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쑥차
  • 쑥차

    식품코드
    분류 기호식 > 음청류 > 다류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다류 공장 운영지침서에 수록된 시판 분말 쑥차의 제조회사별 성분 및 함량(%)은 다음과 같다.- A사 제품: 쑥 분말 35, 쌀가루 10, 대두분 10, 전분 4.6, 식염 0.2, 식물성 전지분 15, 정제포도당 25,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Sodium Silicoaluminate) 0.2 (계 100%)- B사 제품: 쑥 분말 30, 쌀가루 5, 알파전분 5, 크림 20, 정제포도당 20, 기타 20 (계 100%)- C사 제품: 쑥 엑스(고형분 50%) 20, 무수결정포도당 80 (계 100%) * 쑥을 착즙 후 분무 건조하여 사용하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D사 제품: 쑥 분말 30, 쑥콘 10, 현미가루 5, 대두분 3, 옥분 5, 식염 0.3, 식물성 전지분 18, 정제포도당 23.5,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 0.2 (계 100%) 다류 공장 운영지침서 P36-37

h2mark 조리법

1) 분말제품 A ① 선별 및 세척 : 이물질을 선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② 자숙 : 끓는 물에 약 1분 정도 침지시켜 자숙한다.
③ 건조 : 자숙한 쑥을 말려서 분쇄하거나, 압축기와 제환기 및 열풍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된 환 모양으로 만든다.
④ 분쇄 : 압축 롤러를 3회 이상 통과시켜 두께가 앓은 압착편 상태로 만들어 이를 다시 커팅 롤러에서 여러 차례 커팅 분쇄한 후 80메쉬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을 선별한다.
⑤ 혼합 : 쑥 분말 35%, 찹쌀 10%, 대두분 10%, 전분 4.6%, 식염 0.2%, 식물성 전지분 15%, 정제포도당 25%,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Sodium Silicoaluminate) 0.2%2) 분말제품 B ① 선별 및 세척: 이물질을 선별 정선하고,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② 파쇄: 생 쑥을 초파로 거칠게 파쇄한다.
③ 착즙: 여과포에 넣고 압착기를 사용하여 더 이상 추출물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압착하여 액과 박을 분리한다.
④ 혼합: 착즙 액에 대하여 4배 정도의 말토텍스트린 등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⑤ 과립: 혼합된 것을 과립기에 넣어 과립화한다.
⑥ 건조: 열풍건조기(60℃ 이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다.※ 변색방지를 위하여 착즙액에 대하여 0.2~0.3%의 탄산나트륨을 첨가할 수 있다.(pH 7.2 조절)3) 티백 제품 ① 선별 및 세척: 줄기 및 이물질을 선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② 건조: 열풍건조기(4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수분 8% 미만)한다.(130℃ 열풍으로 약간 볶기도 함) ③ 분쇄: ball mill을 사용하여 분쇄(입자크기: 10~20m 정도) 너무 마세하게 분쇄하면 입자가 여과지를 통과하여 침출액에 찌꺼기가 남는다.
④ 포장: 1g/1포 ⑤ 음용 방법: 끓는 물 100㎖에 2분 정도 추출한 후 마신다.
다류 공장 운영지침서 P35-36

