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역사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말린청어
  • 말린청어

    식품코드 101458
    분류 부식 > 장아찌류 > 기타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학술지명 부경대학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석사)
    권호
    시작페이지 1
    종료페이지 91

h2mark 문헌(논문)명

과메기 제조, 가공, 판매 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h2mark 저자

심현철

h2mark 내용

과메기는 겨울철에 냉동상태의 꽁치를 내다 걸어 3~10일 동안 얼고 녹기를 반복하여 말린 것으로 주로 경상북도 지방에서 먹던 음식이다
과메기는 청어의 눈이 나란하도록 놓은 후 꿰어 말린다는 의미의 관목( 貫目) 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목(目) 이 포항 방언으로 메기라고 하여 메기가 되었고, 후에 이것이 과메기가 된 것이다
과거에는 청어를 많이 사용했으나 근래에는 많이 잡히지 않고 비싼 데다, 건조기간이 오래 걸려 지금은 꽁치로 만든다
주로 경상북도 포항, 울진, 영덕 등에서 많이 생산되는데, 포항의 구룡포가 유명하다
동해에는 예로부터 청어 잡이가 활발해 겨우내 잡힌 청어를 냉훈법이란 독특한 방법으로 얼렸다 녹였다 하면서 건조시킨 것이 과메기이며, 청어과메기의 건조장은 농가부엌의 살창이라는 것이었다
농촌에서는 밥을 지을 때 솔가지를 많이 때는데 이 살창은 솔가지를 땔 때 빠져 나가게 하는 역할을 했다
이 살창에 청어를 걸어두면 적당한 외풍으로 자연스럽게 얼었다 녹았다 하는 과정이 반복되고 살창으로 들어오는 송엽 향까지 첨향되었다고 하며 이렇게 완성된 청어과메기는 궁까지 진상되었다고 한다
지금의 꽁치를 그냥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걸어두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과는 달리 냉훈법에는 조상의 슬기와 지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과메기의 문헌상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경상도읍지(1832년), 영남읍지(1871년) 영일만의 토속식품 중 조선시대 진상품으로 선정된 관련 식품은 영일과 장기 등 두 곳에서만 생산된 천연가공의 관목청어뿐이다
동국여지승람 영일현 편 매년 겨울이면 청어가 맨 먼저 주진( 注津 지금의 영일만 하구)에서 잡힌다고 하는데 먼 이를 나라에 진헌한 다음에야 모든 읍에서 고기잡이를 시작했다
잡히는 것이 많고 적음으로 그해의 풍흉을 짐작했다
이규경(李圭景
1788-) 의 오주연문장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청어는 연기에 그을려 부패를 방지하는데 이를 연관목(煙貫目)이라 한다
음식디미방( 1670년경) 말린 고기를 오래 두려면 연기를 띄어 말리면 고기에 벌레가 안 난다
규합총서(閨閤叢書
1815년) 비웃 말린 것을 세상에서 흔히들 관목이라 하니 잘못 부름이요
정작 관목은 비웃(청어)을 들어 보아 두 이 서로 통하여 말갛게 마주 비치는 것을 말려 쓰며 그 맛이 기이하다
소천소지(笑天笑地) 동해안 지방의 한 선비가 겨울에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기 위해 해안가를 걸어가다가 민가는 보이지 않고 배는 고파오고 있었는데, 해변 가를 낀 언덕 위의 나무에 고기의 눈이 나뭇가지에 끼인 채로 죽어 있는 것을 보고 찢어 먹었는데 너무나 맛이 좋았었다
과거를 보고 내려온 그 선비는 집에서 겨울마다 생선 청어나 꽁치를 그 방법대로 말려 먹었다.

h2mark 년도

2013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2
한방백과 2
학술정보 19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16
문화정보 3
역사정보 12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