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인삼차
  • 인삼차

    식품코드 103681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다류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주재료 : 인삼부재료 : 물

h2mark 조리법

인삼농축액 : 인삼농축액은 수삼, 백삼 또는 홍삼으로부터 물 또는 주정을 이용해 가용성 인삼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짙은 홍갈색 점조성 액상 제품이며,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백삼농축액과 홍삼농축액으로 제조된다.
이의 제조 시 원료 인삼은 수삼보다 건삼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① 원료 : 백삼 농축액은 생 건삼이나 백삼, 본삼, 백 미삼, 수삼을 원료로 하되 미삼을 주로 이용하여 가공한다.
홍삼 농축액은 홍삼 제조 시 얻어지는 잡삼이나 미삼을 주로 이용한다.
② 전처리 : 수삼은 세척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백삼 및 홍삼은 조 분쇄한다.
③ 추출, 농축, 여과 : 추출 용매는 물이나 주정을 사용한다.
두 가지 용매로서 분별추출은 일반적으로 4차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1차 추출은 70% 주정으로 80℃ 4~6시간 추출, 2차 추출은 60% 주정으로 80℃ 4~6시간 추출, 3차 추출은 50% 주정으로 80℃ 4~6시간 추출, 4차 추출은 정수로 80℃ 4~6시간 추출한다.
음료는 주정에 냉침을 하는 일도 있다.
인삼추출액을 여과할 때 음료용은 원심분리를 하기도 하나 인삼차를 제조할 때는 보통 1-10㎛ 필터를 사용하며, 추출 여과액은 50~60℃에서 고형분 함량이 60% 이상 되도록 감압 농축한다.
④ 혼합 및 숙성 : 1~4차 농축액 각각을 혼합하여 최종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을 60% 이상, 조사포닌 함량을 백삼농축액은 80㎎/g 이상으로, 홍삼농축액은 70㎎/g 이상으로 균일화한다.
혼합 후 전분질의 침전을 생성시키기 위해 정치, 숙성하여 여과한다.
여과한 제품은 병에 포장한다.
과립, 분말 및 액상 인삼차 : 과립 인삼차, 분말 인삼차 및 액상 인삼차는 인삼 근을 물이나 주정으로 추출 농축한 수용성 인삼성분 즉, 인삼농축액(saponin 함량이 80㎎/g 이상) 10% 이상을 원료로 하여 당류, 꿀, 생약제 추출물 등을 첨가하고, 액상 그대로 또는 분말화, 과립화하여 제조한다.
인삼 엑스의 과립형성은 일반적인 과립 기를 사용하지 않고 오시레이터 (Osilator)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과립제품은 농축액에 포도당 또는 유당을 부형제로 혼합한 후 과립화 및 건조 공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부형제로 혼합한 후 과립화 및 건조 공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부형제 등이 혼합되는 배합공정에서 감초 등의 생약재 추출성분을 첨가하기도 한다.
색상은 액상은 농축액과 유사한 짙은 적갈색, 과립 및 분말제품은 담홍색 또는 담갈색을 띤다.
액상차를 제외한 최종 제품의 수분은 10% 이하이다.
분말인삼차는 인삼농축액을 주원료로 하여 이에 포도당, 유당 등 부형제를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며, 액상인삼차는 가용성 인삼성분에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기, 천궁, 계피, 감초 등의 추출 여과한 가용성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다류공장 운영지침서 P37-40