h2mark 건강기능

수집 선발한 쑥으로 만든 쑥차와 시판차의 항산화력 비교 논문에서 한방 건강식품으로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함량을 시판 차들과 비교 분석되었다.
시판 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 결과, 수집 선발한 쑥(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100㎖로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 AC67이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에서는 재스민 98.1%, 감잎차 96.4%, 녹차 98.5%, 작설차 98.7%로 매우 높은 값이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은 선발 쑥 차가 91.7~ 93.7%이었고, 시판 차에서는 설록차가 92.1%, 루이보스티가 93.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로써 국내 자생 쑥으로 만든 쑥차는 설록차, 재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 차로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수집 선발한 쑥으로 만든 쑥차와 시판차의 항산화력 비교 P215-219 쑥차 제조에 관한 연구에서 생쑥과 쑥차의 향기성분으로 58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주요 성분은 밴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피넨(pinene), 미르센(myrcene), 시네올(cineole), 2-피콜리디논(2-pyrrolidinone), camphor, thujone, 1-acetylpiperidine, caryophyllene, coumarine, farnesol임을 확인하였다.
쑥의 향기 성분으로 대표적인 시네올은 혈액순환 강화 작용이 알려져 있다.
향이 우수한 쑥차의 제조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덖음과 중제법에 의해 쑥차를 제조하여, 묘사적 관능검사(쑥 냄새, 구수한 냄새, 단 냄새, 풋 냄새, 비누냄새)에서 쑥 냄새와 구수한 냄새가 쑥차의 향을 우수하게 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전반적인 맛과 향의 점수에서 덖음 쑥차가 향은 우수하였으나, 약효 성분인 caryophyllene, coumarine, farnesol 함량은 중제 쑥차에서 높았다.
쑥의 채취 시기별(3월, 4월, 5월 하순)로 덖음 쑥차를 제조하여 관능검사와 향기성분을 분석 결과, 4월 쑥차가 향이 가장 우수하였다.
쑥의 독성 성분인 thujone은 4월 생쑥에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나, 비비고 볶는 과정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배건 차수별 향기성분의 변화는 항균 효과가 있는 caryophyllene과 farnesol은 2차 배건에서 함량이 높았다.
thujone 감소와 동시에 2-hexade-cen-1-ol-3,7,15-tetramethyl의 함량이 크게 높아지므로 thujone이 2-he-xadecen-1-ol-3,7,15-tetramethyl로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생 쑥과 쑥차를 열수 추출하여 동결건조 후, 항균력 조사에서 생 쑥(1%)과 쑥차(0.5%) 시료 첨가 배지에서 B.subtilis와 E.aerogenes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고, 향기 성분인 caryophyllene과 farnesol이 B.subtilis에 대해 항균력이 탁월하고, 그 혼합물은 B.subtilis와 E.aerogenes의 생육을 크게 저해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제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쑥차제조 과정중의 향기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1994

h2mark 식품특성

이러한 쑥은 국화과의 다년생 풀이다.
세계적으로는 250여 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약 200여 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약 30여 종이 보고 되어 있다.
신령스러운 봄풀 쑥 P49 참쑥(Artemisia vulgaris)의 페놀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분리 동정되었고, 이러한 flavonoid는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며 비타민 E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이 밝혀졌다.
음건한 참쑥에서 다량의 폴리페놀류와 전자공여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고.
산 쑥으로부터 유리형,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동정하여, 식용콩기름 기질에서 불용성 페놀산이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그 밖에 쑥의 약리적 효과로는 휘발성 향기 성분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 인진쑥에 의한 간 기능 보호 효과, 쑥 추출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약리 효과가 알려졌다.
수집 선발한 쑥으로 만든 쑥차와 시판차의 항산화력 비교 P216 쑥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공극이 비교적 큰 땅으로 모래가 많이 있는 땅에서 잘 자라며, 습지보다는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
약쑥은 식물체 그 자체가 거의 대부분이 광합성산물로 이루어진 식물이고, 그늘진 것보다는 햇볕을 좋아하므로 약쑥의 품질도 광합성 산물의 축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광합성 작용에 필요한 일조가 풍부해야 고품질의 약쑥을 생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풍속이 4~6㎞/hr(1.1m/sec ~ 1.6m/sec) 이하의 바람을 연풍이라 하며 대체로 작물의 생육을 이롭게 하며, 그 이점으로는 증산 및 양분흡수의 조장으로 작물 주위의 습기를 배제하여 증산을 촉진하고, 양분의 흡수도 조장하여 생육을 건실하게 하고, 바람이 있으면 규산 등의 흡수가 많아지고, 작물군락 내의 과습상태가 경감되어 병해가 적어지며, 광합성이 왕성한 한낮에는 작물체 주위의 이산화탄소농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약한 바람은 공기를 동요함으로써 CO2의 확산을 조장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저하를 경감하고 광합성을 조장하며, 바람은 작물의 잎을 동요시켜 군란 내부의 잎의 수광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해풍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염기가 많이 섞여 있는 바닷바람을 충분히 받고 자란 약쑥은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져 향이 좋은 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염풍에 섞여 있는 몸에 좋은 여러 성분들이 쑥에도 듬뿍 배어 있다고 한다.
강화약쑥 지리적표시

