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역사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백화주
  • 백화주

    식품코드 101967
    분류 주류 > 양조곡주 > 혼양곡주류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학위논문
    권호
    시작페이지
    종료페이지

h2mark 문헌(논문)명

전통주 복원의 사회문화적 의미

h2mark 저자

박진영

h2mark 내용

백화주는 쉽게 말해서 백 가지의 꽃을 말려서 만드는 술이다.여기서 백이란 숫자는 100의 의미보다는 많음(多)의 의미를 담고 있다.따라서 백화주에는 정확히 100가지의 꽃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100보다 약간 적을 수도 많을 수도 있다
보통은 100가지 이상의 꽃이 들어간다고 한다.백화주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 년 내내 꽃을 따서 말려두어야 한다.꽃은 산수유가 나오는 초봄부터 상강(霜降) 이후까지 따는 몸에 좋은 꽃부터 철쭉과 같은 독화(毒化)까지 다양하게 들어간다
이 꽃은 한 번 따면 길게는 3년까지는 술을 담을 수 있다고 한다.술은 상강 이후, 꽃을 모두 딴 후에 만든다
백화주는 3차 겹술28)로 만들어진다.먼저,찹쌀과 누룩을 섞어 밑술을 만든다
여기에 찹쌀로 지에밥을 만들어 누룩과 섞어 만든 1차 겹술을 넣는다.1차 겹술을 담그고 20일 동안 발효시키고 나서,용수를 박아서 술을 다른 항아리로 떠낸다.그러고 나서 2차 겹술을 한다.1차 겹술에 찹쌀 지에밥과 누룩을 넣어 2차 겹술을 만든다.2차 겹술을 20일 동안 발효시키고 나서, 또다시 3차 겹술을 한다
2차 때처럼 찹쌀 지에밥과 누룩을 비벼서 넣으면 되는데,이 또한 20일을 발효시킨다
발효시킨 후, 3차 겹술이 완성되면 여기에 꽃을 담으면 된다

h2mark 년도

2009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9
동의보감 246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2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