h2mark 건강기능

인삼은 탄수화물 21.7g, 단백질 4.5g, 지방 0.3g, 나트륨 18.0㎎, 칼륨 324㎎, 칼슘 113.0㎎, 인 97.0㎎, 철 8.3㎎, 비타민 B1 0.05㎎, 비타민 B2 0.14㎎, 나이아신 0.6㎎, 비타민C 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장효과로 정신적, 육체적 또는 각종 생리적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피로를 회복시켜줌으로써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성 기능 부전에 대한 효능으로 성호르몬 결핍으로 나타나는 성 기능 부전을 회복시켜준다.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 효과에 효과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하여 동맥경화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며, 비특이성 생체방어능력 증대작용으로 고혈압을 낮추어준다.
조혈장기 및 빈혈에 대한 효과가 있다.
인삼이 골수의 핵산 및 단백질 합성을 촉진해 빈혈을 치료시켜 준다.
혈당 대사 및 당뇨병에 대한 효과가 있어 인삼을 인슐린이나 식이요법 또는 현행 약물요법과 병행하면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치료에 효과가 있다.
항암효과가 있어 암세포의 증식작용을 억제 또는 저해한다.
간 기능 부전에 대한 효과가 있어 손상된 간장을 재생시켜 간장기능을 부활케 하는 작용이 있다.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어 인삼이 급성 알코올중독에 효과가 있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충남 금산 인삼 P3 고려인삼의 경우 스트레스, 피로, 우울증, 심부전, 고혈압, 동맥경화, 빈혈증, 당뇨병, 궤양 등에 유효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건조를 방지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작용 등 다양한 효과가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인삼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효과는 신체기능의 정상화 즉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체내조절계의 항상성 유지를 들 수 있다.
외부환경의 변화 즉, 저온이나 고온 등의 온도변화 ,수술, 과도란 운동, 구속 등 다양한 요인은 일종의 stressor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Selye의 일반적응 증후군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신체 방어기작에는 체내 내분비계, 면역계 등 생명활동에 중요한 다양한 조절계가 매우 복잡하여 연결되어 관여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도 다양한 스트레스 방어기작 및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발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외부환경 변화 중에서 일반적으로 급격한 온도 변화 즉, 저온 또는 고온에 노출될 때 단시간적으로는 혈관운동, 증발조절, 다양한 장기의 조절기능 및 대사조절 등을 통해 외부 환경에 순응하는 체온조절 메카니즘이 작동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변화가 장기적이고 주기적으로 지속될 때에는 일종의 스트레스로 작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인삼이 이러한 생체조절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러시아의 과학자 Brekhmann은 인삼이 환경적 변화 등 각종 외부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인 신체조건을 비특이적으로 정상화시켜 준다는 아탑토겐 이론(Adaptogen theroy)를 주장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환경에 노출된 실험동물의 경우 사람들이 더위에 노출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식이 섭취량이 줄고, 체중이 감소하며 음수량이 증가하고 활동량이 줄어들게 된다.
일본 연구진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려인삼 성분이 특히 ginsenoside Rgl의 경우 고온장애에 대해 완충적인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구명하여 보고한 바 있다.
오래전부터 인삼과 황기 등이 첨가된 삼계탕이 우리나라의 주요한 여름철 보양식으로 이용된 것도 이와 전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주정 추출물이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실험동물의 생체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면 흰쥐를 추위에 7시간씩 5~10일 정도 주기적으로 노출시켰을 경우 인삼 주정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식염수 투여한 군에 비해 직장 온도가 초기 3시간 동안은 다소 빠른 하강을 나타내지만 이후 더 빠른 회복과정을 나타내었으며 기초대사율 또한 추위에 노출된 초기에는 비슷한 하강속도를 나타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염수 투여군은 계속 하강하고 인삼주정추출물 투여군은 이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는 고려인삼이 일방적으로 신체의 열을 올리기 보다는 주위환경에 따라 체온 항상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나타낸다.
추위에 주기적으로 노출된 마우스의 혈액 성분을 조사한 결과 ,정상적인 마우스에 비해 헤모글로빈, 적혈구 등이 감소하고 백혈구 함량은 다소 증가하며 인삼 주정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혈색소 및 적혈구의 감소는 현저히 억제되고 백혈구는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밖에도 혈액단백질이나 조성의 경우에도 추위에 의한 증감이 인삼주정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정상 수준에 가깝게 조절됨이 보고된 바 있다.
추위에 노출된 실험동물의 장기 중량을 전체 체중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환산하여 살펴보았을 때 간, 비장의 중량 비율은 다소 감소하고 콩팥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인삼 주정추출물의 투여는 이러한 장기중량 비율의 증감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추위 또는 고온환경과 같은 환경적 변화는 신체에 일종의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추위에 노출될 때 간에서 T3 처리와 유사한 생화학적 변화가 유도되어 산화적 스트레스를 용의하게 함으로서 간의 산화적 손상유도와 간 미토콘드리아의 과산화수소 함량 증가를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추위 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정상적인 신체 항상성에 영향을 받게 되어 다양한 질병이 유발됨을 제안하고 이러한 요인의 하나가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변화임을 보고하였다.
그는 추위에 주기적으로 노출된 실험동물 장기중의 항산화 관련 효소 및 물질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간의 경우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등의 활성은 저하되고 catalase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은 증가되는 등의 항산화 시스템의 변화와 지질과산화물 함량 증가를 보고한 바 있다.
고려인삼이 환경변화에 대한 생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온도 변화를 중심으로 P26-29

