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산수유차
  • 산수유차

    식품코드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다류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가. 시판 산수유차의 성분 및 함량(%) : 산수유농축액(고형분 40%) 20%, 모과농축액(고형분 20%) 3%, 정제포도당·올리고당 77% 다(茶)류공장 운영지침서 P51 나. 주재료: 산수유꽃(봉오리), 소금물, 물 사계절의 향기 머금은 꽃 약차 P93

h2mark 조리법

가.
산수유차를 끓이는 방법은 먼저 산수유 큰 차 스푼으로 3개에 물 큰 컵으로 3개 정도를 붓고 약한 불로 1시간 정도 달이면 색의 산수유차가 되는데 3~6인분 정도 된다.
그냥 마셔도 좋으나 구미에 따라 설탕을 약간 가미하면 더욱 좋다.
또 다른 방법은 가까운 한약방에서 대추, 곶감, 계피, 감초, 오미자, 구기자, 인삼 등을 구하여 적당량을 오래 달여서 사용하면 보혈강장제로 그만이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52 나.
조리과정 ① 산수유 꽃을 봉오리째 따서 깨끗이 손질한다.
② 손질한 꽃을 소금물에 씻어서 그늘에서 잘 말린다.
③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④ 말린 꽃 2~3송이를 찻잔에 담고 끓는 물을 부처 우려내어 마신다.
사계절의 향기 머금은 꽃 약차 P93

h2mark 건강기능

산수유의 추출물에는 유르소린산(ursolic acid), 주석산, 사과산 외에 4개의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유르소린산은 항당뇨병 활성이 있으며, 음수량 및 노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지용성 물질이다.
또한 4개의 글루코사이드(glucoside)는 몰로닌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스웨로사이드(sweroside) 및 메틸몰로닌사이드(methylmorroniside)이다.
이러한 유효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산수유는 예부터 수렴성 강장약으로 다뇨증 치료, 요통, 이명, 폐결핵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과실은 자양, 강장, 음위, 이조에 약효가 있다고 한다.
또한 구기자와 산수유의 혼합차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되는 간장손상을 억제한다고 한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3 산수유는 약간 따뜻한 성질에 신맛을 갖고 있으며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몸을 단단하게 한다.
신맛은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주고 방광의 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어린이들의 야뇨증을 다스리며 노인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요실금 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간과 신장이 허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침침하고 아른거리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소변이 자주 마려울 때, 식은 땀, 구토, 소화불량, 사지의 무력감이 있을 때 복용하면 좋다.
산수유를 장기간 먹을 경우 신장 기능을 강화시켜 몸이 가벼워진다.
뿐만 아니라 과다한 정력 소모로 인한 무기력증으로 조루·발기부전이 나타날 때에도 효능이 있다.
식은땀을 흘리거나 손발이 찰 때 등 각종 성인병에 면역 기능을 강화시켜 큰 효과를 보며 성인 남녀의 허리, 무릎통증 및 시린데에 효능이 높다.
희망의 봄 손짓하는 노오란 꽃들의 물결

h2mark 식품특성

산수유의 규격은 외피가 적색이며 윤기가 있고 내과피가 없어야 한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48 국내에서는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국내산이 세계 제일의 품질로 손꼽힌다.
국내산 중 전라남도 구례 산동산 산수유가 최고급품으로 유명한데 그 이유는 자연적 환경, 토질과 기후가 적합하여 육질이 두텁고 시며 떫은맛이 두드러지며 효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3 산수유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분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74.52%와 30.13%, 조회분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1.53%와 1.82%, 조단백질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1.36%와 3.34%, 조지방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1.24%와 6.12%, 조섬유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3.54%와 38.62%이었으며,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은 과육과 씨에서 13.98%, 10.30%를 나타내었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당의 분석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와 프룩토오스(fructose), 수크로오스(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함유량은 각각 4.18%와 3.35%, 4.84%와 3.28%, 1.395와 1.62%를 보였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기산의 분석 결과 시트르산(citr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말산(malic acid)이 검출되었으며, 과육의 경우에는 말산(malic acid)이 1,463.03㎎%로 가장 많았으며, 시트르산, 석신산, 타르타르산 순이었으며, 씨의 경우에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석신산, 타르타르산 함량 순이었다.
이는 매실보다 낮은 유기산 함량을 보였으며, 말산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구성아미노산 함량 분석결과 아스파르트산 외 17조이 검출되었으며, 과육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230.41㎎%였다.
그중에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24.44㎎%로 총 구성아미노산의 54.0%를 차지하였다.
과육에서 글리신(glycine)이 32.24㎎%로 가장 높았고, 류신(leucine) 28.47㎎%, 히스티딘(Histidine) 23.30㎎%, 라이신(lysine) 19.56㎎%의 함량 순이었다.
씨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883.81㎎%이었으며 그중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375.53㎎%로 총 구성아미노산의 42.49%를 차지하였다.
씨에서는 아르기닌(arginine) 114.37㎎%, 글리신 97.66㎎%, 프롤린(Proline) 67.70㎎%,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66.62㎎%의 함량 순이었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미량이었으며, 과육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1.99㎎%이며 그중 필수아미노산은 0.96㎎%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48.24%를 차지하였다.
과육에는 아르기닌이 0.52㎎%로 가장 높았고, 라이신 0.34㎎%, 히스티딘 0.33㎎%, 아스파르트산 0.21㎎%의 함량 순이었다.
씨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2.51㎎%이며, 그중 필수아미노산은 1.226㎎%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48.61%를 차지하였다.
씨는 아르기닌이 0.60㎎%로 가장 많았고 히스티딘 0.58㎎%, 라이신 0.43㎎%, 세린(serine) 0.35㎎%의 함량 순이었다.
산슈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무기성분 함량 분석 결과 9가지 무기성분이 검출되었다.
과육은 칼륨(K)의 함량이 423.6㎎%이고 씨는 칼슘(Ca)의 함량이 334.6㎎%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과육에서 마그네슘(Mg), 칼슘, 나트륨(Na), 인(P), 철분(Fe), 아연(Zn), 구리(Cu), 망간(Mn) 순으로 검출되었다.
칼륨의 경우 과육에서 씨보다 많은 함량을 보였고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전체적으로 씨에 많이 나타났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지방산의 함량은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이 산수유 과육과 씨에 각각 15.08㎎%, 65.44㎎%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산수유 과육에서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 12.62㎎%, 올레인산(oleic acid) 7.88㎎% 순으로 많았고, 산수유 씨에서는 올레인산 21.262㎎%, 팔미트산(palmitic acid) 4.82㎎% 순이었다.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P786-788