h2mark 어원유래

쑥이라는 이름은 어디서나 쑥쑥 자라는 놀라운 생명력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그 약효 때문에 의초(醫草)라고도 한다.
다류공장 운영지침서 P34 그러나 쑥이라고 불리게 된 어원을 살펴보면 그러한 말 풀이가 잘못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몽고에서는 쑥을 수이라고 부르고, 한반도에서는 쑥이라 부르고 있다.
일본 규슈(九州) 지역에서는 후츠 혹은 훗이라고 불리고 있고, 오키나와에서는 후우치라고 불린다.
이러한 음가의 변화를 보면 쑥이라는 말의 어원이 다른 단어들처럼 북방 지역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과 오키나와에 전해졌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쑥의 원산지는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지역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마천이 『사기(史記)』에서 발해의 삼신산에는 늙지 않고 오래 사는 약과 신선이 많다.고 기록하면서, 이 중에 쑥을 포함시키고 있는 점에서도 이 말이 증명됨을 알 수 있다.
신령스러운 봄풀 쑥 P47-48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쑥의 효능을 몸을 덥게 하고,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생리장애를 낫게 하고, 복통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한다.고 설명하였다.
6~8월에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애엽(艾葉)이라 하여, cineol, α-thujone, sesquiterpene, adenine, choline 등을 함유한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과 들에 사철 쑥, 더위지기, 제비 쑥, 넓은 잎 쑥, 뻥 쑥, 쑥, 산 쑥, 맑은대쑥, 물쑥 등 200여 종이 자생하고 있다.
예로부터 쑥은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쑥의 약리작용을 이용한 복통, 토사 등 자궁 출혈, 육혈 등에 지혈제로써 중요한 약재로 이용되었고, 한방에서 쑥뜸 이외에 진통, 지혈, 지사 등의 목적으로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옻이나 풀독, 습진, 가려움증에 달인 물을 찬찜질에 사용하고, 치통, 인후통, 구내염 등에는 달인 액으로 양치질하는 데 사용한다.
특유의 방향과 고미 성분을 이용한 쑥절편, 쑥설기, 쑥경단 등의 떡류와 쑥국, 쑥전 등은 구황 식품으로써 이용되었다.
다류공장 운영지침서 P34