h2mark 식품특성

인삼차에 대한 정의는 인삼근(4년근 이상)에서 추출, 농축한 가용성 인삼 성분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포도당, 유당 등의 부형제를 혼합한 다음 과립, 건조, 사별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인삼차에 대하여 규정한다.로 정의되어 있다.
한국전통식품포탈(전통음식>인삼차(Ginseng tea)-인삼차(고급)) 고려인삼은 우리 고유의 특산물로 우리나라 외에 중국, 일본, 러시아에서도 자생하고 있으나 한반도에서 생산되는 것이 약효가 탁월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형태는 직근형이고 주근이 잘 발달하여 人자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면서 지근과 세근이 골고루 균형 있게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삼은 직접 식용 또는 가공용으로 이용되나 수분 함량이 72% 내외이므로 장기 저장이 어려워 백삼이나 홍삼과 같이 1차 가공하거나, 농축액, 분말 및 차 등으로 2차 가공하여 이용되고 있다.
인삼차 종류 제조 시 주원료인 인삼은 수삼을 이용하나 백삼, 홍삼, 인삼농축액 등 1, 2차 가공품도 활용한다.
백삼은 4년 근 이상의 수삼을 세척 또는 탈피하여 일광건조 또는 40~50℃의 열풍을 이용해서 수분함량이 12% 이하로 건조한 것이며, 홍삼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서 제조과정 중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이 일어나 짙은 다갈색 색상을 띠며 수분함량은 12.5~13.5% 정도이고 매우 단단하다.
증평인삼 4년근의 크기는 전체길이가 약 29.88㎝ 정도였으며 전체길이 중에서 동체의 길이는 10.68㎝였다.
동체의 지름은 23.70㎝였다.
그러나 무게는 72.10g 정도로 다른 지역의 인삼에 비해 무거운 것을 볼 수 있었다.
증평인삼의 절단면 색상은 타지역 인삼에 비해 밝기(Lightness)가 높고 적색도(redness)가 낮은 것으로 보여졌다.
Lightness가 높으면 인삼의 밝기가 높아지는 것으로서 좀 더 하얀 수삼단면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하얗고 깨끗한 수삼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꾸준한 자료 구축으로 증평인삼의 특성이 부각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증평인삼의 수분함량은 평균 72.34%였고, 회분은 건물기준으로 4.64%였다.
인삼의 유효성분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삼사포닌이다.
증평인삼의 조사포닌 함량과 총사포닌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평균 7.60%였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평균 6.18%으로 나타났다.
증평인삼은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 Rb1, Rc, Rb2, Rb3 Rd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인삼(수삼)은 가식부 100g당 열량이 98㎉이며 주성분인 단백질 4.5g, 지방 0.3g, 탄수화물 69.8g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분은 1.4g으로 되어 있다.
현재 증평에서 재배되고 있는 인삼의 대부분은 재래종(자경종)이며 최근 천풍, 연풍 등 5개 품종이 개발되었으나 종자 생산 공급체계의 어려운으로 신품종의 농가 보급실적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자경종은 줄기 및 엽병이 완전히 자색 또는 부분 혼합색(자색+녹색)을 띠며, 장과는 성숙하면 홍색을 나타낸다.
인삼은 1년만에 열매를 맺는 다른 식물과는 달리 종자를 얻는데 수년이 소요됨으로 신품종의 육성이 매우 더디어 생산 농가에서 직접 신품종을 육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생산농가는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신품종 육성 계획에 발맞춰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것이다.
증평인삼에 대한 지리적 특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용역 사업 최종보고서 P5-7