h2mark 어원유래

산수유(山茶奭, Comi Fructus)는 사조화료(四照花料)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산수유 열매는 길이가 1.5㎝ 내외인 장추원형의 모양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육질을 건조시킨 후 사용한다.
산수유의 생김새가 촉나라 대추 같고 신맛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촉산초라고도 불린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3 산수유는 지리적으로 중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식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0년 광릉 지역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우리 자생종임이 밝혀졌다.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P785 산수유차는 조선시대 이후부터 약용소재나 과일 등을 이용해 만든 대용차 가운데 하나이다.

h2mark 역사배경

산수유는 약 1천 년 전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사는 처녀가 구례군 산동면(山東面)으로 시집올 때 처음 가져다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우리나라 최초 산수유 시목이라 여겨지는 나무가 산동면에 지정·보호되고 있다.
처음 생산된 시점은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산림경제, 동국여지승람, 승정원일기,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특산품으로 재배되고, 약재로 처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 동아일보에 구례에 산수유조합이 창립되고 1939년 구례지역 특산품으로 산수유가 경쟁 입찰에 부쳐진 기록, 구례지역 산수유 출하량이 1만5천여 근에 달했다는 기록 등이 있다.
옛날 구례 산동면 처녀들은 입에 산수유열매를 넣고 앞니로 씨와 과육을 분리했는데, 어릴 때부터 나이 들어서까지 이 작업을 반복해서인지 앞니가 많이 닳아 다른 지역에서도 쉽게 알아보았다고 한다.
몸에 좋은 산수유 씨를 입으로 분리해온 산동처녀와 입 맞추는 것은 보약을 먹는 것보다 이롭다고 알려져 남원, 순천 등지에서 며느리로 들이려는 경쟁이 치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 구례의 젊은 사람들은 사랑을 맹세하기 위해 산수유 꽃과 열매를 연인에게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희망의 봄 손짓하는 노오란 꽃들의 물결 국내 산수유 생산량의 대부분은 한방의 재료로 소비되고 있어 가격도 작물의 흉풍에 따라 상당히 진폭이 크게 등락하고 있다.
최근 생산량 추이를 볼 때 향후 점차적으로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나 그 이용도는 오직 한방에 국한되어 있어 과잉생산 시 소비처의 가격하락 등의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또한, 구례지방은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리산 국립공원 언저리에 위치하면서도 지방특산품인 산수유를 1차 가공품으로만 생산, 포장하여 판매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쉽게 우려마시기가 힘들게 되어 있으며, 맛도 신맛이 강하고 기호성이 떨어져 대량 소비를 유도하기에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부가가치도 떨어진다.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 P4

h2mark 참고문헌

1) 오상룡, 산수유 기호식품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한국식품연구원, 1991 2) 한국식품연구원, 다(茶)류공장 운영지침서, 2000 3) 김용두 외 2명,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 32권 6호, 2003 4) 김영아, 사계절의 향기 머금은 꽃 약차, 푸른행복, 2008 5) 컬처인, 희망의 봄 손짓하는 노오란 꽃들의 물결, 무등일보, 2012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동의보감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