었으며, 쇠고기와 내장을 끓인 잡탕국을 곁들었다고 한다(한복려,1999).비빔밥의 뿌리로서 옛 문헌에 나오는 골동반을 추정해 볼 수 있으나 《자학집요(字學集要)》에 골동반 짓는 법이 적힌 것을 보면 어육 등 여러 가지 것을 미리 쌀 속에 넣어서 찐 했으니,결과적으로는 비빔밥이 될지는 몰라도 절차는 여느 비빔밥과는 전혀 다르다
1800년대의 저술로 보이는 《시의전서(是議全書)》에 전통 음식의 조리법 가운데 부뷤밥이 나오는데, 그 한문 표기가 골동반으로 되어 있다
지금의 비빔밥과 골동반은 그 만드는 절차로 미루어 아주 일치되는 방법은 아닌 듯 싶다
비빔밥의 다른 세시풍속으로 입춘날 전통적인 시식(侍食)인 오신채(五辛菜)를 생각 해 볼 수도 있다
입춘날 우리 선조들은 눈이 녹으면서 갓 돋아나는 신감채(辛甘菜),달래,쑥,파나 무우의 새 순을 잘라 나물로 무쳐 먹는 세시(歲時)민속이 있는데 입춘 비빔밥이 바로 오신채 비빔밥인 것이다
3월 시식인 탕평채(蕩平菜)를 비빔밥의 뿌리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빨간살코기,파란 미나리,검은 김,노란 녹두묵 등 4색(四色)의 음식을 섞어 초장에 찍어 먹거나 밥에 비벼 먹기도 했던 것이다(이규태,1991)
또 비빔밥은 사람과 조상신과의 공식의 제사 절차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제상에 올렸던 음식을 제사가 끝난 음 자손들이 모여 나물,적 등을 함께 섞어 비벼먹는데서 온 것이다(이효지,1999).이와 같이, 비빔밥이 어디서 유래 되었느냐에 대해서는 궁중음식설,묵은음식처리설,음복설,농번기 음식설,임금 몽진 음식설,동학 혁명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정확하게 단정 짓기는 어렵다(홍도애,1999).

h2mark 년도

2005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9
동의보감 195
한방백과
학술정보 10
건강정보
고조리서 8
지역정보 9
문화정보 6
역사정보 16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