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사과화채
  • 사과화채

    식품코드 102208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화채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주재료 : 사과, 오미자 우려낸 물, 잣, 설탕이나 꿀

h2mark 조리법

① 사과의 껍질을 벗겨 꽃 모양으로 자른 후 설탕이나 꿀로 재워 놓는다.
② 오미자를 우려낸 물과 재워 놓은 사과를 그릇에 넣는다.
③ 설탕이나 꿀을 이용하여 기호에 따라 맛을 조절한다.
④ 잣을 추가하여 완성한다.

h2mark 건강기능

사과를 구성하는 식품 가치 및 효능은 사과의 가식부 100g당 51㎉의 칼로리에 단백질 0.7g, 지질 0.4g, 칼슘 7㎎, 철 1.0㎎, 비타민A 7, 비타민B1 0.02㎎, 비타민B2 0.03㎎, 나이아신 1.1㎎, 비타민C 5㎎을 함유하고 있다.
사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비타민 C와 무기염류의 함량은 다른 식품에 비하여 특히 많다.
사과는 칼리, 칼슘, 나트륨 등 무기물 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이며 식물 섬유소도 많다.
알칼리 성분은 펙틴 성분과 결합하여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을 체외로 빨리 내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짠 음식으로 올 수 있는 병, 즉 고혈압 등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크다.
사과의 pectin은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혈압을 낮추고 동맥 내벽 조직에 지방 집적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섬유질이 풍부하므로 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혈압을 내리게 하는 칼륨이 함유되어 있어 사과를 많이 먹는 사람은 고혈압 증세가 거의 없다고 한다.
사과는 허약한 위장, 구토, 변비, 설사 방지에 효과가 있고 불면증, 빈혈, 두통에 유효하다는 사실은 예로부터 알려졌다.
사과에 많이 있는 비타민 C는 피부 미용에 좋을 뿐 아니라, 암 예방, 감기 바이러스 퇴치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식재료 규격가이드 p59

h2mark 식품특성

사과화채는 사과를 꽃 모양으로 만든 후 설탕에 재웠다가 오미자국에 넣은 뒤 잣을 띄워 내는 화채를 말한다.
한국전통식품포탈(전통음식>사과화채) 사과 화채의 주 재료의 사과의 품질특성으로는 사과의 경도(硬度)는 저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4~10월까지의 생육기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이 낮을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부(負)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과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과일특성은 착색으로 사과는 anthocyanin 색소가 적색발현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평균기온이 낮을수록 anthocyanin 함량이 증가하는 관계에 있다.
착색도는 Hunter L(明度), a(赤色度), b(黃色度) 값으로 나타내는데 Hunter a값은 적색도(赤色度)를 나타낸 것으로 생육기 전반에 걸쳐 기온이 낮을수록 일교차가 클수록 적색도(赤色度)가 증가하는 관계에 있다.
영주사과 지리적표시 P10

h2mark 어원유래

화채는 과일과 꽃을 여러 형태로 썰어서 꿀이나 설탕으로 졸이거나 재워서, 마실 때 오미자 국물이나 꿀물에 섞어 마시는 음료로써, 사과화채는 문헌상으로는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고려시대부터 사과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사과 재배가 활성화된 것은 18세기 초부터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사과화채를 쉽게 볼 수 없고, 궁중에서나 볼 수 있는 음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h2mark 역사배경

사과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학명은 Malus pumila var.
dulcissima이다.
사과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 사람들에 의하여 애용되었고 재배종은 유럽 전역에 전해져서, 유럽에서 개량된 사과나무는 17세기에 미국에 전파되어 더욱 개량되어 사과나무재배는 미국의 주요산업으로 발전되었다.
동양에서는 중국에서 1세기경에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그 당시의 능금(林擒) 이라 불러 한국과 일본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사과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 기록은 고려 의종 (1083-1105) 때 계림유사 (1103) 에서 임금으로 기술한 데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임금이 지금 능금의 어원이다.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山林經濟)』에는 내금(奈橋)으로 표기되어 있고 재배 기술이 서술된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재배가 성행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현재 사과종인 M.
domestica에 대해서는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 (1622-1658)01 중국에서 가져왔다는 기록을 『남강만록(南岡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사과나무를 한국에서 최초로 심었던 사실이 기록으로 남은 것은 1884년부터이고 그 후 1901년 윤병수가 오국 선교사를 통해 국광, 홍옥 등의 사과나무 묘목을 얻어 원산 부근에 과수원을 조성하여 좋은 성과를 얻은 것이 경제적 사과나무재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1906년에는 서울 뚝섬에 12ha 규모의 원예 모범 장을 개설하고 각종 개량 과수묘목을 들여올 때 사과나무를 많이 심어 사과 재배의 국가적 기초를 확립하였고, 우리나라 기후, 풍토에 사과 재배가 매우 유망하다는 것이 일반에게 인식되면서 사과 재배가 급속도로 확대되어 낙엽과수 중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안동사과의 지리적 특성 및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 P11

h2mark 참고문헌

최정희 외 6명, 안동사과의 지리적 특성 및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2007 한국전통식품포탈, 전통음식, 사과화채 한국식품연구원, 식재료 규격가이드, 2010 4) 영주사과 지리적표시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1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