h2mark 어원유래

「임원십육지」에 사람에게 유익한 재료를 끓여서 마시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고, 인삼이 약초로서 효능이 기록된 것은 동양 최고의 의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A.D.
456~536)』이고, 이시진의 『본초강목(本草綱目 : A.D.
1596 중국 역대 약학서로서 모두 52권)』에 고려삼, 백제삼 등의 구분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인삼이 재배된 것을 알 수 있다.
인삼차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없으나 1922년 3월 13일 동아일보 기사에 인삼차가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인삼의 역사와 함께 차로 애용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2009년 CODEX에 의해 고려인삼 제품 규격이 인정된 인삼제품 지역 규격(아시아) : CODEX STAN 295R-2009에서 인삼 제품이란 인삼제품의 필수 성분은 상업적 목적과 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Panax ginseng C.A Meyer 및 Panax quinquefolius L.종으로서 식용에 적합한 신선한 인삼 뿌리이다로 정의되었다.

h2mark 역사배경

우리나라 전통 음청류의 하나인 차는 약 5000년 전 염제 신동이 100여 가지의 풀을 먹여 보며 그 효능을 시험해 보다가 몸에 독이 배었는데 차나무의 잎을 먹고 해독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백두산 언저리에서만 나는 백산차 나무의 잎으로 만든 백산차는 단군이 즐겨 음용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서에 처음으로 나오는 차로는 난액과 혜서가 있다.
난액과 혜서는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등장하는 차로 그 내용이 정확하지 않으나 난액은 난의 향을 곁들인 차이고 혜서는 난의 향을 곁들여 발효시킨 발효성 차로 추정되고 있다.
송(宋)대의 문헌인 『본초도경(本草圖經)』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박하를 말려 이를 차로 마신다고 하였으며 당(唐)대의 진사량(陳士良)의 『식성본초(食性本草)』에도 신라 박하에 대한 기문(記文)이 있어 삼국시대에 박하 차나 오미자차를 음료로 이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록에 의하면 초기에 이용되었던 차의 재료는 주로 꽃이나 열매 또는 잎 등이었던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AD 6세기) 때 차가 존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 홍덕왕 3년 (AD 828) 대렴이 당나라에서 차 씨앗을 가져와 지리산에 심었다는 기록이 보이는 것을 볼 때 약 1,50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삼국시대에는 일부 상류층에서만 음용하던 차가 고려 시대에 들어와 더욱 번성하여 다례의식과 약용으로 이용되었으나 대부분의 차가 수입에 의존하였고 국산 차의 개량을 꾀하지 못하였으며 주구(誅求)가 심했기 때문에 고려 시대에 성행하던 차의 풍속 역시 일반 민중에게까지 정착된 것은 아니었다.
고려의 귀족들이 차의 풍류를 누릴 때 화덕과 온돌이 일체가 된 고정식 솥에서 서민들이 만들어 낸 토속음료가 바로 숭늉이다.
이후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서민화가 이루어졌으나, 불교의 탄압과 기호성이 낮은 관계로 숭늉이나 막걸리에 밀려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가 점차 커피에 대체되었다.
그러나 소득수준의 증대로 삶의 질이 높아져 다시 건강 지향적 소비패턴의 전환으로 다류의 신장이 오늘날까지 급속하게 신장하고 있다.
다류공장 운영지침서 P3-4 인삼(고려인삼)은 아시아의 극동 지방에서만 자생하는 약용 식물로서 북위 30˚에서 48˚인 한국, 중국, 러시아의 3개 지역에서만 산출되고 있다.
인삼은 원래 심산에 자생하던 식물로서 이를 채굴하여 약용하여 왔으나 이 자연생 인삼은 그 수요가 증가되고 산출이 고갈됨에 따라 인공재배가 시작되었는데, 한국에서는 16세기부터라고 한다.
한국은 전 지역이 품질 좋은 인삼을 재배하는데 적절한 곳이며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와 토양조건이 알맞으며 적절한 강우량과 강설량으로 일찍이 독특하고 전통적인 재배기술에 의하여 재배되었다.
