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깨끗이 씻은 흑임자를 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볶아준다. ② 흑임자가 식으면 절구에 넣어 곱게 갈아준다. ③ 흑임자에 꿀을 넣고 섞은 후 20분 동안 찐다. ④ 절구에 넣고 기름이 날 때까지 찧어주고 기름은 제거한다. ⑤ 적당한 양을 떼에서 다식판에 박아서 모양을 낸다. ⑥ 흑임자다식 완성 한 과류 제조, 가공기술 지침서 P35
건강기능
참깨는 필수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토코페롤 B-sitosterol의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독성 화합물의 산 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우리 몸 안에서 활성 산소에 의한 장애가 축적되면, 노화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암, 동맥경화, 당뇨병, 알레르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등 대부분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산화성 산소의 작용을 약하게 만드는 물질, 즉 항산화 물질을 충분히 섭취하면 이들 질병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하는 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식품이나 조미료로 다방면으로 사용 중인 것이 깨 이다. 그중 특히 검은깨는 비타민B군과 식물성 지방, 그 외에 지질대사에 관련되는 물질이 들어 있고, 항산 화력이 매우 강한 세사미놀이 함유 되어 있어, 혈액이나 세포막 등에 있는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 힘이 강하다. 중국에서는 참깨를 장복하면 늙지 않는다.라고 하여, 예부터 불로장수의 비약 또는 먹는 알약 따위로 알려져 있을 만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주로 약으로 사용되어, 몸에 기운을 돕고 골수와 뇌수를 충실하게 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록 되어있다. 특히, 『항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는 창종(瘡腫)과 악창(惡瘡)) 등의 피부질병과 탈모증상에 사용되기도 하였다고 쓰여 있다.
식품특성
흑임자다식은 흑임자 가루나 자체를 꿀과 조청으로 반죽하여 만든 다식이다. 한국전통식품포탈(전통음식>흑임자다식) 흑임자는 참깨 과에 딸린 1년생의 재배 식물로, 흑임자다식은 쌀, 콩, 깨 등의 곡물가루나 송화 가루 등을 첨가하여, 꿀을 이용해 반죽한 후 다식판을 이용하여 찍어 만든 과자로, 고려시대부터 존재 한 과자로 써 볶은 깨를 곱게 빻아서 꿀이나 물엿 등으로 충분히 반죽하여 절구에 담아 기름이 나올 때까지 찧거나 찜통에 쪄내어 다식판에 박아낸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전통 다식 중 하나이다.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P146
어원유래
다식(茶食)은 『성호사설(星湖廣說)』에 보면 국가의 축전(祝典)에 썼는데 본래는 제사에 점다(點茶)를 쓰던 것으로 부터 시작된 것이라 하겠다. 처음에는 차를 마실 때 차를 물에 넣고 끓이던 것을 가례(家禮)에는 점다(點茶)를 썼으니 곧 잣가루를 잔에 넣고 끓는 물을 부어서 찻수저로 저었던 것이다. 그런데 송나라의 정공언, 채군모가 생각해 내어 차 떡을 만들어서 조정에 바쳤는데 이것이 풍속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푸젠성(福建省 建州)에서 나는 용단차(龍團茶)를 정채(丁蔡)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차로 만든 떡이라는 데서 다식이라는 명칭이 생겼을 것이고 차 가루에 물을 조금 부어서 뭉친 것이 그 시초이리라 생각된다. 지금 제사에도 다식을 쓰는데 차를 올리는 점다(點茶)의 뜻에서 시작되어 명칭만은 남고 물건은 바뀐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혹 밤 가루로 대신하여 고기, 새, 꽃잎 등의 모양으로 만드는데 용단(龍團)이 와전된 것과 같은 것이다. 여기의 용단(龍團)은 송나라에서 만들어진 떡 모양의 다괴(茶塊)로 중국병과의 일종인데, 다식은 이것을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재료로는 그 시초가 다(茶)였던 것이 쌀가루를 쓰게 되었는데, 황률(黃要), 깨, 송홧가루, 잡과(雜果 밤, 대추, 곶감, 호두) 등도 사용하였고,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는 나무 판에 찍어냈다고 되어있다. 지금 다식의 제조처럼 판에 박아 냈음을 알 수 있다. 한 과류 제조, 가공기술 지침서 P6-7
역사배경
참깨 재배의 역사는 기원전 3000년 전부터 이미 나일 강 유역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지에서 재배되었다가 중국에 전파된 후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약 2천 년 전에 나온 『신농본초(神農本草)』에는 참깨의 맛은 달고 모양이 납작하다. 오장의 기능을 높여 원기와 체력을 보충해주고 활력을 준다. 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곡류 중에서 상품으로 기록되어 있고 흑임자의 기능성과 흑임자죽의 품질특성 P6, 이처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참깨는 기원전 1000년경에 중국을 통하여 전파 되었을 거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재배하여 기름으로 식용 하던 것이, 고려시대의 불교문화의 융성과 함께, 흑임자다식 또한 발달되었다. 이에 상류층은 물론 서민층까지 널리 식용되었으나, 과도한 사용으로 폐단이 발생되어, 고려와 조선시대에 참기름 및 다식의 사용을 금지하는 왕의 칙령이 내려질 정도였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