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역사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밀밥
  • 밀밥

    식품코드 101788
    분류 주식 > 밥류 > 기타
    발행기관 한국고전번역원
    학술지명 한국고전종합DB
    권호 목민심서 봉공(奉公) 6조
    시작페이지 제5조 공납(貢納)
    종료페이지 공물(貢物)이나 토산물(土物)은 상사(上司)에서 배정하는 것이다. 전에 있던 것은 성심껏 이행하고 새로 요구하는 것을 막아야 폐단이 없게 될 것이다.

h2mark 문헌(논문)명

목민심서(牧民心書)

h2mark 저자

정약용(丁若鏞)

h2mark 내용

...하였다
- 방언으로 약(藥)이란 꿀〔蜜〕이다
그러므로 밀밥〔蜜飯〕을 약밥〔藥飯〕이라 하고, 밀주(蜜酒)를 약주(藥酒)라 하며, 밀과〔蜜果〕를 약과(藥果)라 한다
- 유정원(柳正源)이 자인 현감(慈仁縣監)이 되었는데 순찰사가 갈려…

h2mark 년도

198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16
한방백과 2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1
문화정보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