인삼은 우리나라 전 국토에 걸쳐서 산출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울릉도에서 까지 생산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변이 첩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를 이루며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는 증평은 금강 상류의 풍부한 수질과 깨끗한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청정지역이며 특히 인삼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대농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질 좋은 인삼이 많이 생산되기로 유명하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북반구의 극동지역(위도상으로 34˚∼38˚)에 위치하여 온대성 기후에 속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고 겨울철에는 비교적 춥고, 여름철은 무더운 날씨를 나타내고 있다.
인삼의 재배 최적기온은 연간 9℃∼13℃ 이고, 여름에는 20℃∼25℃이다.
강우량 적량은 1,100∼1,300㎜이다.
인삼은 반양반음(半陽半陰)을 좋아하는 음지성(陰地性) 식물로서 직사광선은 좋지 않으며 산란광(散亂光)으로서 옥외광량(屋外光量)의 1/8∼1/13도 정도가 적당하다.
증평군은 우리나라의 내륙인 충청북도의 한가운데 위치한 군으로서, 금강 상류의 풍부한 수질과 깨끗한 환경이 잘 보존 되어 있고, 특히 동아시아의 인삼 분포지역인 동경 85˚∼140˚, 북위 22˚∼48˚의 중심에 위치한 동경 127˚32´, 북위 36˚48´에 있어서 생육조건이 까다로운 인삼 생육의 최적지로 볼 수 있다.
증평군의 지질 분포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지층은 쥐라기(Jurassic)에 형성된 반상화강암이고, 그 다음으로 보강천을 따라 분포한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충적층이다.
토양은 구릉지 및 산록지 주변으로 식양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표토의 토성에 따른 인삼재배의 최적지 비율(미사질식양토, 식양토, 양토 기준)은 금산군 45.5%>증평군 37.8%>풍기읍 29.4%>괴산군 8.0%의 순으로 대표적인 인삼생산지인 타지역과 비교할 때 최적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증평군은 유효토심이 100㎝이상 되는 인삼재배 최적지가 34.8%나 차지하여 강화군(45%) 다음으로 적합한 유효토심의 면적비율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평군 토양의 배수든급은 매우양호가 30.7%, 양호가 40.2%로 인삼재배에 최적지로 여겨지는 양호의 비율이 금산(57.7%) 다음으로 높았다.
증평군은 토양의 경사분포가 매우 고르게 존재하며 인삼재배의 최적으로 알려지 2∼7%의 경사도를 가진 비율이 28.7%로서 다른 주요 인삼재배지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평 지역의 기후특성은 중부내륙형 기후로서 여름에는 고온 다습하고 겨울에는 한냉 건조하며 일일 중에 비교적 큰 기온차를 보인다.
연 평균 기온은 10.4℃이고 강수량은 1,204㎜이다.
증평군의 기후를 보면 인삼 재배의 최적 기후의 범주안에 포함되는 특성이 있어 좋은 품질의 인삼을 생산 할 수 있는 기후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증평인삼에 대한 지리적 특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용역 사업 최종보고서 P8-12

h2mark 참고문헌

1) 김동수,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충남 금산 인삼 2) 한국식품연구원, 다류공장 운영 지침서 3) 한국전통식품포탈(전통음식>인삼차(Ginseng tea)-인삼차(고급)) 4) 노정해 외 6명, 증평인삼에 대한 지리적 특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용역 사업 최종보고서, 한국식품연구원, 2007 5) 홍희도,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이 환경변화에 대한 생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온도 변화를 중심으로, 식품기술 제 18권 3호, 2005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44
한방백과 2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