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수문탕
  • 수문탕

    식품코드 102833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음료류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가. 주재료 : 생강, 대추, 감초, 목향, 진피, 정향, 볶은 소금, 물

h2mark 조리법

① 생강, 대추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② 마른 감초, 목향, 진피, 정향을 준비한다.
③ 냄비에 물을 붓고 준비한 생강, 대추, 감초, 목향, 진피, 정향, 볶은 소금을 넣고 끓인다.
④ 충분히 우러나오면 건더기를 고운체에 걸러낸다.
⑤ 그릇에 완성된 수문탕을 담아낸다.
http://koreanfood.rda.go.kr/tf_srch/tf_detail.aspxTFCode=TF10002563

h2mark 건강기능

생강은 여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신진대사를 활발하게하여 먹으면 땀이 나고 가래를 삭이는 작용과 더불어 혈액순환과 체온을 조절하여 해열이나 감기, 풍한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얼굴이 붓고 푸석한 것을 빼주며,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위장의 운동을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 식욕을 좋게 하며 단백질 분해효소와 향미성분이 들어 있어 소화흡수를 도와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멀미를 진정시키는 데 흔히 사용하는 멀미약보다 생강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강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수출 가공식품 개발 P21 대추는 고려 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불면증이나 이뇨작용, 강장 작용, 기침, 빈혈, 정신 안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약용으로도 이용되어 인스턴트식품 섭취가 많은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대추는 당질과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약용성분으로는 과실 중 각종 스테롤(sterols), 알칼로이드(alkaloids), 사포닌(saponins), 비타민(vitamins), 유기산류, 아미노(amino)산류 등이 보고되고 종자의 성분으로는 주로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유와 사포닌(saponin), 에블린(eblin), lacton등이 잎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알칼로이드(alkaloids), 비타민(vitamine) C, 루틴(rutin)등이, 가시수피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s)가 뿌리에도 사포닌(saponin)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성숙과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P87 감초의 가장 주요한 활성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saponin)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으로 감초 뿌리에 3~5% 정도 함유되어 있고, 항알레르기성, 항산화성, 항 궤양성, 항바이러스성 및 항암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감미가 높고 기포력, 유화력과 풍미를 개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공업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P67 감초를 Et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 하였다.
이 중 CHCl3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ODS 그리고 Sephadex LH-20 c.c.를 반복 수행하여 4종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 (NMR), electron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I/MS) 및 infrared spectroscopy (IR) 등의 spectrum data를 해석하여 결정하였다.
화합물 1과 2는 flavanone 골격에 isoprenyl기가 결합된 glabrol (1)과 abyssinone II (2)로 구조동정 하였고, 화합물 3은 isoflavane 골격에 isoprenyl기가 결합된 glabrol (3)로 구조동정 하였으며, 화합물 4는 chalcone 골격의 flavonoid인 isoliquiritigenin (4)으로 구조동정 하였다.
감초에서 분리한 4종 flavonoid 화합물의 7종 인체암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각 화합물을 24시간 동안 암세포주에 처리하여 MTT assay로 확인한 결과 약 25μM 농도에서 glabridin은 7종의 암세포주에서, glabrol은 난소암세포주(SK-OV-3)를 제외한 6종의 암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율이 50% 이하로 감소하였다.
AbyssinoneⅡ는 약 50μM 농도에서 피부암세포주(SK-MEL-5)를 제외 한 6종의 암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율이 50% 이하로 감소하였다.
또한, isoliquiritigenin은 간암세포주(HepG2)를 제외한 6종의 암세포주에서 50μM 농도 이상에서 세포 생존율이 50% 이하로 감소하였다.
flavanone, chalcone 혹은 isoprenyl기가 결합된 골격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경우 다양한 인체 암 세포주에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는데 IC50 값이 약 15 μM으로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이번에 분리한 4종의 flavonoid도 다양한 인체암 세포주의 생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으나, glabrol (1)이 HCT-116, SK-BR-3 및 SK-MEL-5에 세포독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이번에 처음 확인되었다.
화합물 1의 경우는 HCT-116, SK-BR-3 및 SK-MEL-5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50 값은 25μM보다도 다소 낮았으며, SK-BR-3의 경우에는 IC50 값이 20μM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Glabrol (1)과 abyssinone II (2)는 동일한 isoflavone 계열의 화합물이고 결합한 수산기의 개수와 결합위치도 같지만, glabrol (1)은 isoprenyl기의 결합위치가 C-3과 C-8인 반면 abyssinone II (2)는 C-3에만 결합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Glabridin (3) 역시 C-8 위치에 isoprenyl기가 결합하고 있는데 세포독성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flavonoid 골격에서 C-8에 결합하는 isoprenyl기가 세포독성의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P70 정향은 정유 성분으로 유제놀(eugenol) (88.6%), eugenyl acetate (5.6%),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 (1.4%)와 2-heptanone (0.9%)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 올레아놀릭산(eugenol salicylate), 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 chavic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로 람네틴(rhamnetin), keampferol, 트리테르펜으로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성분과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higenamine을 함유하고 있다.
최근 논문에서 정향은 항당뇨병, 항산화 활성에 기인한 항염증, 혈관확장 효과, 마취 효과, 항균 및 항진균, 진드기 구제제 등의 다양한 약리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향 추출물의 항산화.
항혈소판 응집효과 및 혈전 용해능 탐색 P472 목향의 주요 유효성분은 sesquiterpenes, polyene alcohols, triterpenes, lignans, 알칼로이드(alkaloids)와 탄닌산(tannins)으로서, costunolide는 sesquiterpene lactone의 일종으로 세포독성을 유발시키는 반면에 항암효과와 항염증효과, chemopreventive effec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상사람림프구와 HL-60 cell에서 목향의 세포독성과 백혈병세포 분화효과에 관한 연구 P31 진피의 함유된 식물성분으로는 synephri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limonoids,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등의 다양한 화합물들이 알려져 있다.
진피의 주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은 나린진(naringine), 헤스페리딘(hesperidin) 이다.
나린진(naringin)은 주로 주스의 쓴맛을 내며, 항 세균작용, 암세포 증식 억제 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독성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 작용이 알려져 있고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동물실험결과 콜레스테롤을 강하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진피첨가량을 달리한 진피주의 발효특성 P178

