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질이 좋은 생강을 골라 깨끗이 씻은 다음 껍질을 벗기고 0.2㎝ 두께로 납작하게 저민다. ② 물에 당분, 꿀을 넣고 엿물이 걸쭉하게 될 때까지 끓이다가 생강 쪽을 넣는다. ③ 약한 불에서 천천히 조려 엿물이 생강에 잦아들면 꺼내어 식힌다. 생강한과 제품화 기술개발 연구 P56
건강기능
생강의 경우 국내산의 일반성분, 무기질 및 비타민 함량을 가식부 100g 당 파우더(powder) 및 페이스트(paste) 상태에서의 함량을 비교해 보면 파우더(powder) 상태가 열량도 높고, 탄수화물, 칼슘, 인, 철 칼륨 등의 함량이 페이스트(paste) 상태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유과에 적용 시 페이스트(paste) 상태보다, 파우더(powder) 상태로 처리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또한 중국산과 국내산을 비교해 보면 국내산 생강이 탄수화물, 칼슘, 칼륨, 나이아신이 중국산 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생강에는 풍미성분이 있는데, 향기는 정유성분(essential oil)이, 매운맛은 올레오레진(oleoresin)이 주요 특성성분이 되고 있다. 특히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gerone) 및 쇼가올(shogaol) 등의 매운맛 성분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과 제조 시 제품의 품질향상 및 저장성에 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생강한과 제품화 기술개발 연구 P6-7
식품특성
생강정과는 생강의 껍질을 벗긴 후 살짝 데쳐 조직을 연화시킴으로 이질감 등을 제거한 후 설탕물이나 꿀 또는 조청에 조린 정과이다. 한국전통식품포탈(전통음식>생강정과) 정과(Jung Kwa)는 문헌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한국 전통 과정류인 유밀과, 유과, 다식, 정과, 과편, 엿강정 및 당으로 분류한 것 중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의례음식이다. 정과류는 식물체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가지고 당류를 첨가하여 졸인 식품으로 한국 고유의 식품인 정과류가 제조, 이용되고 있다.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P999 한국의 전통식품인 정과는 전과(煎果)라고도 하며 수분이 적은 채소 뿌리나 과일, 줄기, 열매를 꿀이나 설탕에 오랫동안 졸여 달고 쫄깃한 맛이 나는 과정류로서 연근, 도라지, 생강, 인삼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최근, 한국 전통식품에 대한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식하고 전통식품을 계승 및 발전시키려는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정과류는 식물체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가지고 당류를 첨가하여 졸인 식품으로 지금도 한국 고유 식품인 정과류가 제조, 이용되고 있다. 오미자첨가 연근정과의 제조와 저장 중 품질변화 P457 정과는 약과, 다식, 양갱 등과 같이 조과류에 속하며 전과(煎果)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적은 채소의 뿌리나 줄기 및 열매를 꿀이나 설탕에 오랫동안 졸여서 달고 쫄깃한 형태로 조리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류이다. 정과는 신라와 고려시대의 불교 숭상 환경에서 차 마시는 풍습과 함께 유행하였다. 연등회, 팔관회 등의 국가적 대행사 시에 참석자들과 나누어 먹는 음식으로 전래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길흉사 때의 행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추정과 제조를 위한 제조조건의 최적화 P528 정과는 식물의 뿌리, 줄기, 열매 등의 생것이나 말린 오가리를 꿀, 조청, 물엿 또는 설탕에 넣고 조린 것이다. 정과에는 무정과, 동아정과, 유과정과, 연근정과, 생강정과, 인삼정과, 더덕정과, 박오가리정과, 도라지정과, 산사정과, 청매정과, 모과정과 등이 있다. 생강한과 제품화 기술개발 연구 P42
어원유래
생강의 원산지는 인도·말레이시아 등 고온다습한 동남아시아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시대의 문헌인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어, 일찍부터 재배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菜蔬園藝各論 1,700~2,000년대에는 정과와 과편은 밀전과(蜜煎果)라 하였으며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는 정과(正果)라고 표현하였다. 정과는 겨울의 찬품(饌品)으로서 당장법(糖藏法)에 의한 저장의 하나로 오래 두고 먹을 수 있어 지금도 많이 쓰이고 있다. 한과류 제조·가공기술 지침서 P7 이 정과는 『산가요록(山家要錄)』에 우모전과, 동아전과, 생강전과, 앵도전과 4종, 『수운잡방(需雲雜方)」에 동아정과, 생강정과 2종, 『도문대작(屠門大嚼)』에 웅지정과, 들쭉정과 2종, 『요록(要錄)』에 동아정과, 도행정과 2종으로 모두 10종이 기록되어 있다.
역사배경
『수운잡방(需雲雜方, 1481~1552)』에 의하면 정과류 중 가장 먼저 선보인 식품은 생강정과이다. 정과는 『필언각비(疋言覺非)』나 『부인필지(婦人必知)』에서는 꿀에 졸인다.라고 하였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는 꿀에 졸이는 방법도 있으나 꿀에 재어서 오래 두었다가 쓰는 방법도 있다.고 하였다. 한과류 제조·가공기술 지침서 P7
참고문헌
1) 한국전통식품포탈, 전통음식, 생강정과 2) 송미란 외 4명,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3) 권후자 외 2명, 오미자첨가 연근정과의 제조와 저장 중 품질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0 4) 이가순 외 4명,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5) 홍주연 외 4명, 대추정과 제조를 위한 제조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1 6) 이용환 외 12명, 생강한과 제품화 기술개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2011 7) 한과류 제조·가공기술 지침서. 한국식품연구원 8) 표현구(表鉉九), 채소원예각론(菜蔬園藝各論), 향문사, 1982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