h2mark 역사배경

쑥의 원산지에 한국이 포함되었다 할지라도 우리 민족과 함께한 역사가 너무 오래되어서 그 기원을 헤아리기는 어렵다고 한다.
쑥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단군신화이다.
환웅(桓雄)은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곰과 호랑이에게 신령스러운 풀인 마늘 20통과 쑥(靈艾, 영애) 한 자루를 주어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볕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일렀다.
곰은 이 말을 그대로 지켜서 21일 만에 웅녀(熊女)가 되었으며 나중에 환웅과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 단군이라는 건국 설화가 바로 그것이다.
또 환웅이 신시를 건설하고 세상을 다스릴 때 마늘과 쑥으로 병을 다스렸다고 하는 내용도 있어 옛날부터 귀한 약초로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과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실려 있는 사자족애(獅子足艾, 사자발쑥, 잎의 모양이 사자 발바닥처럼 생겼다 하여 부르게 된 이름)라는 쑥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가 1988년 5월에야 강화도에서 발견되어 강화도의 지역경제에 큰 효자노릇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쑥의 역사가 오래되다 보니 쑥과 관련한 여러 일화들을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들을 수가 있다.
옛날 궁중에서는 쑥을 금줄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금줄이라는 것은 신성한 곳임을 표시하고 부정한 사람의 접근을 막으며 잡귀의 침범을 막는 목적으로 늘이는 새끼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일반인의 집안에 새 생명이 태어나면 새끼줄에 솔가지나 댓잎을 끼우고 아이의 성별에 따라 남아는 고추, 여아는 숯을 매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궁중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짚으로 꼰 새끼줄이 아니라 쑥으로 꼰 새끼줄을 걸어 놓았다고 하니 쑥은 아귀를 물리치는데도 한 몫을 한 것 같다.
한편, 단오가 되면 여인네들은 쑥물에 목욕을 하고 또 머리에 꽂기도 했다고 하는데 신선하고 청순한 아가씨를 일러 쑥향낭자라고 했다는 말도 일리가 없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쑥과 관련한 세시풍속으로는 무엇보다 먹을거리와 많은 관계가 있다는 점이다.
구미를 잃기 쉬운 봄철에는 쑥인절미, 쑥굴리, 쑥전, 쑥단자, 애탕(艾湯, 쑥을 데쳐서 고기와 같이 이겨서 빚은 후 달걀을 씌워서 펄펄 끓는 맑은 장국에 넣은 것) 등을 만들어 구미를 돋우게 하였고, 연한 잎은 1년 내내 튀김을 만들어 강장식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쑥절편, 쑥개피떡, 쑥송편, 쑥경단, 쑥밥, 쑥나물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써 사용되었다.
또한, 뜸을 뜰 때 사용하는 뜸쑥을 생각하면 약초로서의 위치도 대단함을 알 수 있다.
뜸쑥은 5월 단옷날 오시(午時, 12시)에 뜯어 말린 쑥의 약효가 가장 좋다고 한다.
손쉽게 지혈제로 이용되어 코피가 날 때는 비벼서 콧구멍을 막으면 곧 지혈이 되고, 연장에 베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이용하면 좋다고 한다.
그 외에도 쑥은 해열, 진통, 해독, 구충작용을 하며, 생즙은 혈압강화와 소염작용을 하는데도 훌륭하여 예전에는 복통, 토사 등의 치료에도 쓰였다고 한다.
맹자가 7년 묵은 지병에 3년 묵은 쑥이 필요하다.고 했을 정도로 쑥은 예전부터 우리 생활에 많은 공헌을 해 준 귀중한 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쑥의 원산지가 광활하다 보니 쑥과 관련된 이야기도 당연히 여러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주(周)나라의 유왕(幽王)이 너무 방탕하므로 이를 우려한 신하들이 3월의 첫 뱀날(上巳日, 상사일) 곡수연(曲水宴) 때 쑥떡을 바쳤다.
그랬더니 나라가 태평하게 다스려졌으므로 삼짇날(음력 3월 3일)에 쑥떡을 해먹는 풍습이 생겨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대중에게 전해져 삼짇날의 쑥떡은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기(邪氣)를 쫓는 액막이의 효력이 있다고 믿게 되어, 벽사(邪, 귀신을 물리침)에 이용하는 풍속으로 이어져 3월(음력)의 시식(時食)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풍습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져 삼짇날에 쑥떡을 해먹는 것도 여기서 유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이러한 전통은 계속 이어져 내려와 5월 5일 쑥을 뜯어 인형을 만들어 문 위에다 걸어놓으면 요기를 막아준다는 풍속으로까지 발전했다.
6세기경에 나온 중국 호남과 호북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바로 이런 기록들이 있다.
이러한 단오절 풍습 또한 한국과 일본에 전해져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신령스러운 봄풀 쑥 P49-51 쑥차는 한방에서 약으로 쓰인다.
몸의 저항력을 높이고, 감기를 예방하며 몸을 따듯하게 한다.
쑥 한줌에 물 한잔의 비율로 끓인다.
약으로 쓰는 쑥은 단오 무렵에 수확하여 연한 잎만 사용한다.
쑥은 산야에서 자란 것보다 바닷가나 섬에서 자란 것이 좋고, 음식용으로는 초봄 것이 좋지만, 약으로 사용할 때는 7월에 채취한 것을 선호한다.
약쑥은 7월 전후로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면서 수시로 다려서 마신다.
쑥은 지사제, 각종 진통제, 강장제, 혈액순환제로 쓰이며 자궁출혈, 기관지, 천식, 폐결핵, 폐렴, 감기 등의 증상 완화에 두루 쓰인다.
손발이 저리거나 경련이 있을 때, 코피가 자주 날 때 쑥 술이나 차를 마시면 좋다.
속이 쓰린 만성 위장병에는 쑥 조청을 먹고, 월경불순, 월경통, 냉증에는 생즙을 짜서 마시거나 차로 달여 꾸준히 마시면 효과가 있다.
설사에는 말린 쑥에 생강을 넣고 달여 마신다.
쑥은 면역력을 키워주고 영양도 좋으므로 성장기 어린이에게 권장되고 있다.
농사에서도 쑥을 이용하는데, 효소를 담가 놓았다가 병아리와 어린 돼지에게도 영양제로 먹이거나, 항생제 대신 목초액을 먹이듯 면역증강을 위해 쑥 효소를 먹인다.
쑥을 먹인 가축들은 면역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h2mark 참고문헌

1) 다류공장 운영지침서, 한국식품연구원, 2000 2) 정봉환, 조용구, 수집 선발한 쑥으로 만든 쑥차와 시판차의 항산화력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51(별호), 2006 3) 김무남, 쑥차제조에 관한 연구;쑥차제조 과정중의 향기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부산여자대학교, 1994 4) 전통식품 관용기술서, 특허청, 1993 5) 강화약쑥 지리적 표시 6) 김승일, 신령스러운 봄풀 쑥, 한맛한얼 제4권 1호, 한국식품연구원, 2010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동의보감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