h2mark 식품특성

탕은 꽃이나 과일 말린 것 등 여러 가지 향약재를 끓여 마시는 것과 향약재를 가루 내어 끓이거나 오랫동안 조려서 고(膏)를 만들어 저장해 두고 타서 마시는 음료를 말한다.
고품격 한과와 음청류 생강은 다년생 열대 허브작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은 세계적으로 약 85속 1,200여 종에 이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옛날부터 생강은 건위, 발한, 복통, 설사, 해열제 등의 한약재와 조미료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의 식욕 증진과 소화촉진 그리고 건강 지향적인 목적으로 한국 고유 차 중 특히 생강차는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독특한 향기와 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P404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는 갈매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 대추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개발종인 월출, 무등, 금성 대추 등은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성숙과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P87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 한약의 재료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약용식물이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P67 정향(丁香, Clove)은 학명이 Eugenia caryophyllata 로서, 도금랑과(Myrt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정향수(Eugenia caryophyllata Thunb.)의 꽃봉오리가 녹색에서 홍색으로 될 때 채취한 것으로 서양에서는 주로 향신료와 방부제로 사용하였으나, 한의학에서는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亂), 분돈기(奔豚氣)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등 주로 약재로 사용되었다.
정향 추출물의 항산화 항혈소판 응집효과 및 혈전 용해능 탐색 P472 목향은 Saussurea lappa Clarke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고 정상사람림프구와 HL-60 cell에서 목향의 세포독성과 백혈병세포 분화효과에 관한 연구 P31, 진피는 감귤의 성숙한 열매 껍질을 건조시킨 것으로 둘 다 한약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진피첨가량을 달리한 진피주의 발효특성 P178

h2mark 어원유래

수문탕은 경상남도 향토음료로 성질이 따뜻한 약재인 생강·대추·감초·정향·목향·볶음 소금을 물과 함께 끓여 마시는 음료이다.

h2mark 역사배경

『산림경제(山林經濟)』 제 2권의 차와 탕(湯)편에 수문탕(問湯)은 동파거사가 노래로 부르기를 생강 반 냥 말려서 쓴다.
대추 1되 씨를 발라내고 말려서 쓴다.
흰 소금 3냥 누런 빛깔이 나도록 볶는다.
감초 2냥 구워서 껍질을 벗긴다.
정향, 목향 각각 반전과 진피 흰 껍질은 없앤다.
조금을 한데 찟어 달여도 좋고 조각으로 반전과 진피 희 껍질은 없앤다.
조금을 한데 찧어 달여 좋고 조각으로 만들어도 좋아 붉고 흰 얼굴이 늙을 때까지 계속되느니라.
하였다.
생강에 대한 첫 기록은 중국 춘추(春秋, 481 BC)에 쓰촨 성(四川省)에 생강의 명산지가 있었다는 내용이 있으며, 생강의 특성에 대해서는 A.D.
40~90년 그리스인 디오스코리데스(Dioscorides)가 의학 잡지 Meteria Media에 처음으로 식품 및 의학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있다.
생강의 저장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P21 생강의 재배지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도, 중국, 태국, 나이지리아, 호주, 일본, 필리핀 등의 아열대 지역이며 이중 인도가 전체 생산량의 ½정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강 생산은 충남 서산 당진지역이 최대 주산지로 전체 생산량의 63%를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은 전북 완주 익산지역이 약 33%로서 이들 지역이 국내 총생산량의 96%를 점유하고 있다.
2006년 국내 생강 총 생산량은 약 4만 3천 톤으로 전체 조미 채소 중 약 2% 정도에 불과하지만, 시장 규모는 4.000억 원 정도로 재배면적과 생산 농가 수에 비하면 매우 수익성이 높은 고소득 작물이다.
생강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수출 가공식품 개발 P21

h2mark 참고문헌

1) 김경탁 외, 생강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수출 가공식품 개발, 한국식품연구원, 2011 2) 이세은 외, 생강의 저장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1994 3) 조만현 외,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 24권 4호, 2011 4) 홍주연 외, 성숙과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19권 1호, 2012 5) 박지해 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제 54권 1호, 2011 6) 양영이 외, 정향 추출물의 항산화, 항혈소판 응집효과 및 혈전 용해능 탐색,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 25권 3호, 2011 7) 이영준 외, 정상사람림프구와 HL-60 cell에서 목향의 세포독성과 백혈병세포 분화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제 26권 2호, 2011 8) 김나영 외, 진피첨가량을 달리한 진피주의 발효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 26권 2호, 2011 9) http://koreanfood.rda.go.kr/tf_srch/tf_detail.aspxTFCode=TF10002563 10) 정재홍 외 8인,고품격 한과와 음청류, 형성출판사, 2003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59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